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yolk cholesterol and fatty acid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21초

Effects of Fermented Garlic Powder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rofile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Ao, X.;Yoo, J.S.;Lee, J.H.;Jang, H.D.;Wang, J.P.;Zhou, T.X.;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86-791
    • /
    • 2010
  • The effects of fermented garlic powder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were studied in a 35-d experiment. Two-hundred and forty (ISA brown) layers aged 41 wee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following four treatments: i) CON (basal diet); ii) G1 (CON+fermented garlic powder 1.0%); iii) G2 (CON+fermented garlic powder 2.0%) and iv) G3 (CON+fermented garlic powder 3.0%).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among treatments in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shell breaking strength and eggshell thickness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yolk heigh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garlic powder during the 5th week while yolk color was greater (p<0.05) in G2 and G3 than in CON and G1 in the 5th week. Compared with CON, Haugh unit was increased (p<0.05) in response to fermented garlic powder treatments during the 5th week. No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protein, albumin and IgG were observed in response to any of the treatments over the experimental period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reduction in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when the dietary level of fermented garlic powder was increased from 0.0 to 3.0%. The levels of saturated fatty acids (SF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response to G2 and G3 while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were higher (p<0.05) in G2 and G3 treatment groups than in CON and G1.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and PUFA:SFA ratio were higher (p<0.05) in G3.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ddition of fermented garlic powder reduced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did not cause adverse effects on production performance. Moreover, addition of 3.0% garlic powder decreased SFA but increased PUFA and PUFA:SFA ratio in egg yolk.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Blue-Shelled Eggs in Korea

  • Sujiwo, Joko;Kim, Dongwook;Yoon, Ji-Yeol;Kim, Hanna;Kim, Jung-Soo;Lee, Sung-Ki;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1-190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ue-shelled eggs (BE) and conventional eggs (CE). Proximate composition, quality, pH value, shell color, collagen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cholesterol,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and antioxidation activity were determined. The proximate composition, general qualities, and pH values of CE and B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in moisture composition, weight, and shell thickness. Moisture content and weight of B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E. However, shell thickness and weight of BE were higher than those of CE (p<0.05). Lightness of B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E (85.20 vs. 58.80), while redness ($a^*$) and yellowness ($b^*$) of BE were lower than those of CE ($a^*$: -4.75 vs. 14.20; $b*$: 10.45 vs. 30.63). The fatty acid [C18:1n7 (cis-vaccenic acid) and C18:3n6 (gamma-linolenic acid)] contents of B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E. The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BE and CE were simila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E (40.78 vs. 35.35). Interestingly,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whole egg and egg yolk in BE (19.27 and 36.0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hole egg and egg yolk in CE (13.95 and 32.46). This result indicated that BE could potentially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specific compounds that affect functional activity.

감귤부산물의 급여가 계란의 품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us Byproduct on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Eggs)

  • 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358-1364
    • /
    • 2010
  • 본 연구는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계란의 품질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계란은 감귤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것(T0)과 급여한 것(T1)으로 하였다. 난백과 난황의 일반성분, 콜레스테롤, 무기질, 색소 및 총아미노산은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난황의 열량은 T1이 T0보다 높았으며, 난백 및 난황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난황의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T0 및 T1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linolenic acid는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부산물은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수 있으며, 감귤부산물의 처리방법이 될 수 있다.

Effects of Egg Phospholipids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Lipids

  • Noh Sang K.;Koo Sung I.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년도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47-5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gg phospholipids [(Phosphatidylcholine (PC) and sphingomyelin (SM)] on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other lipids. Each rat with Iymph cannula was infused via a duodenal catheter at 3.0 mL/h for 8 h with a lipid emulsion containing triolein, cholesterol and PC in 24 mL PBS. The PC in the lipid emulsion was egg PC (EPC), hydrogenated egg PC (HPC), or soy PC (SPC). The EPC in the lipid emulsion markedly lowered the I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compared with SPC and a lipid emulsion containing no PC. The HPC further lowered the absorption of cholesterol. The phospholipid output was not affected by the source of PC infused. The total Iymphatic output of oleic acid (18: 1), the major fatty acid infused in the form of triolein, did not differ among the NPC, SPC and EPC groups, b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PC group. The findings provide the first evidence that EPC markedly lowers the I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under in vivo conditions. The inhibitory effect of EPC appears to be due to the higher degree of saturation of its acyl groups relative to SPC, suggesting that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egg cholesterol may be reduced by the presence of PC in e99 yolk. Experiment 2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egg SM, structurally similar to PC, also inhibits the I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Egg SM lowered the L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in a dose dependent manner. Likewise, SM lowered the Iymphatic absorption of oleic acid, whereas it had no effect on retinol absorption. SM at a high dose lowered the Iymphatic outputs of both PC and SM, whereas there was no such effect at a lower dose. These results also indicate that luminal egg SM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other lipids of relatively high hydrophobicity.

  • PDF

산란계에서 파리 유충의 급여가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eding Dried Fly Larvae on Egg Quality in Laying Hens)

  • 황보종;이병석;홍의철;배해득;강환구;한광희;장애라;박병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3-209
    • /
    • 2005
  •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파리 유충의 사료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43주령 갈색 산란계(ISA Brown) 총 90수를 51주령까지 8주 동안 각 시험사료 처리구(대조구, 파리 유충 2, 5, 10, $15\%$ 첨가 사료)에 임의배치하여 무제한 급여하면서 사료 섭취량, 산란율, 난황색, 난중, 파란 강도, 난각 두께, Haugh unit, 계란 내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파리 유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난중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파란 강도 증가율은 $14\%$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계란 지방산 조성은 파리 유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16\%$까지 감소되었으나,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7\%$까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 실험 결과 파리유충이 산란계 사료에 첨가되면 계란의 품질은 개선되었지만 난황에서 포화지방산이 증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난류(卵類)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 달걀, 기러기알, 청둥오리알 -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and fatty acids in poultry eggs -cage system, open barn system's hen egg, moscovy duck's egg mallard's egg-)

  • 홍이진;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45-651
    • /
    • 1999
  • 일반란, 천연란, 고센란, 청둥오리알, 기러기알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식부 100 g에 대한 지질 비율은 기러기알>고센란>청둥오리알>일반란>천연란 순으로 기러기알이 가장 높았고, 지질중 TG 비율은 일반란>고센란>천연란>청둥오리알>기러기알 순으로 일반란의 TG함량이 가장 높았다. Cholesterol함량은 난황 1 g당 일반란이 14.14mg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13.30 mg으로 가장 낮았고, total lipid에 대한 cholesterol함량은 일반란이 4.5%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기러기알이 3.3%로 가장 낮았다. 방사구란과 비방사구란을 중성지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질은 방사구란에 비해 비방사구란이 더 높았고, 당지질과 인지질의 경우에는 반대로 비방사구란보다 방사구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란의 경우 중성지질 함량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이 더 낮았고, 두 종류 모두 달갈류보다 더 낮은 값이였다. 또한 당지질과 인지질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고, 두 종류 모두 달걀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분획한 중성지질과 당지질, 인지질 모두 TLC에 의한 정성반응을 통해 성분 확인을 하였다. 필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ic acid 함량은 기러기알에서, linolenic acid 함량은 고센란에서 가장 높았다. Arachidonicacid와 EPA함량는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갈류에서는 EPA값이 측정되지 않았다. DHA함량은 기러기알>천연란>일반란>고센란>청둥오리알 순으로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산삼 배양액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 능력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Wild Ginseng Culture By-products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 박재홍;신오식;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9-273
    • /
    • 2005
  • 본 연구는 식물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산삼 부정근을 배양하고 폐기되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및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였다. 19주령 로만 브라운 산란계 420수를 공시하여 산란율 $5\%$ 시기부터 8주 동안 사양시험을 시행하였다. 산삼 배양액은 음수로 급여하였으며, 0, 0.4, 0.8, 1.6, $3.2\%$ 수준으로 5개 처리구를 두었고,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체중을 비슷하게 배치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로 모든 처리구의 영양소 함량은 CP $16\%$, ME 2,800kcal/kg 수준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산란율과 산란량은 산삼배양액을 $1.6\%$ 수준까지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3.2\%$ 급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그리고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3.2\%$ 급여구가 증가하였고(p<0.05), 난중과 사료섭취량은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난각 강도, 난백고, 하우유닛 및 난황 색도는 처리구 상호간 통계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산삼 배양액 급여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한편, 산삼 배양액의 급여는 난황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시험의 결과, 산삼배양액의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과 난황내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난각 두께는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녹차 가공 부산물을 첨가한 산란계 사료의 급여가 난 생산성과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Diets Containing Green Tea By-Products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Hens)

  • Yang, C.J.;Jung, Y.C.;Uuganbayar, D.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3-189
    • /
    • 2003
  •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사료내 녹차 가공부산물을 첨가하여 난 생산성과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과 녹차 부산물의 최적 첨가수준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공시동물은 갈색 테트란 산란계 22주령 총 96수를 이용하였다. 녹차 부산물을 첨가를 각각 0%, 2%, 4% 및 6% 수준으로 4처리 4반복 반복당 6수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사료급여와 물은 자유 채식토록 하였고 나머지는 일반 관행에 따랐다. 실험 결과로 산란율은 4% 첨가구와 6% 첨가구가 각각 90.37%와 86.87%로 대조구 79.6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난중, 산란량 및 사료섭취량은 2% 첨가구가 59.68, 45.37 및 117.13 g으로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p.0.05). 난각의 두께는 대조구가 397.50$\mu\textrm{m}$로 가장 두꺼웠지만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P>0.05). 4주와 8주때 측정한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은 녹차 가공부산물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계란의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linolen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 (DHA)가 대조구보다 녹차 가공 부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렁이 분변토 발효 사료 첨가제가 계란 생산 및 악취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ermented Earthworm Cast Additives on Odor Reduction of Poultry House and Egg Production)

  • 황보종;박상오;박병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 내 분변토 발효 사료 첨가제(Fermented earthworm cast additives, FEC)의 급여가 계란 생산, 난황 지방산, 혈액 지질, 맹장 미생물 및 분변의 악취 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개의 처리구는 대조군과 FEC 3.5%를 함유하는 시험군으로 구분하였다. 계란 생산은 FEC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난황 지방산의 n-6/n-3의 비율은 FEC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액 HDL 콜레스테롤은 FEC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중성 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는 FEC가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다(p<0.05). 축사 내 암모니아는 FEC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산란계 사료 내 FEC 3.5%를 첨가 급여해 주면 계란 생산과 난황의 n-6/n-3 지방산 비율을 개선함과 동시에 분변의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산란말기에 게르마늄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ermanium on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for the Finishing Stage of Laying Hens)

  • 임천익;문홍길;김상호;최호성;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9-124
    • /
    • 2018
  • 본 연구는 산란말기 사료에 게르마늄의 수준별 급여가 닭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74주령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360수를 4개 처리 5반복 반복당 18수씩 배치하여 총 12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처리구는 영양소 함량이 ME 2,750 kcal/kg, CP 16% 수준의 기초사료에 게르마늄 분말을 0, 1, 2 및 4%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사료섭취량과 계란품질은 4주 간격으로 조사하였고, 혈액성상과 난황지방산은 사양실험 종료 후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게르마늄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성은 없었고, 사료섭취량, 난중, 1일 산란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계란의 난백높이와 호유닛은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난각강도는 게르마늄 급여구에서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P<0.05), 난각두께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 내 난황지방산중 단일불포화 지방산은 게르마늄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불포화지방산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성상에서 콜레스테롤은 처리구 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게르마늄 급여수준에 비례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중성지방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본 연구결과, 산란말기 사료에 게르마늄의 첨가급여는 난각강도를 높게 하였고, 건강관련 인자에 속하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