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jection fraction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7초

판막재치환술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Redo-valve Replacement)

  • 최강주;조광현;김성룡;이상권;전희재;윤영철;이양행;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785-791
    • /
    • 2002
  • 판막재치환술의 결과는 재수술의 위험에 대한 적절한 분석으로 개선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막 재치환술의 결과를 통해 위험 인자를 분석하여 수술의 결과를 개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한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42 $\pm$ 12세였고 평균 체표면적은 1.52 $\pm$ 0.15 $m^2$였다. 재수술은 승모판막치환술 36예, 다중판막치환술 8예, 그리고 대동맥판막치환술 2예를 시행하였고 첫 판막치환술에서는 승모판막치환술이 43예, 다중판막치환술이 2예, 대동맥판막치환술이 1예였다. 판막 재치환술 후 결과의 예견인자로 분석한 인자들은 성별, 고령(60세 이상), 첫 수술이 30세 미만, 첫 수술과 재수술간의 기간이 15년 이상, 수술 전 NYHA functional class 3 이상, 수술 전 좌심실 구출율 45% 이하, 8시간 이상의 수술시간, 심내막염으로 재치환이 필요한 경우, 병행된 다른 수술의 유무, 신기능 부전 등이었다. 결과 : 사망률은 2예로 4.3% 였다. 수술 후 합병증과 그 외의 좋지 않은 예후와 관련이 있는 위험 인자들은 술전 저심박출증이 있던 경우(p=0.012), 60세 이상의 고령(p=0.045), 심내막염에 의한 재치환술(p=0.023), 8시간 이상의 긴 수술시간(p=0.027)이었다. 수술 사망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없었다. 결론 : 판막 재치환술에서 수술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없었다. 심기능이 나쁜 경우, 고령의 환자, 심내막염으로 인한 재수술에서 이환율을 줄이기 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수술 시간을 단축하려는 노력이 수술 후 결과를 호전시키는 데 도움될 것으로 사료된다.

MRI에서 비허혈성 심근병증으로 오인된 좌심실의 림프종: 증례 보고 (Non-mass-forming Lymphoma of the Left Ventricle Mimicking Non-ischemic Cardiomyopathy on MR Imaging: A Case Report)

  • 신원선;김성목;최연현;현지연;김정선;장성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6권2호
    • /
    • pp.189-194
    • /
    • 2012
  • 40세 남성에서 상대정맥의 폐쇄와 우폐동맥 협착을 동반한 종격동 종괴가 발견되어 병리학적 소견에 경화성 종격동염으로 진단되었고, 6개월 후 심장 자기공명영상(MRI)에서 비허혈성 심근병증으로 의심된 심장림프종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심장 초음파에서 제한적 양상의 심장 생리현상을 보였고 구혈율이 매우 감소되어 있었다. MRI에서 전반적인 심근비대와 조영제 주입 후 광범위한 지연조영증강이 있어 비허혈성 심근병증이 의심되었으며 심장근육 생검 후 림프종으로 확진되었다. 조영제 주입후 MRI에서 심근 기저부는 침범되지 않았고 전반적인 심내막 보존이 있었으므로 아밀로이드증과 구별되는 양상이고 종괴를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심장종양 보다는 심근병증에 더 유사한 영상 소견을 보인 특이한 증례로서 심장림프종의 자기공명영상에서의 특징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re Biomarkers Predictive of Anthracycline-Induced Cardiac Dysfunction?

  • Malik, Abhidha;Jeyaraj, Pamela Alice;Calton, Rajneesh;Uppal, Bharti;Negi, Preety;Shankar, Abhishek;Patil, Jaineet;Mahajan, Manmohan Kis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2301-2305
    • /
    • 2016
  • Background: The early detection of anthracycline- induced cardiotoxicity is very important since it might be useful in prevention of cardiac decompens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the intent of assessing the usefulness of cardiac troponin T (cTnT) and NT- Pro BNP estimation in early prediction of anthracycline induced cardiotoxicity.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prospective study histologically proven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scheduled to receive anthracycline containing combination chemotherapy as a part of multimodality treatment were enrolled. Baseline cardiac evaluation was performed by echocardiography (ECHO) and biomarkers like cardiac troponin T (cTnT) and N terminal- pro brain natriuretic peptide (NT- Pro BNP). All patients underwent cTnT and NT- Pro BNP estimation within 24 hours of each cycle of chemotherapy and were followed up after 6 months of initiation of chemotherapy. Any changes in follow up ECHO were compared to ECHO at baseline and cTnT and NT- Pro BNP levels after each cycle of anthracycline-based chemotherapy. Results: Initial data were obtained for 33 patients. Mean change in left ventricular diastolic diameter (LVDD) within 6 months was $0.154{\pm}0.433cms$ (p value=0.049). Seven out of 33 patients had an increase in biomarker cTnT levels (p value=0.5). A significant change in baseline and follow up LVDD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raised cTnT levels (p value=0.026) whereas no change was seen in ejection fraction (EF) and left atrial diameters (LAD) within 6 months of chemotherapy. NT- Pro BNP levels increased in significant number of patients (p value ${\leq}0.0001$)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ECHO parameters within 6 months. Conclusions: Functional monitoring is a poorly effective method in early estimation of anthracycline induced cardiac dysfunction. Estimation of biomarkers after chemotherapy may allow stratification of patients in various risk groups, thereby opening window for interventional strategies in order to prevent permanent damage to the myocardium.

Evaluation of Cardiac Function Analysis System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es

  • Tae, Ki-Sik;Suh, Tae-Suk;Choe, Bo-Young;Lee, Hyoung-Koo;Shinn, Kyung-Sub;Jung, Seung-Eun;Lee, Jae-Moo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3호
    • /
    • pp.159-168
    • /
    • 1999
  • Cardiac disease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In quantitative analysis of cardiac function and morphological information by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magnetic resonance images, left ventricle provides an important role functionally and physiologically. However, existing procedures mostly rely on the extensive human interaction and are seldom evaluated on clinical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ystem which could perform automatic extraction of enpicardial and endocardial contour and analysis of cardiac function to evaluat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each system comparing with the result of ARGUS system offered 1.5T Siemens MRI system and manual method performed by clinicians. For various aspects, we investigated reliability of each system by compared with left ventricular contour, end-diastolic volume (EDV), end-systolic volume (ESV), stock volume (SV), ejection fraction (EF), cardiac output (CO) and wall thickness (WT). When comparing with manual method, extracted results of developed process using minimum error threshold (MET) method that automatically extracts contour from cardiac MR images and ARGUS system were demonstrated as successful rate 90% of the contour extraction. When calculating cardiac function parameters using MET and comparing with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method, the process extracts endocardial and epicardial contour using MET, values from automatic and ARGUS method agreed with manual values within :t 3% average error. It wa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automatic method using threshold technique could provide high potential for assessing of each parameters with relatively high reliability compared with manual method. In this study,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reduce processing time compared with ARGUS and manual method due to a simple threshold technique. This method is useful for diagnosis of cardiac disease, simulating physiological function and amount of blood flow of left ventricle. In addition, this method could be valuable in developing automatic systems in order to apply to other deformable image models.

  • PDF

게이트 Tc-99m-MIBI SPECT에서 국소 심근운동과 수축기 심근두꺼워짐 자동정량화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of an Automatic Quantitation of Regional Myocardial Wall Motion and Systolic Thickening on Gated Tc-99m-MIBI Myocardial SPECT)

  • 팽진철;이동수;천기정;김유경;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87-496
    • /
    • 2000
  • 목적: 국소 심근 벽 운동과 수축기 심근두꺼워짐에 대한 자동정량화 소프트웨어의 재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1명의 무작위 추출한 관상동맥질 환자에서 부하 게이트 Tc-99m-MIBI SPECT를 시행하는 중에, 게이트 심근 SPECT를 1회 시행한 이후 바로 이어 한번 더 게이트 SPECT를 시행하였다. 얻어진 영상으로부터 AutoQUAN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절별, 심근벽별로 심근벽 운동과 수축기 심근두꺼워짐의 자동정량값을 얻어, 1회째 값과 2회째 값 사이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Bland-Altman 도표를 통해 변이의 범위를 보았다. 또 각 값들을 등급화한 수치 간에 kappa 값을 구해보았다. 결과: 재현성 분석에서 1회와 2회 시행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48, 0.878이었으며, weighted kappa 값은 0.807, 0.708로 아주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Bland-Altman 분석에서 변이의 2 표준편차 범위는 각각 ${\pm}2.0mm,\;{\pm}20.2%$였다. 각각의 재현성은 분절영역, 성별, 관류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 연구에서 우리는, 심근 벽 운동과 수축기 심근두꺼워짐의 자동정량화 소프트웨어가 좋은 재현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으며, 또한 추적 검사나 치료효과 판정시 심근 벽 운동과 수축기 심근두꺼워짐의 변화 판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 PDF

Tc-99m-MIBI 심근 SPECT 극성지도 분석에 의한 심근 기능의 정량적 평가 (A Quantitativ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Function using the Polar Analysis of Tc-99m-MIBI Myocardial SPECT)

  • 곽철은;이동수;여정석;이경한;정준기;이명철;서정돈;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2-176
    • /
    • 1994
  • 심근 SPECT에 의한 심근질환의 심도 및 허혈부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정상인의 극성지도와의 비교에 의한 결손지도 평가방법이 상용화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결손부위의 범위만을 산출할 수 있었던 종래의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관류회복정도 및 심도성적 산출 방법을 시도하여 보았다. 허혈 및 심도성적의 산출에서 부하 및 휴식기 극성지도의 차이를 3등급으로 분할하여 각 등급에 해당되는 화소의 수를 가중하므로서 관류결손부위의 면적이 반영된 허혈 및 심도성적 산출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등급 및 가중치의 할당은 정상인의 잔상동맥영역별 관류분포를 반영하여 고른 등급 할당방법보다 상관도가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아데노신 부하 1시간 지연 Tc-99m tetrofosmin 게이트 심근 SPECT에서 관찰되는 심장 대 폐 섭취비의 임상적 유용성: 관상동맥조영술과의 비교 (The Clinical Efficacy of Lung to Heart Ratio in 1 Hour Delayed Tc-99m Tetrofosmin Gated Myocardial SPECT after Adenosine Stress: Comparison with Coronary Angiography)

  • 원경숙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5호
    • /
    • pp.362-368
    • /
    • 2008
  • 목적: T1-201 심근 SPECT에서 심장 대 폐 섭취비의 증가(LHR)는 심근관류스캔의 고위험소견으로 알려져 있으나, 약물부하 Tc-99m tetrofosmin 게이트 심근 SPECT에서 측정되는 LHR도 같은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는 의문이 있다. 이에 저자는 약물부하 Tc-99m tetrofosmin 게이트 심근 SPECT에서 측정된 LHR과 관상동맥조영술 및 게이트 심근관류 SPECT소견을 비교하여 이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되어 아데노신 부하 Tc-99m tetrofosmin 게이트 심근 SPECT를 시행한 환자 중 관상동맥조영술을 한 달 이내에 시행한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게이트 SPECT는 먼저 휴식기 영상을 얻고, 3-4시간 후 아데노신 부하 영상을 얻었다. 총 157명의 대상환자에서 측정된 LHR과 관상동맥조영슬과 게이트 심근 관류 SPECT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정상 대조군 50명에서 얻은 LHR은 $0.33{\pm}0.04$이었으며, 성별의 차이는 없었다. LHR이 0.41(평균+2표준편차)을 초과한 경우 LHR이 증가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정상관상동맥을 보인 53명 중 2명 (3.8%), 단일혈관질환 44명에서는 0명, 두혈관질환 27명 중 2명(7.4%), 세혈관질환 33명 중 8명(24.2%)에서 증가된 LHR을 보였다. LHR은 부하기 및 휴식기의 좌심실구혈률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25, -0.25), 부하기 및 휴식기 관류결손의 총합과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7, 0.36). 결론: 약물부하 후 1시간에 촬영한 Tc-99m tetrofosmin의 LHR은 세혈관질환을 가진 군과 심한 좌심실 기능부전을 가진 군, 그리고 부하기 및 휴식기 영상에서 심한 관류결손을 가진 군에서 높아서, 기존의 T1-201을 이용한 연구와 비슷하였으나, 연관성은 낮았다.

약물 용출 스텐트와 일반 금속 스텐트에서 혈전증에 대한 발생과 예후 (Occurrence and Prognosis for the Thrombosis in the Drug-Eluting Stents and Bare-Metal Stents)

  • 김인수;최남길;장성주;한재복;장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73-283
    • /
    • 2012
  •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약물 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s, DES)는 일반 금속 스텐트(bare-metal stents, BMS)에 비해 재협착은 감소하지만 구조적인 특성으로 스텐트 혈전증(stent thrombosis, ST)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의 발생빈도, 임상양상, 그리고 1년간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급성심근경색증으로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2,667명에서 스텐트 혈전증이 발생한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DES-ST를 I군(n=57), BMS-ST(n=23)를 II군으로 분류하여 양군 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양군간의 ST는 I군에서 57명(2.7%)과 II군에서 23명(4.3%)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64). ST의 유형으로는 acute ST는 I군5(8.8%), II군3(2.3%), subacute ST는 I군 29(50.9%), II군14(60.9%), late ST 는 I군11(19.3%), II군2(8.7%), very late ST는 I군12(21.1%), II군 4(17.4%)로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다(p>0.605). DES와 BMS를 삽입 후 1년 예후에 미치는 인자로는 ST(OR 8.166 95% CI 2.825-23.608 p<0.001), 좌심실구혈율(<40) (OR 6.409 95% CI 2.422-16.955 p<0.001), 나이(${\geq}$75세) (OR 4.979 95% CI 1.946-12.744 p=0.001) 이었다. ST의 발생율은 양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1년 예후에 미치는 인자로는 ST의 발생, 좌심실 구혈률의 저하 및 환자의 연령 등 이었다.

승모판 폐쇄 부전증에서 발생한 국소적 폐부종 1예 (Localized Pulmonary Edema in Patient with Severe Mitral Regurgitation)

  • 윤영걸;방도석;박범철;이성훈;김재수;박열;홍영철;박상민;고경태;한상훈;박상훈;임준철;나동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432-435
    • /
    • 2005
  • 승모판 폐쇄 부전증에 의한 심부전의 경우 대부분 양측폐에 대칭적으로 폐부종이 발생하지만 일부의 경우 국소적인 폐부종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우상엽에 발생하며 우중엽에 동반되기도 한다.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의 흉부 방사선 소견상 일측성 침윤이 보일때 폐렴과 국소적인 폐부종을 감별해야 할 것이다.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을 병행한 개심수술의 임상성적 (The Clinical Results of Open Heart Surgery with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유경종;강면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71-176
    • /
    • 1996
  • 1983년 3월부터 1994년 6월까지 22명의 환자에게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과 병행한 개심수술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들의 연령은 42세에서 72세 사이로 평균 60.4$\pm$8.2세였다. 이중 17명의 환자가 남자였고, 여자환자는 5명이 었다. 좌심실 박출계수는 25%에서 65% 사이로 평균 46.9 $\pm$ 14.2%였다. 22명의 대상환자중 9명이 심근경색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기계적인 장애를 동반하고 있었으며, 이중 5명은 좌심실류, 3명은 심실중격 결손 그리고 1명은 유두근 파열에 의한승모판 폐쇄부전증이 롱반되었다. 나머지 대상환자중 9명은 류마티스성 판막질환(대동맥판막 질환 7명, 승모판막 질환 2명)을 동반하였고, 2명은 좌심방혈전, 1명은 심방중격 결손 그리고 1명은 상행대동맥류를 동반하였다. 관상동맥 이식 편수는 1개에서 4개 사이로 평균 2.1$\pm$1.0개였다 수술후 합병증은 3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중 2명은 수술전후 심근경색증, 1명은 하지의 창상감염이었다. 수술사망은 1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사망원인은 수술전후 심근경색증에 의한 저심박출량에 기인하였다. 추적조사 기간은 3개월에서 136개월 사이로 평균 41.1$\pm$ 40.2개월이었으며, 이기간 동안 1명\ulcorner 사망하였다. 사망원인은 뇌출혈이었다. 장기생존한 20명의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는 모두 I과 II였다. 비록 대상환자의 수가 적다고는 하지만 저자들의 수술결과는 양호한 것으로, 따라서 저자들은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을 병행한 개심수술이 수술위험도가 높지 않으면서 만기 사망율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