•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employment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4초

노인의 에너지 섭취 부족과 관련된 사회환경요인 분석 (Socio-economic status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nadequate energy intake among Korean elderly)

  • 소은진;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71-379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세대가 겪는 사회환경요인이 에너지 섭취 부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제5기 1차년도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녀 모두 연령이 70세 이상이고,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 에너지 섭취 부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남자는 배우자는 없이 가족과 동거하는 경우, 학력, 그리고 가구소득, 여자는 자살생각 여부가 에너지 섭취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에너지 필요 추정량의 75% 미만으로 섭취하는 노인의 비율은 남자는 23.7% (196명), 여자는 31.1% (324명)으로 나타났으며 에너지 섭취량이 75% 미만인 그룹의 경우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에너지 섭취가 부족한 그룹의 경우 남녀 모두 돼지고기와 소고기가 10위 안에 포함되지 않았고 배추김치와 된장이 20위 안의 주요 급원식품에 들었다. 4) 최종적으로 남녀 모두 학력 (남자: OR = 1.480, 여자: OR = 1.614)과 경제활동 여부 (남자: OR = 1.751, 여자: OR = 1.464)가 에너지 섭취 부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외에도 남자는 70세 이상의 고령 (OR = 1.475), 여자는 배우자 없이 가족과 동거하는 경우 에너지 섭취 부족일 확률이 1.496배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노인의 에너지 섭취량은 노화로 인한 신체적 생리적 변화 외에도 노인이 속한 사회환경, 사회구조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적인 노년기 영양관련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양취약계층을 선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 확인한 노인의 에너지 섭취 부족과 관련된 요인들은 노년기 영양정책을 계획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ies of Jeju Province

  • Ko, Keumja;Jung, Min;Hong, Sungchul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03-509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revalenc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ies of Jeju Province. Methods. 590 elderly in 6 rural communities of Jeju Province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quality of life, and MMSE-K Results.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as 33.1 % (39.1 % of females, 16.76% of males). Prevalence of dementia was 12.4% (16.3% of females, 2.87% of males). Factor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were age, sex, education, standard of living, employment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e. Conclusions. In community health care for the elderly, factors relating to cognitive impairment have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community health car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elderly; who need care but live alone; who lack social support; who have a low standard of living; who experience discomfort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ho believe they are not in a good state of health; or whose life satisfaction is low.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와 대책방안 (Health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n Elderly)

  • 황현숙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53-97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document i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policy for welfare of the elderly, by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status of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primary source of degrading the living standard of the elderly is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life longevity.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to enhance the poor living level of th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compensate their former economic and social contribution in the society and also to promote the basic human right. The agenda to achieve this goal sums up like these : First, the basic living of the unhealthy elderly belonging to the low-income group, such as government-provided income and medical service should be provided. Second, for those with working ability, more opportunity for working and social activities should be given, focusing on expanding the employment rather than adding income. Third, for those with middle and high income, silver industry and pastime activities should be nurtured. Lastly, rather than institutional protection for the elderly, the welfare service for those staying home should be enforced, thus naturally leading to the family support for the elderly. There cannot be a sound policy for welfare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ignoring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effort to better the welfare for the minority groups who compose the base of the social base will, eventually, result in the progress of the entire society.

  • PDF

도시경제기반으로서의 비고용소득 성장과 영향분석 - 미국 아리조나주의 경우 - (Growth and Impact Analysis of Nonemployment Income as an Urban Economic Base -The case study of U.S. Arizona State-)

  • 김학훈
    • 지역연구
    • /
    • 제9권2호
    • /
    • pp.27-40
    • /
    • 1993
  • Most studies on regional economic impact have utilized employment or employment income data. Recently, a few scholars have noticed the importance of nonemployment income sources in urban economies. Using decennial census data on Arizona towns from 1970 to 1990,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nonempolyment income sources in urban economies and the associations of nonemployment income sources with elderly population and metropolitan location. The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nonemployment income on urban growth in the framework of economic base model.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of nonemployment income is significant in the increase of nonbasic income and becomes greater over time, and that the impact of transfer over time, and that the impact of transfer income on nonbasic income of transfer income on nonbasic income is stronger in smaller towns and the impact of investment income is stronger in larger towns.

  • PDF

공간정보를 활용한 스마트 고령자일자리 맞춤형 검색서비스 (Smart Senior Job Search: The Elderly-oriented Services for Job Searching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 김미연;서동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433-1443
    • /
    • 2016
  • In the cases of the major cities, high poverty rate of the elderly, immature pension policies, and insufficient market conditions,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decrease the desire for the job participation. It is time to prevent the problems of the elderly, and induce the reachable senior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This research provides the location-based, customized job-search service for the elderly in order to actively support the participation i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elderly. The goal of SSJS(Smart Senior Job Search) is to provide the individual elderly with the customized position. It prints the appropriate positions near user location based on the residential area, job classification, and the physical condition, and provides the mash-up of the selectable job range in the unit distance based on the map. This customized service, which enables the seniors to select the type of the jobs based on their physical, mental and life conditions of the seniors, supports th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f the elderly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social job positions for the elderly and the equalization of the local development.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따른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Differences in Time Use Satisfaction by Time Allocation Types of the Elderly)

  • 김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1호
    • /
    • pp.163-18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ypology of time allocation,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ime allocation types, and analyze differences in time use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time use of the elderly.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0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The 4,699 time diaries (3,552 for weekday, 1,147 for Sunday) completed by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0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cluster analysis, ANOVA analysis, Duncan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ime allocation of the elderly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personal care oriented, work oriented, leisure oriented, and balanced type. Gender, ag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income, and the presence of spouse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types of time allocation, time use satisfaction was different on week days.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지지(사회활동, 가족/사회관계), 정서문제 (Influencing of Quality of Life for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 Social Support(Social Activities, Family/Social Relationship), Emotional Problems)

  • 장신재;조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25-235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사회활동, 가족/사회관계), 정서문제와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2,005명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대해 가족/사회관계는 정(+)적인 영향을, 정서문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활동은 정서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활동은 정서문제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한국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 (Study on the blind zone of social service in Korea)

  • 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179-204
    • /
    • 2016
  • 본 연구는 가족의 삶과 매우 밀접한 영역인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를 아동가구, 노인가구, 장애가구, 빈곤가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서비스 수요공급실태조사의 가구용 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4,038명이다. 분석의 결과 대상의 포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규모가 가장 큰 서비스는 고용지원서비스와 문화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 유형별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가구에서 주거지원 서비스, 노인가구에서 상담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급여의 충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정도가 가장 큰 서비스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가구 유형별로 봤을 때는 노인과 장애가구, 빈곤가구 모두 성인돌봄서비스가 서비스의 양적 충분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가구는 지역사회서비스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 서비스에 대한 확대, 현재 과잉공급되는 것으로 분석된 서비스에 대한 점검, 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사각지대가 큰 것에 대한 민간조직의 집중 개입 등을 제안하였다.

교육수준과 비근로소득이 고령자 취업에 미치는 영향: 내생성을 고려한 패널로짓 모형 추정 (The Impacts of Education and Non-Labor Income on Employment Among the Elderly: An Estimation with a Panel Logit Model to Address the Problem of Endogenous Predictors)

  • 김철주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95-123
    • /
    • 2016
  •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고령자의 취업 행동에 대한 객관적 분석은 효과적인 고령자 고용정책의 설계와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 체제 개편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선결과제가 되었다. 고령자의 취업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선행연구들은 교육수준이나 비근로소득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함에 있어 고령자 개인의 비관측 이질성과 독립변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그렇게 추정된 이들 두 변수의 회귀계수는 일치추정량으로 간주될 수 없다. 이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4차웨이브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로짓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교육수준과 비근로소득의 효과에 대한 일치 추정량을 구하고자 했다. 그 결과, 비관측 이질성이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후에도 교육수준과 비근로소득은 고령자 취업에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재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과거 어느 세대보다 학력이 높고 연금 등 비근로 소득이 높은 세대집단인 베이비부머들이 노동시장을 떠날 시점이 되면,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이들의 취업 유인은 그 이전세대의 그것보다 훨씬 더 약할 것이며 따라서 전례 없는 노동시장 인력부족과 연금재정 고갈이 초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 저학력 저소득 고령자와 고학력 고소득 고령자 각각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지원 정책의 개편 방안을 제안한다.

민간경비 종사자의 ICT직무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CT Curriculum for Private Security Workers)

  • 심현;권경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97-404
    • /
    • 2019
  • 본 연구는 아파트 경비원들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ICT직무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파트 민간경비종사자의 대다수가 노인인 점을 고려하여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노인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교육을 위한 ICT직무 코스웨어를 설계하고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통해 만족도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평균 4.00점대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노인정보화 교육프로그램 정성적 평가 검사 도구를 활용해 교육프로그램 투입 전 후로 실험집단의 인터넷 자기 효능감, 인터넷 활용능력 향상, 인터넷 이용용도 인지, 개인정보화 의지, 생활교정, 세대 간 갈등해소, 자신감, 인터넷 스트레스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민간경비 ICT직무교육" 교육프로그램이 노인정보화에 효과적이며 다른 노인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및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