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 car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1초

노인학대 유형화 및 유형결정요인 연구 (A Study on Typology and the Casual factors of Elderly-abuse)

  • 이윤경;김미혜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165-117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학대의 새로운 유형화를 통해 노인학대의 중복적 특성을 간명화하여 노인학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노인학대의 유형별 결정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노인보호전문기관의 81명의 상담가가 조사일자를 기점으로 최근 종결한 5개 사례에 대해서 주어진 노인학대 판정지표 및 사정도구에 회고적으로 응답하는 설문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조사결과 350명의 노인학대 사례에 대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17개의 노인학대 판정지표를 활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노인학대를 유형화하고, 유형화결과에 따라 logit-regression을 활용하여 유형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학대는 '폭력성 노인학대'와 '회피성 노인학대'로 유형화되었다. 폭력성 노인학대는 직접적으로 폭력을 행하거나, 거친행위로 노인을 위협하거나 협박하는 행위, 노인을 무시하는 언어적 표현과 행동과 같이 직접적으로 노인에게 해를 가하는 언행이 나타나는 유형이며, 회피성 노인학대는 방임, 유기, 자기방임과 노인과의 접촉을 기피하는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폭력성 노인학대와 회피성 노인학대의 유형 결정요인 분석결과, 피학대노인의 기능상태와 학력, 가해자의 성별과 학력, 가해자가 느끼는 피해자에 대한 수발부담, 가해자와 피해자의 동거여부가 노인학대 유형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노인의 학력이 높을수록 폭력성 노인학대 발생율이 높으며, 기능상태(IADL)가 나쁠수록 회피성 노인학대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해자가 여성일수록 회피성 노인학대 발생율이 높으며, 가해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폭력성 학대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가해자가 노인의 수발부담이 높다고 느낄수록 폭력성 노인학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거는 회피성 노인학대보다는 폭력성 노인학대의 발생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학대의 복잡성을 간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노인학대의 유형화를 시도하였으며, 노인학대의 유형 결정요인을 밝힘으로써 추후 노인학대 개입기법을 세분화하고 노인학대 발생원인 이론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농촌 지역 노인의 영양 상태, 근감소증과, 노쇠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status, sarcopenia, and frailty in rural elders)

  • 이수현;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1호
    • /
    • pp.23-31
    • /
    • 2021
  • 노쇠(frailty)와 근감소증(sarcopenia)은 최근 노인건강 관리에 중요한 개념이다. 근감소증은 노쇠에 영향을 주는 가장 대표적인 요인이고, 운동, 영양수준 등이 근감소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영양 수준과 근감소증, 노쇠와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남 10개 마을 65세 이상 노인 411명으로, 성별, 연령, 학력, 동거인 유무와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를 조사하고, GDS-SF로 우울감, K-FRAIL로 노쇠, 한국판 SARC-F로 근감소증, DETERMINE으로 영양 수준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단순분석에서는 영양 수준과 노쇠, 근감소증 의심과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그리고, 성별, 동거인 유무, 연령, 학력, 우울감을 보정했을 때 영양 수준은 노쇠, 근감소증 각각과 유의한 관련성을 가졌고(p<0.001), 근감소증을 보정하였을 때도 노쇠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졌다.(p<0.001) 더하여, 근감소증 역시 노쇠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영양 수준은 노쇠에 직접적인 영향과 근감소증을 통한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칠 수 있고, 근감소증 역시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근감소증과 영양 수준을 평가하고 적절한 개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노년기의 노년초월,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죽음불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Gerotranscendence,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Fear of Death in Elders for Promotion of Life Care)

  • 홍은희;최영애;오승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9-287
    • /
    • 2019
  • 본 연구는 노년기의 노년초월,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죽음불안의 정도와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시 거주 만 60세 이상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사회적지지와 죽음불안과 관계가 있었으며, 결혼상태는 가족지지와 연관이 있었고, 생활만족은 가족지지와 관련이 있었다. 노년초월과 죽음불안이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과 죽음불안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노년기의 노년초월은 죽음불안과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노년기의 가족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성인후기의 집단을 대상으로 노년초월의 정도, 생활만족과 노년초월의 관계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경도인지장애인의 음악을 활용한 보조 치료기기 제품개발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Preference Survey for Development of Auxiliary Therapy Products Utilizing Music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해구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355-365
    • /
    • 2017
  • 미래 한국의 인구 구성은 저 출산과 의료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힘입어 고령자가 2060년에는 세계 2위 수준까지 예상되고 있다. 고령자를 위한 사회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령자가 되면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 신체적인 변화이다. 기억력이 낮아지고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생기면서 그들의 활동이 제한되고 경제적인 생산능력이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자급자족이 힘든 상황이 되면서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의 도움을 필요하게 되었다.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이 연구되고 개발되어 져야하는 시기가 도래되었다. 고령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인지능력저하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IS)단계가 있다. 경도인지장애인들은 약물적 치료방법과 비약물적 치료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비약물적 치료방법 중 음악에 대한효과가 입증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음악치료기법을 활용한 보조기구를 개발함에 있어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융복합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경도인지장애자를 대상으로 외형에 대한 선호를 알아보았다. 2번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경도인지장애자를 위한 홈케어 제품디자인은 기존의 게임기나 셋탑박스의 정형적이고 박스형태가 아닌 사용자의 상황과 특수성을 고려한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기억력,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신체적인 변화와 주변 사람이나 환경이 변화되는 정신적인 변화에 맞는 제품이 개발되도록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는 결과이다.

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무력감 현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for Hospitalized Elderly무s Powerlessness)

  • 최영희;김경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23-247
    • /
    • 1996
  •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information which would lead to nursing care of the elderly being more holisticall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of powerlessness based on the lived experience of powerlessness by the elderly, the meaning the elderly give to such phenomena, and what essence of powerlessness is.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Max Van Manen's phenomenological method based on the philosophy of Merleu-Ponty and a concerted approach was realized through the 11 steps suggested in the Van Manen's metho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2, 1995 to December 30, 1995.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four elderly persons who lived with their families and who were over 60 years of age. Data were collected about the lived experience of the elderly, this researcher's experience of powerlessness, the linguistic meaning of powerlessness, idioms of the word or a feeling of powerlessness, and descriptions of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as they appeared in the literature, are works, and phenomenological literature. All data were us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phenomena of powerlessness. Data about the experience of powerlessness by the elderly were collected through open interviews,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In the analysis of the theme of this study, the aspects of the theme,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were clarified, thereby abstracting and finding meaningful statements by the elderly about their feeling of powerlessness, and then those significant statements were expressed as linguistic transformations. The summarized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1. Five meanings of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were defined. 〈weakness〉, 〈dependence〉, 〈frustration〉, 〈worthlessness〉 and 〈giving up〉. 2. 〈Weakness〉 means that the elderly experience, not only their aging but also, their becoming weak and the loss of physical function frequently caused by diseases. 〈Dependence〉 means that the elderly experience dependence without any influence from the surroundings and that elderly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lose their autonomy, follow entirely their doctor's prescriptions, use aid equipment and directions, and depend only on those things. 〈Frustration〉 means that the elderly experience the loss of their roles from the past, there by feeling that there is no work for them to do anymore and therefore feel unable to do anything. 〈Worthlessness〉 means that the elderly experience the feeling of losing their social roles from the past, having no financial ability, thereby being a burden to their children or the people around them, and therefore regarding themselves useless. 〈Giving up〉 means that the elderly experience the feeling of closeness to death in the final stage of their lifetime, lose hope to be healed from their disease, and recognize the incontrollability of their own body. 3. From a general view of the meaning of the theme the powerlessness in the elderly-the most essential meaning of the theme is the 〈sense of loss〉. For the elderly are experiencing a sense of loss in the situation of being elderly and therefore being often hospitalized. Brief definitions of the five phenomena could be 〈weakness〉 meaning the loss of physical strength, 〈dependence〉 the loss of mentality caused by disease and hospitalization, 〈frustration〉 and 〈worthlessness〉 the loss of social performance caused by the loss of social functions from the past, and lastly 〈giving up〉 the loss of the controllability of such situations of aging and suffering disease. In light of the discussion above,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hospitalized elderly experience powerlessness not only as it related to their diseases but also to their normal aging, and this related to other characteristics of being elderly means that the 〈sense of loss〉 is the very essence of their powerlessness. 4. While most cases are of the normal elderly experiencing powerlessness in relation to their social network, cases of elderly who are hospitalized are of those experiencing powerlessness in relation to the loss of their physical desire. 5. The findings discussed above can serve as guidelines for nurses who take care of the ill elderly who are hospitalized and that can provide cues to appropriate nursing service, recognizing that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objective age of the elderly is so important. Nurses can provide highly qualitative nursing service, based on their deep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 of the elderly due to feelings of powerlessness.

  • PDF

농촌노인의 영적안녕과 희망,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A Correlation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 김정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42-357
    • /
    • 2004
  •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done to provide a basic data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130 respondents who lived at their homes and nursing homes for elders in D county. Kyu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nd their age was over 60 years old. Paloutzian and Ellison(1982)'s spiritual wellbeing scale. Nowotny(l989)'s hope scale and Northern Illinois University's health self rating scale was used. From September 2nd to September 30th, 2002, ready made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by researcher and two well trained nurse research assistants. to those who can fill it out and for those who cannot fill out the questionnaires alone,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read it and finished by interview. This study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hypothetic test and the average point and standard deviation of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check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OVA and Tukey test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spiritu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s was $49.94(\pm5.62)$ in a possible range of 20-80. The mean score of religious wellbeing was $25.20(\pm3.91)$ and that of existential wellbeing was $24.74(\pm2.83)$ in a possible range of 10-40. The average point of religious wellbeing was $2.52(\pm0.39)$ points and existential wellbeing was $2.47(\pm0.28)$ points to 4 point full marks. 2. The mean score for hope was $67.68(\pm10.92)$ in a possible range of 29-116. The average point of hope was $2.33(\pm0.38)$ points to 4 point full marks. 3. The mean score for perceived health status was $9.95(\pm2.66)$ in a possible range of 4-14. The average point of perceived health status was $2.15(\pm0.72)$ point to 4 point full marks. 4. In testing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hope,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r=0.621. p=0.000). 5. In testing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r=0.305, p=0.000). 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age(F=5.60, p=0.000), religion(F=11.61. p=0.000), family status(F=2.86, p=0.040) and average monthly pocket money(F=4.32, p=0.015). 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pe according to age(F=16.49, p=0.000), religion (F=3.56, p=0.009), educational level(F=8.94, p=0.000), present occupation(t=-3.13, p=0.002), family status(F=5.90, p=0.001) and average monthly pocket money(F=3.41. p=0.036). 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present occupation(t=-2.16, p=0.033) average monthly pocket money(F=4.11, p=0.019).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hope,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re was n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or futher study, adequate spiritual wellbeing scale and hope scale for rural elders should be developed and, age and religion factors has to be reconsidered. When the nurse implicate the nursing intervention which can be promote the spiritual wellbeing and hope, rural elder's spiritual wellbeing and hope can be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ir perceived health status also can be improved.

  • PDF

일개 섬 지역 주민의 미충족 의료와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Medical Care among Island Inhabitants in Korea)

  • 조성식;이태경;방예원;김철주;임형준;권영준;조용범;백도명;주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2호
    • /
    • pp.151-164
    • /
    • 2010
  • 우리나라의 섬에는 18만 8천여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문제와 의료서비스 공급부족 문제는 섬 지역에서 아직까지 큰 문제점으로 남아 있고, 섬 지역에는 고령인구와 같은 건강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취약한 사람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미충족 의료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이 같은 미충족 의료는 섬 지역주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일개 섬의 미충족 의료의 수준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섬 지역의 의료문제 개선을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조사는 2008년 7월 30일에서 8월 1일까지 3일 동안 자원봉사 대학생에 의하여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도에서 실시되었고 주민의 의료이용 수준, 일반적인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및 일반적인 미충족 의료와 육지의 의료기관 이용과 관련한 미충족 의료를 조사하였다. 324명의 주민이 조사되었으며, 일반적인 미충족보건의료를 경험한 주민의 비율은 26.5%로 조사되었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여성과 독거하는 사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충족 의료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독거하는 사람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충족 의료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육지의 의료기관 이용과 관련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주민의 비율은 13.2%였으며 단변량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과 직업이 상업인 주민에서 미충족 의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육지의 의료기관 이용과 관련한 미충족 의료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화도에는 고령인 주민과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주민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상당한 수준의 미충족 의료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후 섬 지역의 미충족 의료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