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powder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2초

난각 칼슘염의 종류와 난막의 존재유무가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s of Egg Shell Calcium Salts and Egg Shell Membrane on Calcium Metabolism in Rats)

  • 노경희;이상현;;;김재철;김묘정;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53-859
    • /
    • 2006
  • 본 연구는 난각 칼슘염의 종류와 난막의 존재유무가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난각에서 탄산칼슘을 용해시켜 난각 칼슘유무에 따른 칼슘급원으로서의 생기적 유용성을 확인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칼슘보충제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식이는 난각분을 유기산에 용해시켜 제조한 난각 칼슘염(초산염, 글루쿠론산염)과 난각분을 각각 난막 분리와 난막 미분리로 나누어 급여하였다. 1군은 난막 미분리 난각분{ES(M+)}을, 2군에게는 난막 분리 난각분{ES(M+)}을, 3군에게는 난막 미분리 초산염{AC(M+)}을, 4군에게는 난막 분리 초산염{AC(M-)}을, 5군에게는 난막 미분리 글루쿠론산염{GC(M+)}을, 6군에게는 난막 분리 글루쿠론산염{GC(M-)}을 칼슘농도 0.2%로 조정하여 4주간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칼슘염 중 초산염이 글루쿠론산염보다 대퇴골의 무게를 향상시켰으며 난막존재시 대퇴골 무게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난각 칼슘염의 종류와 난막유무에 따른 interaction은 없었다. 대퇴골의 체중 100 g당 Ca함량은 난막 미분리군에서는 난각 칼슘염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체중 100 g당 대퇴골의 Ca함량은 난막 미분리군에서는 글루쿠론산염군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난막 분리군에서는 초산염군으로 나타났다. 난막 분리군에서는 난각 칼슘염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칼슘염이 난각 분말 형태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Ca 흡수율과 보유량은 난막 미분리군에서는 GC(M+)>AC(M+)>ES(M+)의 순서였으며 난막 분리군에서는 AC(M-)ES(M-)의 순으로 난막분말 형태보다는 난각 칼슘염의 형태에서 높은 수준을 보여 난각 칼슘염의 형태가 Ca 흡수율과 보유량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LP의 활성은 난막유무에 관계없이 각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느나 글루쿠론산염의 형태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초산염의 형태가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난각분으로 공급하기보다는 난각 칼슘염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칼슘대사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난각의 $CaCO_3$를 이온화하여 칼슘급원으로 공급하거나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기능성을 부가한 건강증진 제품으로 개발하는 것은 한국인의 칼슘섭취수준을 향상시키고 칼슘부족으로 인한 질병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폐자원으로부터 고부가가치제품을 개발함으로써 농가 소득 및 국가경제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계란 껍데기 분말을 채움재로 활용한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Mortar Using Eggshell Powder for Filler)

  • 서은석;김봉주;홍상훈;김해나;정의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5-76
    • /
    • 2020
  • Use fire resistant construction methods, of which fire resistant boards are used to protect buildings and structures from fire. However, in the case of fire resistant boards, the unit price of the main raw material is high and the cost efficiency is low. There have been studies to apply oyster shells to fire resistant boards to solve these problems. On the other hand, egg shells are also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fire-resistant boards with components like oyster shells, but there is no case of using egg shells as building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egg shell powers used as mortar filler and compared them with the fire resistant board flexural strength standard.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powder of egg shells could be used as a building material, because the standards for the flexural strength of fire resistant boards were satisfied except for a part.

  • PDF

시금치 분말 및 농축액의 첨가 급여 수준이 난황 내 루테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Levels of Spinach Powder and Extract on Lutein Content in Egg Yolk)

  • 강근호;김상호;김지혁;강환구;김동욱;나재천;서옥석;조수현;성필남;박범영;장애라;강선문;김동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9-43
    • /
    • 2012
  • 본 연구는 시력 보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능성 물질인 루테인을 산란계 사료 내 첨가 급여 하여 난황 내루테인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산란계의 생산성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난황 색깔에 있어서는 루테인 2 ppm을 첨가 급여할 경우 난황색이 짙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 내 루테인 함량에 있어서도 2 ppm을 첨가 급여할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루테인 강화 계란 생산을 위해서는 산란계 사료 내 루테인 함유물질을 첨가 급여할 경우 원물보다는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재료에 따른 증편의 관능적.물성적 특성 (Sensor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various Additives)

  • 최영희;전화숙;강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0-206
    • /
    • 1996
  • 전통쌀가공식품인 증편의 영양성 및 기호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황, 난백, 쑥가루 등을 첨가하여 증편을 제조하였으며 첨가 재료별 증편의 성형성 및 관능적, 물성적특성을 비교 하였다. 첨가재료를 달리한 증편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쑥가루를 제외한 모든구에서 단백질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첨가구는 조지방의 함량이 높았다. 탈지 분유와 전지분유를 첨가한 증편의 loaf volume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난황, 난백, 쑥가루을 첨가 한 증편은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쑥 가루 및 난황첨가구는 기공이 균일하지 않았다. 첨가재료별 증편의 관능검사결과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백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단맛의 정도가 강하고 씹힘성 및 단단한 정도가 낮았으며, 쑥가루첨 가구는 쓴맛이 강하게 느껴지고 단단하였다. Texturometer로 증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쑥가루 첨가구는 경도, 탄력성 및 씹힘성이 높아 단단하고 탄력있는 특징을 보였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및 난백첨가구는 이러한 물성이 대체로 낮아 부드럽고 질기지 않는 물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관능검사 결과와 유사하였다. 콩가루 및 전지분유첨가구를 4$^{\circ}C$에서 저장했을 때 경도의 변화가 대조구보다 낮아 증편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 PDF

Effects of Dietary Turmer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ies in Laying Hens

  • Park, Sang-Sul;Kim, Jin-Man;Kim, Eun-Jib;Kim, Hee-Sung;An, Byoung-Ki;Kang, Chang-W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7-32
    • /
    • 201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turmeric powder (TP) on laying performances, egg qualities and its transfer into eggs. A total of two hundred, 60-wk-old, Lohmann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placed in to 5 replicates per group (10 layers each) and fed each one of four diets containing 0% TP (control), 0.10, 0.25 or 0.50% TP, respectively, for 7 wks. Egg production in the all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P<0.05).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s, egg and eggshell qualities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but Roche color fan number (yolk color) in group fed diet with 0.5% T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P<0.05).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Haugh units after 2 wk of stor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0.05). The curcumin content of egg yolk in the groups fed diet containing 0.50% T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P<0.05). The cholesterol levels of egg yolk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P. It was concluded that dietary TP was effective in improving laying performance and internal egg qualities. TP can be also used as a feed additive for the production of value-enhanced eggs with increased yolk color and curcumin content.

제빵시 난각의 이용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Egg-shell for Bread-making)

  • 김중만;김용섭;양희천;최용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0-166
    • /
    • 1989
  • 제빵시 폐자원 일종인 난각을 첨가하여 식빵의 calcium 강화효과와 팽창기능을 조사하였다. 제빵시 첨가한 난각의 최적 입자는 120mesh 이상으로 분쇄 하는 것이 적당하였고, baking-powder, yeast, 난각의 탄산가스 발생량은 각각 $153{\pm}3ml/g,\;115{\pm}3ml/g(Yeast\;1g+Sugar\;29),\;205{\pm}3ml/g(egg-shell\;1g+10%\;acetic\;acld\;50ml)$로 반응물질(혹은 기질) 1g 당 탄산가스 발생량은 난각이 제일 많았다. Baking-powder, yeast, 난각의 $CO_2$ 최대발생량 도달시간은 각각 10분, 240분 45분 이내였다. 기본 식빵재료구성에 난각과 젖산이 함께 첨가될때 용적과 견고성에서 바람직하였고 반대로 효모를 넣지않고 팽창제로서 난각만 첨가하거나 혹은 난각과 젖산을 첨가한 경우는 좋지 않았다. 빵제품의 calcium 함량은 난각의 첨가량$(3{\sim}5%)$에 비례하여 증가 효과가 없으면서도 기존 빵제품에 비하여 맛과 견고성 면에서 떨어지지 않았다. 결국 제빵시 난각의 첨가는 빵제품의 calcium강화와 yeast평창효과를 보족하여 주는 효과가 있었다.

  • PDF

폐칼슘 재료를 채움재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휨·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nding and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using Waste Calcium Material as a Filling Material)

  • 김해나;김봉주;정의인;서은석;홍상훈;신동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4-65
    • /
    • 2020
  • Oyster shells are difficult to grind, while oyster shell powders have coarse and coarse grains, whereas egg shell powder, the same high calcium material, has small and soft particles and has opposing properties. In order to study the change in flexural and compressive strength by designing different mixing ratios using 50% of oyster shell powder and egg shell powder as a filling material.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result.

  • PDF

타조알 껍질로부터 젖산칼슘의 제조 (Preparation of Calcium Lactate from Ostrich Egg Shell)

  • 고민경;노홍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1-24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타조 사육농장으로부터 폐기물로 나오는 타조알 껍질을 부가가치가 높은 칼슘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타조알 껍질의 회화분으로부터 젖산칼슘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검토하고 이들 제품의 품질을 조사 하였다. 젖산칼슘 제조시 최적조건으로, 젖산 용액의 농도는 CaO : 젖산의 몰 비가 1 : 2.00, 젖산용액의 양은 30 mL, 반응 온도와 시간은 실온에서 15분으로 간주되었다. 젖산칼슘의 품질을 검사한 결과, 무기질 성분으로 Ca 함량은 39.70%로 타조알 껍질(OES)의 Ca 함량 40.98%과 유사한 반면 그 외 무기질 성분은 K를 제외하고 모두 OES보다 상당히 감소하였다. 용해도는 젖산칼슘이 97.7%로 OES의 응해도 0.58%와 회화분의 용해도 3.43%에 비하여 월등히 높아, 젖산칼슘을 제조하여 이용하는 것이 칼슘제로서 의 이용률을 더욱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방사선조사에서 나노 입자 혼합물의 영향 (The Effects of Nanoparticles for Irradiation)

  • 예지원;신현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145-152
    • /
    • 2011
  • Background: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radiation dos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n irradiated egg albumin and nanoparticle ($Fe_3O_4$) powder mixed egg albumin. Methods: A new type of phantom was designed by fabricating a $30{\times}30{\times}30cm$ acryl square inside a $3{\times}3{\times}3cm$ small square and dividing it into two parts. In the control group, only egg albumin was irradiated, and in the test group, 25 nm 20 mg/cc, 25 nm 40 mg/cc, and 1 um 40mg/cc nanoparticles with egg albumin were irradiated. The radiation isodose distributions and temperature changes were then observed.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radiation dos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Conclusion: The nanoparticles were considered not to have had any effect on the radiation dos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urther studies can be conduct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mixture material.

  • PDF

내화보드에 사용하기 위한 계란 껍데기 및 굴 패각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연구 (Egg shells and oyster shells for use on fireproof boards Study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신동욱;신종현;김해나;홍상훈;정의인;김봉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6-47
    • /
    • 2020
  • Oyster shells and egg shells consist of CaCO3, which is known to have excellent fire performance as the main component, and resear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s a fireproof board materia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yster shell powder and egg shell powder are studied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fireproof bo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