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hatching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Fertilized Egg Development and Larval Development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Song, Young-Bo;Lee, Chi-Hoon;Kang, Hyeong-Cheol;Kim, Hyung-Bae;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369-377
    • /
    • 2013
  • The fertilized eggs of E. septemfasciatus are spherical and transparent with buoyancy at 790 to $890{\mu}m$ (average $821.8{\pm}2.0{\mu}m$) in diameter with 170 to $230{\mu}m$ oil globules (average $192.9{\pm}0.93{\mu}m$). Hatching began approximately 46 and 35 hours after fertilization at $22.0^{\circ}C$ and $25.0^{\circ}C$ water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average total length of newly hatched larvae was $1.75{\pm}0.03mm$. Most of the yolk and oil globules were absorbed within 3 to 4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reached 2.48 to 2.72 mm in total length, and their mouths and anuses opened at 3 to 4 days after hatching. In this time, the mouth diameters of the larvae were 0.209 to 0.238 mm. The larvae reached 3.24 to 4.15 mm in total length at 11 to 17 days after hatching, and began to metamorphose at the time the second dorsal and pelvic spines appeared and elongated. The abdominal cavity was densely lined with melanophores. The larvae reached 5.12 mm in total length at 24 days after hatching.

서해안 민어, Miichthys miiuy의 산란 특성과 부화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Hatching and Spawning Characteristics of Miichthys miiuy in the Western of Korea)

  • 윤호섭;서대철;최상덕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06
  • 본 연구는 민어의 자원조성을 위한 양식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산란 특성과 부화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어미는 5년동안 자연산 암컷 39마리, 수컷 24마리로서, 암컷의 크기는 평균 전장 $72.3\sim89.6\;cm$, 평균 체중의 경우 $3,736\sim8,818\;g$이었으며, 수컷의 크기는 평균 전장 $47.1\sim81.2\;cm$, 평균 체중은 $716.6\sim6,853\;g$이었다. 안정적인 채란을 위한 민어친어의 적정크기는 전장 $97.9\sim110.2\;cm$, 체중 $9,657\sim13,200\;g$였다. 유구는 $1\sim5$ 개가 존재하며, 유구수가 1개일때 가장 높은 부화율(96.7%)을 나타내었다. 염분농도별 부화율은 30.0 ppt일때 87.0%로 가장 높았으며, 부화시간의 경우 28.0 ppt일때 17시간 24분으로 가장 짧았다.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Pisces: Odontobutidae)

  • Park, Jae-Min;Han, Kyeong-Ho;Kim, Na-Ri;Yoo, Dong-Jae;Yun, Seong-Min;Han, Ji-Hye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259-266
    • /
    • 2014
  • The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which is Korean endemic species from Sora-choen was investigated. The Korean spotted sleeper were caught at Sora-myeon, Yeosu-si, Jeollanamdo, from Korea at May in 2014. The fertilized eggs were $4.23{\pm}0.05mm$ in long diameter and had oil globules. Hatching time of the embryo began about 442 hr 14 min after fertilization under water temperature of $19.5^{\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4.27{\pm}0.35mm$ in total length and their anus were not yet opened. 3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20{\pm}0.11mm$ in total length. 10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69{\pm}0.14mm$ in total length.

Early Life History of Coreoperca herzi in Han River, Korea

  • Park, Jae-Min;Jeon, Hyung-Bae;Suk, Ho Young;Cho, Seong-Jang;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4권1호
    • /
    • pp.63-70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arly life of Coreoperca herzi living in Han River and compare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roups during the 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relevant taxonomic research. On average, one female individual spawned 541 to 861 eggs (average 701) at once. After 259 hours, the tail broke out of the egg membrane and hatching began.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larvae were average 7.81±0.10 mm (n=5) in total length. 60 days the juvenile was average 35.9±1.30 mm (n=5) in total length. The white spots spread to the rest of the body, rending the same pattern as that on the body of their broodstock fish.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제비의 먹이자원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Food Resources of Summer Breeding House Swallow (Hirundo rustica) in Korea)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23-129
    • /
    • 2009
  • In Korea the population of breeding house swallow is continuously decrea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verall population trend during 2001-2005. The areas of urban and rural sites were separated to estimate population. Also the sites in Yangpyung areas were chosen to compare population density between two sites during Mar-Aug, 2006. The house swallow had two breeding periods and I tried to correlated amount of days of incubation and number of eggs in the nest. After egg hatching the homing behavior also was estimated assuming lack of foods takes longer to bring foods back to the nest. This study signified that a long term study should be conducted for population change and spring arrival time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

PAHs와 TBT에 대한 동물플랑크톤의 반응

  • 장풍국;장민철;이재도;장만;신경순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154-162
    • /
    • 2002
  • 인간이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의 독성을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요각류는 장목만에서 주로 가을에 많은 출현을 보인 Acartia erythraea와 늦가을부터 그 다음해 봄까지 우점하는 A. omorli였다. 지속성 유기오염물에 대한 요각류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광양만에서 주로 나타나는 5가지 PAHs에 대한 A. omorli 48h-LC50을 구하였고, 온도에 따른 Benzo(a)pyrene과 TBT의 독성의 변화를 Brine shrimp(Artemia)를 이용해 실험하였으며, PAHs 중에서 독성이 강한 Benso(a)Pyrene에 노출된 먹이를 섭취한 Acartia erythraea와 A. omorli의 egg Production, hatching rate, fecal Pelle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A. omorli의 48h-LC50으로 조사된 결과 Fluoranthene과 Benzo(a)pyrene의 독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온도실험에서는 동일한 유해물질을 가지고 실험을 하더라도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급격한 독성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고, 유해물질간에도 온도에 따라서 나타나는 독성에 대한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Benzo(a)Pyrene에 노출된 먹이는 요각류의 egg Production, hatching rate, fecal Pellet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농도와 실험시간에 따른 부정적 영향들을 보였다.

  • PDF

인위적으로 성숙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성숙란의 생화학적 과숙 특징 (Biochemical Overripeness Characterization of Artificially Maturat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Egg)

  • 권오남;아다찌신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6-180
    • /
    • 2008
  • 본 연구는 인위적으로 배란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배란란의 과숙특징을 생화학적으로 밝히고, 과숙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용된 뱀장어 성숙란의 수정률과 부화율, 부화 후 3, 10일 후 생존율과의 관계는 Y=0.7954X+32.448($R^2=0.8176$, P=6.35E-7), Y=1.0241X-26.401($R^2=0.8121$, P=5.95E-27) 및 Y=0.9314X-24.814($R^2=0.7619$, P=7.33E-14)였다. DNA 함량은 부화율의 감소와 함께 20% 이하의 부화율을 보이는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0.653 pg/ug protein을 보였다(P<0.05). 그리고 이들의 비는 부화율이 20% 이하의 난에서 1.05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비를 보였다(P<0.05). 또한 부화율에 따른 total alkaline protease와 ACPase 활성은 모든 부화율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부화율 20% 이하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186.16 ug/mg eggs의 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뱀장어의 과숙란은 지속적인 단백질의 공급으로 정상란의 과숙화를 촉진하여 부화율이 저하된다. 결국 세포는 과숙으로 인해서 죽었기 때문에, 간에서 생성된 난황단백질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속도를 늦추어서 복강 내 배란 후 과숙을 방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gg Development of the Ussurian Bullhead Fish, Leiocassis ussuriensis (Pisces: Bagridae)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Its Larvae and Juveniles

  • Park, Jae-Min;Yim, Hu-Sun;Lee, Yong-Sik;Kim, Heung-Yu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4호
    • /
    • pp.189-196
    • /
    • 2015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ovogenesis of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its larvae and juveniles and to use the results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species and resource enhancement. For artificial egg collection,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was injected at a rate of 10 IU per gram of fish weight. During breeding period, water temperature maintained at $24.5{\sim}26.5^{\circ}C$ (mean $25.0{\pm}0.05^{\circ}C$). The process of ovogenesis reached the two-cell stage in 5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In 73 hours of fertilization the movement of the embryoid body became active state and the larvae began to hatch from the tail through the oolemma. Length of prelarvae were 6.33~6.50 mm long (mean $6.40{\pm}0.06mm$) just after hatching having yolk with their mouth not opened. After thirty eight days of hatching, juveniles were 30.6~32.5 mm long (mean $31.5{\pm}0.65mm$). The color was dark yellowish brown throughout the entire body, and the number of caudal fin rays developed to thirty six perfectly.

인공부화기의 실시간 중량감지를 위한 로드셀을 이용한 시스템 연구 (Study of system using load cell for real time weight sensing of artificial incubator)

  • 정진형;김애경;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4-149
    • /
    • 2018
  • 인공부화기 내에 종란이 입란하여 18일간 발생기를 거쳐 발육기로 이란을 한다. 발생기 동안 계태아 무게 손실은 곧 기실형성과 상관되며 적당한 기실 형성은 곧 건강한 초생추와 입란 대비 부화율과도 연결된다. 그러나 국내 부화장의 부화기에는 현재 무게를 측정하는 장치 없이 부화실장과 관계자의 경험과 발육기로 이란시 표준 무게 측정으로 결과적 측면을 습득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로 인하여 부화 중 조기 폐사, 약추, 병약한 초생추 발생이 빈번한 실정이다. 종란 중량 감소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발육장치기 안에서의 무게 변화에 따른 병아리 품질과 부화율 성과를 얻는 데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종란의 크기와 난각질, 노계 군에 따라 수분 손실은 각기 다르다. 발육기 안에서 무게 변화를 실시간 측정하고 그에 따른 환기 변화를 최적화하여 부화율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부화 시 전체 무게의 10~13% 감소를 컨트롤할 수 있는 실시간 측정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를 통한 시스템은 기존의 입란과 이란시 직접적으로 일회성을 체크하는 방식으로 발육 기간 내에는 계태아 수분 증발 측정 제어가 불가능하여 부화율에 영향을 못 미치는 시스템과 달리 아두이노 스케치 보드에 로드셀 4개를 병렬로 연결하고 실시간으로 휴대폰,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 Hyper-termin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T-command 명령어를 활용하여 정상적으로 연동하였다. 블루투스의 통신속도는 15200으로 설정하여 아두이노와 Hyper-terminal 프로그램의 통신 속도를 맞춰주었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여 인공부화기 내의 계태아 무게의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종란의 부화율 상승 및 건강상태의 향상을 목표로 하였으며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위천에 서식하는 피라미(Zacco platypus)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Eggs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Pale Chub, Zacco platypus from Wicheon)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0-196
    • /
    • 2017
  • 피라미의 수정란을 부화 사육하여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실험어는 2016년 6월 낙동강 수계인 위천에서 어미를 포획하여 인공수정 하였다. 난의 크기는 1.68~1.78 mm (평균${\pm}$SD, $1.73{\pm}0.07mm$, n=30)였고, 부화 시간은 7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5.39~5.42 mm ($5.40{\pm}0.02mm$, n=10)였고, 부화 후 8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 7.89~7.93 mm ($7.91{\pm}0.02mm$, n=10)로 꼬리지느러미에 10개의 줄기가 형성되었으며, 부화 후 44일째 치어는 전장 16.1~16.5 mm ($16.3{\pm}0.28mm$, n=10)로 각 부위별 지느러미 줄기수가 정수에 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