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membran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3초

Characteristic Changes in Korean Native Cattle Spermatozoa Frozen-Thawed with L-Cysteine and/or Catalase

  • Lee, Sang-Hee;Lee, Kyung-Jin;Woo, Jea-Seok;Lee, Seung-Hwan;Cheong, Hee-Tae;Yang, Boo-Keun;Park, Choon-Keu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3-169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Cattle sperm frozen-thawed with L-cysteine and/or catalase. The semen from bulls was collected by the artificial vagina method, and Triladyl containing 20% egg-yolk and/or L-cysteine (L), catalase (C) and L-cysteine + catalase was added to the diluted semen for cryopreser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perm vi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ysteine + catalase ($69.49{\pm}3.16%$) group than in the control ($60.5{\pm}3.94%$) group (p<0.05). Acrosome dam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cysteine ($17.12{\pm}1.08%$) group than in the control ($21.46{\pm}1.14%$), catalase ($20.54{\pm}0.76%$), and L-cysteine + catalase ($19.29{\pm}0.65%$) groups (p<0.05). In addition, the level of intact mitochondria in the spermatozo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ysteine ($58.65{\pm}1.39%$) group than in the control ($50.63{\pm}2.37%$) group (p<0.05). The hydrogen peroxide level in the frozen-thawed sperm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cysteine ($3.74{\pm}1.66%$), catalase ($4.65{\pm}1.87%$), and L-cysteine + catalase ($8.11{\pm}2.15%$) groups than in the control ($13.22{\pm}1.6%$) group (p<0.05). The glutathion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ysteine ($1.33{\pm}0.03%$) group than in the control ($1.08{\pm}0.06%$), catalase ($1.05{\pm}0.02%$) and L-cysteine + catalase ($1.11{\pm}0.03%$) groups (p<0.05). In conclusion, L-cysteine and catalase could protect the membrane of Korean Native Cattle sperm from damage during sperm cryopreservation. Especially, L-cysteine was more effective for keeping acrosomes and mitochondria intactness during sperm cryopreservation.

Ultrastructures of Oocyte Development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the Yolk Protein Following HCG Treatment in Korean Native Catfish (Silurus asotus)

  • Yoon, J.M.;Chung, E.Y.;Kim, G.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74-183
    • /
    • 2001
  • During the rapid phase of gonadal development of the freshwater teleost, the catfish (Silurus asotus), the influence of hCG upon the inducement of final oocyte maturation and spawning was investigated electrophoretically and ultrastructurally.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btained were different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ome of the major or minor zones, because of the hormone level in catfish. The vitellogenin of hormone-treated fish was stained more intensively than that of sham-treated fish. These proteins showed some minor or main bands of egg extracts which migr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molecular weights of approximately 90,000. However, the thickness of electrophoretic band in molecular weight for hCG-treated fish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for saline control. It seemed the plasma protein with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45,000 in hCG-treated fish disappeared. In contrast to the control fish, the ovaries in the catfish treated with hCG shows a marked ultrastructural change under the electron microscope. No dilated profiles were seen in the granulosa cells of the mature oocyte before ovulation. After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the zona radiata interna (ZRI) becomes more compact, and there is a loss of all the processes from the pore canals. There is a wide space between the vitelline membrane and zona radiata. Also, during final maturation, the microvillar processes from the oocyte are seen no longer to penetrate deeply into the extracellular spaces of the overlying granulosa cells, and the reticulate patterns of the zona radiata interna becomes occluded, giving the zona radiata a more solid appearance. It has been possible to initiate 100% oocyte maturation in yolk granules and follicles in vivo by treatment with hCG and a high water temperature ($27^{\circ}C$). In hCG-treated fish, the percentages of successful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hatching were maximal at 15 h after a single injection. It seems clear that a long acting preparation containing hCG can be successfully used in prespawning fish to advance the final events of gonadal maturation and initiate spawning.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hCG to either stimulate or inhibit the reproductive development of fish at other stages of the seasonal reproductive cycle.

Cellulose casing에 충진한 명태 절란젓의 숙성중 품질변화 (Property Changes of the Salt-Seasoned and Fermented the Broken Roes of Alaska Pollock Stuffed into Cellulose Casing)

  • 박종혁;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0-224
    • /
    • 2002
  • 폐기물로 버려지는 명태 가공부산물인 절란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절란 젓을 제조하여 cellulose casing에 포장한 다음 숙성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온숙성$(25^{\circ}C)$에서는 냉장숙성$(5^{\circ}C)$보다 pH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산량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상온숙성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냉장숙성에서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상온숙성시 숙성기간 1주일째 급격한 증가 후 서서히 증가하였고 냉장숙성$(5^{\circ}C)$시 3주째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휘발성 염기성 질소는 상온숙성$(25^{\circ}C)$시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냉장숙성$(5^{\circ}C)$시 서서히 증가함을 보였다. 미생물의 변화는 상온숙성$(25^{\circ}C)$시 냉장숙성$(5^{\circ}C)$보다 미생물의 수치가 높았으며, 대장균군은 초기에 나타났다가 모두 제거되었다. 명태 절란젓의 최적 생산공정 및 유통기간 설정을 위해서는 관능검사 등을 통한 보충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주꾸미 (Octopus ocellatus) 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난소와 소화기관을 포함한 몸통부위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Ovary and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ssociated with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Octopus ocellatus)

  • 정의영;김종배;김병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3
    • /
    • 2004
  • Gonadosomatic index, condition index and reproductive cycle with the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Octopus ocellatu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morphometric dat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0. And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ovary and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ssociated with gonadal development were studied by biochemical analysis from January to October, 2001.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at the coastal waters of Buan, Jeollabuk-do, Korea, from January 2000 to October 2001. O. ocellatus is a dioecious organism. The gonad of O. ocellatus locates medially in posterior region of the body. Morphology of the ovary shows round and oval in shape, the average diameter and external colour of ripe ovary was 32 mm and semitransparent light brown in colour. As the ovary was getting mature, transparent elongated eggs covered with chorion were present in the ovarian cavity.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those of the condition index. The GSI and condition index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their values decreased from May and reached the minimum in September. Reproductive cycle of O. ocellatu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developing stage (September to December), late developing stage (November to March), ripe stage (March to May), partially spawned stage (April to June), and degenerative/resting stage (June to October). Follicle cells attached to an oocyte were involved in vitellogenesis in the cytoplasm of the vitellogeneic oocyte and formation of chorion (secondary egg membrane) of the ovarian eggs. Spawning occurred between April and June.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and the peak took place between May and June. This species belongs to semelparity. According to changes in biochemical contents of the ovary and the digestive organ, monthly variations of moisture, total protein, total lipid and glycogen contents (%) in the ovar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those of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the ovary only may be received nutrient supply (total lipid content) for gonadal development from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r = -0.55, p < 0.05).

  • PDF

셀룰로오스 케이싱에 충전한 명란훈연소시지의 텍스쳐에 대한 세팅의 영향 및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Effect of Setting on the Texture Intensity of Smoked Alaska Pollock Roe Sausage with Cellulose Casing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 박종혁;김영명;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6-103
    • /
    • 2006
  • 명태 절란을 원료로 한 명란훈연소시지의 품질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조구 및 셋 소시지에서 카라기난의 양이 많을 수록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brittleness 및 gumminess가 높게 측정되었고, 명란훈연소시지 제조시 setting은 텍스쳐 강도를 크게 증가시켰다. 셋 소시지에 있어서 원료성분의 최적 배합비율은 명태 절란, 전분 및 카라기난 함량이 각각 88.5, 5.0 및 $2.0\%$인 제품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모든 시료에서 pH는 저장 4개월째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 하였으며, 진공 및 질소포장은 대조구보다 pH 변화가 낮았다. 휘발성염기질소량 및 TBA 값은 대조구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진공 및 질소포장 제품은 저장 2개월째까지는 변화가 없었다가 저장 4개월째부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였다. 총균수는 대조구가 진공 및 질소포장 제품에 비하여 저장기간 동안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 동안에 음성으로 나타나 대장균군에 의한 오염여부의 측면에서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불볼락(Sebastes thompson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안철민;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6
    • /
    • 1998
  •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경남 삼천포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불볼락의 성숙 및 생식주기를 주로 조직학적 방범에 의해 연구하였다. 난소내부는 난소외막으로부터 시작된 여러겹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며 이곳에서 난원세포가 유래한다 난모세포는 성장하면서 난소박판 내부에서 부터 난소강쪽으로 돌출되어 난병에 의해 난소박판에 연결된다. 정소의 내부조직상은 다수의 정세관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정세관은 여러개의 소낭구조를 가지는데 각 소낭내의 생식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생물학적 최소형은 암컷은 전장 19.5cm, 수컷은 전장 21.5cm이다.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3월에 9.56으로 연중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8월에는 0.15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수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2월에 0.25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7월에는 0.04로 연중 최저치를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암컷은 성장기 ($10\~11$월), 성숙기 ($12\~2$월), 임신기 (3월), 출산 및 회복기 ($4\~6$월) 그리고 휴지기 ($7\~9$월)로 나눌 수 있다. 수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9\~11$월), 성숙기 ($12\~1$월), 완숙 및 교미기 ($2\~3$월) 그리고 퇴화 및 휴지기 ($4\~8$월)로 나눌 수 있다.

  • PDF

Isol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s of canine distemper virus from a naturally infected Korean dog using Vero cells expressing dog signaling lymphocyte activation molecule

  • Yang, Dong-Kun;Kim, Ha-Hyun;Lee, Siu;Yoon, Yoon-Seek;Park, Jungwon;Oh, Dongryul;Yoo, Jae Young;Ji, Miryeon;Han, Bokhee;Oh, Subin;Hyun, Bang-Hu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5호
    • /
    • pp.64.1-64.14
    • /
    • 2020
  • Background: Canine distemper virus (CDV) infection results in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in dogs. There has been no report about Isolation of Korean CDV since 1980 in Korea.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 genetic characterization of Korean CDV. Methods: Vero cells expressing dog signaling lymphocyte activation molecule (dSLAM) gene named as Vero/dSLAM were used to isolate CDV using 17 samples. Diagnostic methods such as cytopathic effects, immunofluorescence assay, peroxidase linked assay, electron microscopy, rapid immunodiagnostic assay,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used to confirm the Korean CDV isolate as a CDV. The 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cloning and sequencing of hemagglutinin gene of CDV isolate. Results: A virus propagated in Vero/dSLAM cell was confirmed as CDV (CD1901 strain) based on the above methods. The CD1901 strain showed the highest viral titer (105.5 50% tissue culture infectious dose [TCID50]/mL) in the Vero/dSLAM cells at 4 days post inoculation, but did not form a fork on chorioallantoic membrane of 7-day-old egg. Ribavirin, a nucleotide analogue anti-viral agent, inhibits moderately the Korean CDV propagation in the Vero/dSLAM cells.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H gene of CD1901 strai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DV strains. The CD1901 strain belonged to Asia 1 group and had the highest similarity (99.9%) with the BA134 strain, which was isolated in China in 2008. Conclusions: We constructed successfully Vero/dSLAM and isolated one Korean CDV isolate (CD1901 strain) from a naturally infected dog. The CD1901 strain belonged to Asia 1 genotype.

기생충질환(寄生蟲疾患)의 면역혈청학적(免疫血淸學的) 진단(診斷)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roimmunodiagnosis of Parasitic Diseases)

  • 임한종;이준상;주경환;엄기선;정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3권1호
    • /
    • pp.41-59
    • /
    • 1988
  •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몇몇 기생충질환을 대상으로 각종의 혈청학적 진단법을 적용시켜 진단적 가치 및 의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기생충은 간흡충, 낭미충, Capillaria hepatica이었으며, 주로 간접 형광항체반응, ELISA, western blot등의 기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흡충증에 있어서 ELISA는 83.3%의 민감도를 나타낸 반면 폐흡층 및 조충과의 교차반응이 인정되었다. ELISA는 간접혈구응집반응, 간접형광항체 반응에 비해 우수한 성적을 보이고 있었다. 앞서 기술한 교차반응을 구별하고 항원-항체반응의 특이항원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western blot의 결과 59Kd band와 21K의 band는 간흡충감염자 혈청이외에는 반응하지 않아 종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raziquantel로 치료한 다음 18개월 후에 혈청 및 뇨를 이용하여 ELISA로 검사한 결과 OD치는 치료전의 약 1/2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음전률은 60%에 이르렀다. 간접혈구응집반응을 이용할 경우 치료 18개월 후 80%가 음전되었다. 2) 낭미충증 진단에 있어서 간접형광항체반응은 95.8%(23/24)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내막에서 가장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ELISA 역시 90.0%(36/40)의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나 두 방법 모두에서 다른 기생충감염자 혈청과의 교차반응이 인정되었다. Western blot 에서 볼때 91, 63, 21Kd의 band가 종특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63Kd의 항원대가 일관성 있게 낭미충 감염 혈청과 반응하였다. 3) Capillaria hepatica 충란을 이용한 난주위침강반응 및 간접형광항체법에서 85.0%의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초록색의 특이한 형광이 점막전주위 및 충란절단면의 내막에서 관찰되었다. 수용성충란항원을 이용한 ELISA에 있어서도 85.0%의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항체가 감염후 3~5주부터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9주부터 점차 감소되어 감염후 13주에는 음성으로 전환되었다.

  • PDF

패각 칼슘 입자 크기에 따른 흡수율 (Intestinal Permeability of Oyster Shell Calcium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 한정희;최현선;나경수;정승식;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54-4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패각에서 유래하는 칼슘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분쇄한 패각 칼슘을 입자 크기별로 제조하여 이온화율과 흡수율을 조사하였다. 패각 칼슘분말 현탁액을 알코올 중에서 비중차이별로 분리하고 입자 크기를 측정하여 4개의 시료군으로 나누었다; NC(일반 패각 칼슘), C-1(1,000 rpm 상등액), C-2(2,000 rpm 상등액), C-3(3,000 rpm 상등액). 이들의 입자 크기는 각각 $2,280.3{\pm}64nm$, $521.3{\pm}83.3nm$, $313.9{\pm}29.5nm$, $280{\pm}3.4nm$를 보였다. 각 칼슘군들을 대상으로 이온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C-3군이 오차범위내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이온화율이 다소 증가했다. In vitro 상에서 dialysis 막을 이용한 나노칼슘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나노칼슘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막 투과성이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rat의 내장주머니 막(intestinal sac)을 이용하여 장내 환경별 나노칼슘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C-3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십이지장(pH 4.2)과 공장(pH 6.2) 환경보다는 회장(pH 7.2)에서의 나노칼슘의 장투과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C-3군에서는 십이지장 환경에서의 투과율이 다소 높았다. 특히 십이지장 환경에서의 샘플 간 투과율을 비교할 때 C-2와 C-3군이 가장 높은 투과율을 보였고 NC 칼슘이 가장 낮은 투과율을 나타내어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장 투과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패각에서 유래하는 칼슘을 적절한 가공처리를 거쳐 나노칼슘으로 만들면 칼슘의 이온화율과 장내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새조개, Fulvia mutica (Reeve)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Cockle, Fulvia mutica (Reeve))

  • 장영진;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1-250
    • /
    • 1982
  • 자웅동체형 이매패인 새조개, Fulvia mutica,의 자원관리 및 양식을 위한 기초생물학적 연구로서, 1980년 10월부터 1981년 9월까지 월별로 채집한 여수근해산 재료를 대상으로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월파를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제사하였다. 생식소는 복잡한 관상구조를 가진 않은 난소소낭과 정소소낭들이 서로 혼재된 자웅동체형을 나타내고 있다. 발달초기의 생식소에서 성장중인 생식세포와 함께 호산성 과립세포와 불분화간충조직들이 풍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생식소 성숙함에 따라 점차 소실되어 간다. 완숙난의 크기는 $56\sim67{\mu}m$으로 젤라틴장의 피막에 둘러싸여 있고, 변태를 마친 완숙정자는 청소소의 내경신앙에 파상의 정자수을 형성한다. 새조채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성숙기, 방출기, 퇴화기 및 회복기의 연연시인 6단계로 나눌 수 있었으며, 산난기는 수온 $20^{\circ}C$내외의 $5\sim10$월로써, 그 성기는 $6\sim7$과 9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의 조기산난개체들은 생식소를 곧 회복발달시켜 9, 10월 방난군에 다시 참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