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yolk color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 Kim, Jong Hyuk;Lee, Han Kyu;Yang, Tae Sung;Kang, Hwan Ku;Kil, Do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407-1413
    • /
    • 2019
  • Objective: This experimen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Methods: A total of 480 Hy-Line Brown laying hens at 31 wk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experimental diets. The control diet contained 2,800 kcal/kg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with no fat addition. Four additional diets were prepared by adding 2.0% or 4.0% of animal fat (AF) or soybean oil (SO).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consistent among all diets. Diets were fed to hens for 4 weeks. Average daily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26.7^{\circ}C{\pm}1.52^{\circ}C$ and $77.4%{\pm}4.50%$. The heat stress index was approximately 76, indicating that hens were raised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Results: Final body weight (BW) was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2.0% or 4.0% AF than for those fed the control diet or diets containing 2.0% or 4.0% SO. The BW gain and feed intake were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additional AF or SO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Eggshell thickness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Egg yolk color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Conclusion: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AF and SO) in diets exhibits preventative effects on BW loss for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when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diets were maintained. The effects were greater for AF than for SO. However,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in diets decreases eggshell thickness and egg yolk yellowness, possibly due to a reduction in Ca absorption and intake of egg yolk colorants.

Expanding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계란 품질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panding Feed Processing Technologies on Egg Characteristic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 유종상;채수진;박송이;장해동;석호봉;김인호;김용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7-131
    • /
    • 2006
  • 본 시험은 expanding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9주령 Hy-line Brown 270수를 공시하였고, 6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1) MS(mash), 2) EC(expanded crumble) 및 3) EP( expanded pellet) 으로 3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처리 당 15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은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난중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난각 강도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지만(p<0.05), 난각 두께는 처리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난황색은 EC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 계수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Haugh uint에 있어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변화량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칼슘, 인 소화율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소화율을 개선시켰다(p<0.05). 본 연구 결과는 2차적인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에 서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하였다.

산삼 배양액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 능력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Wild Ginseng Culture By-products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 박재홍;신오식;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9-273
    • /
    • 2005
  • 본 연구는 식물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산삼 부정근을 배양하고 폐기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및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19주령 로만 브라운 산란계 420수를 공시하여 산란율 $5\%$ 시기부터 8주 동안 사양시험을 시행하였다. 산삼 배양액은 음수로 급여하였으며, 0, 0.4, 0.8, 1.6, $3.2\%$ 수준으로 5개 처리구를 두었고,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체중을 비슷하게 배치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로 모든 처리구의 영양소 함량은 CP $16\%$, ME 2,800kcal/kg 수준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산란율과 산란량은 산삼배양액을 $1.6\%$ 수준까지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3.2\%$ 급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그리고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3.2\%$ 급여구가 증가하였고(p<0.05), 난중과 사료섭취량은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난각 강도, 난백고, 하우유닛 및 난황 색도는 처리구 상호간 통계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산삼 배양액 급여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한편, 산삼 배양액의 급여는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시험의 결과, 산삼배양액의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과 난황내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소라, Batillus cornutus의 난소구조 및 난자형성과정 (Ovarian Structure and Oogenesis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Lightfoot, 1786) (Gastropoda: Turbinidae))

  • 정귀권;박정준;주선미;진영국;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16
    • /
    • 2007
  • 소라, Batillus cornutus의 난소구조와 난모세포 발달단계를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 (TEM) 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전라남도 완도군 연안에서 다이버에 의해 채집된 소라는 자웅이체로서 난소는 소화맹낭부에서 꼬리돌기 끝까지 간췌장의 외측을 싸고 발달되어 있었으며, 성숙 시기에 난소는 녹색을 나타내었다. 난소의 내부 구조는 다수의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난소소엽은 상피세포와 간충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난원세포는 큰 핵과 전자밀도가 높은 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난황형성 전기의 난모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낮았고, 작은 구형의 난황 과립이 산재해 있었다. 난황형성개시기의 난모세포는 난병에 의해 난소소엽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골지체, 조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소기관과 전자밀도와 크기가 다양한 난황과립이 다수 존재하였다. 이들 난황과립의 전자밀도와 크기는 전단계의 난모세포보다 증가하였다. 후기 난황형성활성기의 난모세포의 난막 두께는 약 4.4 ${\mu}m$였다. 성숙한 난모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성의 난황과립과 전자밀도가 낮은 지질성의 난황과립으로 가득 차 있었으며 두께 약 6.5 ${\mu}m$인 난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 PDF

LED 조명의 색이 평사 사육 갈색 산란계의 산란성적, 계란 품질 및 혈액과 난관 내 번식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Colors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Reproductive Hormone Concentrations of Plasma and Oviduct in Brown Laying Hens Housed on Floor)

  • 김희나;고한서;장현수;강유현;서지수;강환구;오상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45-252
    • /
    • 2018
  • 본 연구는 LED 조명의 색(파장)이 평사에서 사육하는 갈색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난황 콜레스테롤, 혈액 및 난관 $17{\beta}$-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각 적색, 청색, 녹색, 백색의 LED 조명색으로 총 4처리를 두었고, 47주령 갈색 산란계 144수를 처리당 4반복(칸), 반복당 9수로 배치한 후 6주간 시험을 진행하였다. 파장이 긴 적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그룹의 혈중 $17{\beta}$-에스트라디올의 분비 농도도 가장 높았다. 반면 파장이 짧은 녹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낮았으나, 난중은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D 조명의 색은 난각 색, 난각 강도, 호우 유닛(HU)과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광원으로서 LED 조명의 경우 조명의 색(파장)이 산란 및 번식대사에 비슷하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 충분한 성 성숙이 완료되고, 산란율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주령에도 광 자극이 산란 및 번식 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산란성적, 계란 품질, 번식 호르몬 분비를 고려할 때, 평사에서 사육하는 47주령의 갈색 산란계에 적색 LED 조명이 가장 유리하다는 점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사료내 미량광물질 강화 복합미생물 첨가가 산란노계의 계란생산 및 난질개선에 마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Probioties Fortified with Micro-minerals on Egg Production and the Improvement of Egg Quality in Old Layer)

  • 정수진;주은정;이우식;윤병선;이주삼;남기택;황성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9-230
    • /
    • 2004
  • In recent years,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were markedly decreased by awareness of world-widely occurred diseases including mad cow disease, Foot and mouth disease, Hog cholera, and Poultry Influenza virus. the consumers ara also wanting to have highly safe food such as organic animal products because of concerning about residual of antibiotics in animal products. However, disease control and impairment of productivity are the major problem in organic animal production. On these points of view,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 or 2% of dietary probiotics fortified with various minerals on improvement of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old lay6r feeding low quality feed mainly composed of food waste, sesame meal, and rice bran. After 4 weeks of experimental feeding, the diameter of spreading of egg white was clearly decreased from 11.2cm of control eggs to 10.5m and 10.1m in 1% and 2% treatment group eggs, respectively. The color of egg yolk was 9.3 in control eggs but remarkably increased in treatment groups showing 10.1~10.2. Egg production was 75.8% in control layers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o 79.8% of 1% treatment group and 82.9% of 2% treatment group layers. Egg weights (C : 66.3g, 1% : 73.2g, and 2% : 76.7g) and egg shell thickness (C : 0.33mm, 1% : 0.35mm and 2% : 0.36mm) were also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1% or 2% of probiotics whe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eggs. All togeth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dietary addition of probiotics fortified with various minerals can improve the egg quality and egg production in layer's productivities by the recycling of organic waste resources such as food waste and agricultural by-products.

  • PDF

Aspergillus oryzae 접종 잔반사료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Aspergillus oryzae Inoculant Food-waste Diets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황보 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김원;노환국;김재황;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5-279
    • /
    • 2005
  • 본 시험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 건조 잔반을 AO 배양물로서 산란계에 급여하여,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평균 체중이 $1.5\pm0.5kg$인 50주령 산란계(ISA-Brown)를 공시하였고, 기초사료로 산란계 중기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시험사료는 대조구(Control), 잔반사료(FW)와 AO 배양물사료(AFW)를 각각 $25\%,\;50\%,\;75\%$씩 기초사료를 대체하여 총 7처리구, 3반복, 반복당 8수씩 168수를 공시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료섭취량에서 전처리구간 차이는 없었으나, FW구의 $50\%$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했고, 산란률에 있어서는 대조구 $89.8\%$에 비해 AFW $25\%$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음수량은 잔반 사료의 대체 수준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난중,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호우유니트와 난황색에서는 남은 음식물 사료의 첨가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50\%$ 이상의 첨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남은 음식물사료의 첨가에 따른 난황내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잔반 사료는 산란율을 떨어뜨리지만, 난질 개선에 효과가 있고, 산란계 사료의 첨가제로서 AO 접종 잔반 사료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시마 첨가 사료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with Laminaria religiosa on Egg Quality)

  • 조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14-719
    • /
    • 2006
  • 다시마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시마 분말을 일반사료에 10, 20% 첨가한 혼합 사료를 제조한 후 산란계에 10주간 식이하면서 생산한 계란의 색깔, 무기질 조성, 난각의 강도,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시마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난백 및 난황의 색깔은 검붉은 색으로 변화하는 경향이나 시험구간의 유의차는 거의 없었다. 무기질 중, 칼슘, 철, 칼륨, 마그네슘의 함량은 증가하고 인의 함량은 감소하여 총 무기질 함량은 860.9mg%에서 936.8 mg%로 증가하였다. 난각의 파단강도 (tensile strength)는 $63g/cm^2$에서 $77g/cm^2$로 높아졌다.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1,760mg%에서 1,113 mg%로 36.8% 감소하였다. 분석 한 17개 아미노산 중 histidine을 제외 한 모든 아미노산은 감소하였으나, histidine 함량은 2,024.0mg%에서 2,119.6 mg%로 증가하였다.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42.1%에서 42.6%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 of the Sunrise Sculpin, Pseudoblennius cottoides (Teleostei: Cottidae))

  • 유동재;한경호;백승록;김광수;하성찬;장후천;이기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3-269
    • /
    • 2003
  •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 of the sunrise sculpin, Pseudoblennius cottoides were studed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t the coastal Dolsan-do, Yeosu-shi from October, 2000 to April, 2001 Egg mass of Pseudoblennius cottoides in peribranchial cavity of Halocynthia hilgendorfi, were observed during late fall to winter in the study area. Fertiliged eggs were spherical in shape, demersal, adhesive, transparent and greenwish yellow color, measuring 1.84 mm (1.83-1.87 mm) in diameter. There were numerous and 17 (15-20) various-sized oil globules accounted in the yolk. Granular materials formed a mass in the yolk. Fertiliged eggs hatched at 301 hr 20 min after morula stage. Newly hatched larvae 6.31 mm (6.24-6.37 mm) in total length (TL), had a large yolk. At 3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6.77 mm (6.69-7.14 mm) in TL came out through the excurrent siphon of Halocynthia hilgendorfi. At 13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12.59 mm (12.42-12.63 mm) in TL transformed to postlarval stage. At 32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of TL 19.18 mm (19.01-19.46 mm) have reached the juvenile stag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Egg Quality Indicators in the Early Phase of Hy-Line Brown Laying Hens

  • Jang, Eunhy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3-60
    • /
    • 2022
  • 계란의 내부 및 외부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할란 검사를 통하지 않고도 계란 품질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지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케이지 계사에서 사육 중인 27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동일 계군이 같은 날에 산란한 180개의 계란을 수집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파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CIE L*, CIE a*, CIE b*, 반사율), 계란의 중량, 계란의 장경, 계란의 폭, 난형 지수 및 난황색 등 총 13가지의 지표를 조사하였다. 피어슨 상관 계수(r)를 이용하여, 각 품질 지표 사이의 선형 관계성을 평가하였다. 호우유닛과 농후난백높이, 난각색 CIE L*값과 반사율, 그리고 계란 중량과 계란의 폭 사이에서 매우 강한 정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r=0.975, r=0.973, r=0.814, P<0.001). 계란의 중량과 계란의 장경, 난각색 CIE L*값과 난각색 CIE a*값, 난각색 CIE a*값와 반사율, 그리고 난형 지수와 계란의 장경 사이에는 높은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703, r=-0.726, r=-0.681, r=-0.681, P<0.001). 난각의 파각 강도와 난각의 두께, 난각색 CIE a*값과 난각색 CIE b*, 난형 지수와 계란의 폭 사이에는 중간 정도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 = 0.417, r = 0.590, r = 0.405, P<0.001). 난각색 CIE a*값은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와 약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r=0.217, r=0.202, P<0.01), 난각색 CIE L*값과 파각 강도 사이에는 약한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236, P<0.01). 난각색 CIE b*값은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난각색 반사율은 파각 강도 및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25, r=-0.249, r=-0.222, P<0.01). 그 외 나머지 품질 지표들 간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거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란의 난각색은 반사율만으로 표현하는 것 보다, CIE L*값, CIE a*값과 CIE b*값을 함께 적용했을 때 갈색의 정도를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란의 난각색 CIE L*a*b*값은 계란의 품질 지표인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난각의 파각 강도와 두께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