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albumin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44초

Power Absorption Measurements during NMR Experiments

  • Felix-Gonzalez, N.;Urbano-Bojorge, A.L.;de Pablo, C. Sanchez-L;Ferro-Llanos, V.;del Pozo-Guerrero, F.;Serrano-Olmedo, J.J.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9권2호
    • /
    • pp.155-160
    • /
    • 2014
  • The heating produced by the absorption of radiofrequency (RF) has been considered a secondary undesirable effect during MRI procedures. In this work, we have measured the power absorbed by distilled water, glycerol and egg-albumin during NMR and non-NMR experiments. The samples are dielectric and examples of different biological materials. The samples were irradiated using the same RF pulse sequence, whilst the magnetic field strength was the variable to be changed in the experiments. The measurements show a smooth increase of the thermal power as the magnetic field grows due to the magnetoresistive effect in the copper antenna, a coil around the probe, which is directly heating the sample. However, in the cases when the magnetic field was the adequate for the NMR to take place, some anomalies in the expected thermal powers were observed: the thermal power was higher in the cases of water and glycerol, and lower in the case of albumin. An ANOVA test demonstrated that the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d power and the expected power are significant.

고온환경에서 이온수의 급수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nking Ion Water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Biochemical Composition of Laying Hen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 임천익;레이나마수드;리홍룡;조태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21-126
    • /
    • 2020
  • 본 연구는 고온환경에서 이온수의 급수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24주령 산란계 180수를 3개 처리구 5반복으로 배치하여 4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처리구는 수돗물(tap water; TW)과 냉수(cold water; CW)를 급수하고, 이온수 급수구(ion water; IW)와 비교하였다. 산란계의 생산성은 산란율과 난중을 매일 조사하여 계산하였고, 계란 품질과 혈액성상은 사양실험 종료 후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고온환경에서 이온수 급수로 일반 수돗물에 비해 산란율, 난중 및 사료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P<0.01), 계란의 난백 높이와 호우유닛 및 난각 두께도 증가하였다(P<0.05). 혈액성상에서 칼슘과 인은 이온수 급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10), HDL 콜레스테롤과 알부민은 이온수 급수구에서 수돗물에 비해 통계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본 실험 결과 이온수 급수로 여름철 산란계의 고온스트레스를 완화되었다. 특히 이러한 이온수가 혹서기에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은 냉수를 급수한 결과와 유사하였으므로 냉수 급수법과 함께 산란계에 활용될 수 있는 여름철 음용수 관리법으로 가능성을 보였다.

γ-Aminobutyric Acid 및 생균제 급여가 여름철 산란 종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γ-Aminobutyric Acid and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Parameter of Laying Hens Parent Stock in Summer)

  • 김지헌;고유돈;성하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39-246
    • /
    • 2022
  • 본 연구는 여름철 γ-aminobutyric(GABA)와 생균제 급여가 산란 종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혈액 생화학 조성, corticosteron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24주령의 산란 종계 총 105수를 3개 처리(대조구, GABA, probiotics), 처리당 7반복, 반복당 5수로 설정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GABA와 생균제는 배합사료 내 각각 50ppm과 0.1%로 첨가하여, 총 6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기간 산란종계의 평균 계란 생산량, 산란량은 대조구보다 생균제 급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FCR은 생균제 급여 처리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산란 종계 계란의 난중, 난백고 높이, Haugh units, 난황색, 난각두께, 난각강도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모든 혈청 생화학 조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내 corticosterone 농도는 GABA와 생균제 급여로 인하여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GABA와 생균제 급여 시 고온기 산란 종계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생균제 급여는 계란 생산성 및 산란량 성적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된 난백 알부민의 항원성에 미치는 가열의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genicity of Gamma-Irradiated Egg White Albumin)

  • 이주운;육홍선;조경환;김미리;김천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48-853
    • /
    • 2001
  • 이 연구는 난백단백질의 알러지성을 없애기 위해 감마선 조사된 OVA에 대한 가열처리가 항원성(알러지성) 및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위해 수행되었다. OVA 용액 (2.0 mg/mL)을 1) 가열처리구; 2) 가열 후 조사구; 3) 조사 후 가열처리구로 준비하였다. 시료를 개별적으로 가열처리하였고, 감마선 조사는 10 kGy의 흡수선량을 얻도록 조사하였다. 계란알러지가 있는 환자의 혈청과 OVA에 대해 생산된 단클론항체(M-IgG)와 다클론항체(R-IgG)를 사용하여 확립된 경합간접효소면역분석법을 사용하여 시료용액에 있는 OVA의 항원-항체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열변성된 OVA에 대한 항체반응성은 R-IgG가 6$0^{\circ}C$, M-IgG가 7$0^{\circ}C$부터, 그리고 P-IgE의 경우 8$0^{\circ}C$부터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P-IgE는 8$0^{\circ}C$이상의 온도에서 가열된 OVA를 잘 인식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M-IgG와 R-IgGdmlruddn 가열처리된 OVA에 대한 P-IgE의 항원-항체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처리 순서와는 관계없이 모든 가열온도에서 가열처리에 의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가열처리와 감마선 조사에서 시료용액의 혼탁도가 모두 증가하였고, 가열처리보다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혼탁도의 증가가 매우 높았다. 이 결과들은 가열처리가 감마선 조사되어 감소되어 있는 OVA의 알러지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페이퍼 에레크트로포레시스에 關한 硏究 (제1보) 계란단백의 移動度에 關하여 (Studies on the Paper Electrophoresis, I On the Mobility of Egg Albumin(Ovalbumin))

  • 장세헌;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1957
  • The mobilities and the electrophoretic phenomena of human serum albumin, and of horse serum albumin, etc., on paper were reported, bu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mobility and the electrophoretic phenomena of ovalbumin. In this study they are determined and considered at various time durations. The mean value of this mobility is compared with the value determined by the electrophoresis in solution. Also, the mobilities of the electroendosmotic flow, which affect on the mobility seriously, are determined at various time durations. Apparatus and method used, are a closed system type and a method with electrode vessels. It is concluded that: 1) The mobilities of ovalbumin have the nearly constant mobilities at six and eight hours of time durations, but it decreases at ten hours of long time duration. Their mean value is (0.243 ${\pm}$ 0.003)cm./hr./v./cm. toward anode at pH 8.0. 2)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ovalbumin cannot be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A1, A2, A3) on paper. 3) Most of the factors, which affect on the mobility, are fixed by the initial experimental conditions, but the electroendosmotic flow due to the characteristic capillarity of paper is measured. Then, the mean value of its mobilities shows the good constancy, and the value is (0.073 ${\pm}$ 0.0003)cm/hr./v./cm. toward cathode at pH 8.0. 4) By the above facts, if the same paper and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chosen, it may be preferred to determine the mobility of the electroendosmotic flow once time, even when many observations are required.

  • PDF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Cheon, Y.J.;Lee, H.L.;Shin, M.H.;Jang, A.;Lee, S.K.;Lee, J.H.;Lee, B.D.;Son, C.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318-1323
    • /
    • 2008
  •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is a completely new feed ingredient in the Korean feed market. There is an ever increasing need for the Korean feed industry to import and make the best of it as a high protein and high energy feed ingredient. A layer feeding trial was conducted for 10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light-colored DDGS to layer die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ies and yolk fatty acid composition. Also, the economics of using DDGS in the Korean situation was analyzed. Nine hundred Hy-line Brown layers, 24 weeks of age, were employed in a feeding trial consisting of four dietary treatments (0, 10, 15, and 20% DDGS), and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All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as iso-protein (17%) and iso-calorie (TMEn 2,780 kcal/kg). The use of DDGS up to 20% in layer diets did not exert any influence on feed intake, laying rate, total egg mass, mean egg weight and feed conversion ratio (p>0.05). The color and breaking strength of eggshell, as well as the albumin height and Haugh unit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DDGS up to 20% in the diet. The yolk col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DGS supplementation (p<0.05). As the DDGS level increased, the oleic acid content decreased, and the linoleic acid increased (p<0.05) in egg yolk. The degree of saturation of yolk fatty acids was not affected by DDGS supplementation. The inclusion of light-colored DDGS up to 20% in layer diets resulted in a decrease of feed cost per kg without any undesirable effect on laying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light-colored DDGS (L* 56.65) could be used up to 20% in layer diets without any harmful effect on laying performance, and possibly provide economic benefits to the Korean poultry industry.

Effects of Three Different Soybean Meal Sources on Layer and Broiler Performance

  • Park, Y.H.;Kim, H.K.;Kim, H.S.;Lee, H.S.;Shin, I.S.;Whang, K.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254-265
    • /
    • 2002
  • Soybean meal (SBM) is a major protein source in poultry feeds and one of the best quality ingredients because of the relatively high protein content, good amino acid profile and bioavailability. But soybean meal quality is largely dependent on the processing technology and origins. In this experiment, effects of three different soybean meals were evaluated in layer (experiment 1) and broiler (experiment 2). Soybean meal sources used in the experiments were the US-originated dehulled soybean meal (USDHSBM), India-originated non-dehulled soybean meal (India SBM) and Brazil-originated non-dehulled soybean meal (Brazil SBM). Experiment 1 was conducted during growing and laying periods and evaluated the interactive effects of soybean meal sources according to feeding periods on growth performance and egg quality. Experiment 2 was conducted during growing period (day 1-35) and finishing period (day 35-42). The growth performance was measured for the same periods and any possible interaction between soybean meal origins and crude protein levels was also studied. In experiment 1, chicks fed India SBM utilized feed more efficiently (p<0.05) than those fed Brazil SBM from day 29 to day 42. The body weights of layers during the laying period had no relation to egg production. But egg weights were significantly heavier in all the USDHSBM fed groups than other groups (p<0.001) and depended on feed protein source during growing period (p<0.001). The average egg weight of the USDHSBM fed group scored the highest value (65.4 g), followed by the Brazil SBM fed group (62.1 g) and India SBM fed group (62.1 g). There was an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origins of soybean meal fed group in growing and laying period on eggshell color (p<0.01). Eggshell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the USDHSBM fed (for growing period) groups than other groups (p<0.05) on $31^{st}$ week. Haugh's unit (HU), albumin index and yolk index of the USDHSBM fed group in growing stage were significantly superior (p<0.001) to other groups. In experiment 2, for the 7-week, chicks on the India SBM group gained less (p<0.001) weight than other groups. While daily gain of India SBM chicks was not affected by dietary crude protein level, those of the USDHSBM and Brazil SBM chicks were linearly increased as dietary crude protein level increased from 18% to 20%. The gain per feed ratio of the USDHSBM group was the highest (0.585), followed by the Brazil SBM group (0.568) and India SBM group (0.550) (p<0.01).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use of USDHSBM with excellent protein quality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could be of advantage to the economic production of layer and broiler.

희토(稀土)의 급여가 종계의 산란율 및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Rare Earth on Egg Production and Hatchability Broiler Growth)

  • 함숙경;송태화;짱광친;허삼남;박홍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5-231
    • /
    • 2006
  • 희토(稀土) 또는 rare earth(RE)라고 하는 것은 15개 란탄족 원소와 이트륨(Y) 그리고 스칸듐(Sc)을 합친 17개 원소를 총칭하는 화학 용어이다. 일부 희토 원소들의 생화학적 작용과 생물학적 기능이 인정됨에 따라, 산란계와 종계에 대한 급여 효과와 급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사에서 산란초기 육계 종계(Ross SP) 16,231수를 대상으로 염화 희토 혼합물$(RECl_3)$을 가지고 30주 동안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희토 사료 첨가는 300 mg/kg와 600 mg/kg, 두 수준이었는데, 후자는 여러 가지 시험 결과로 미루어 적정 첨가 수준을 초과하는 양으로 생각되었으며, 희토 300 mg/kg의 사료 첨가는 종계의 생산 능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희토 급여 초기 약간의 스트레스가 있는 듯 하였으나, 피크 산란율에 도달하는 기간을 단축하고, 피크 산란율을 높게 그리고 길게 지속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산란 곡선의 탄력을 좋게 유지하였다. 희토 300 mg/kg의 사료 첨가는 부화에 이용할 수 있는 종란 생산을 3.5% 정도 증가시켰다. 또 하나 관찰된 괄목한 만한 결과는 희토가 종계의 폐사율을 크게 감소시켰다는 사실이다. 희토 사료 첨가는 숫 종계 폐사율을 33.2% 그리고 암 종계 폐사율을 46.5% 감소시키었다. 희토의 난질에 대한 괄목할 만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난각의 색이나 두께와 강도, 난황색 등은 대조구나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고, 난중, 난백고, Haugh unit등은 유의하게(P<0.05)는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희토 급여의 수정을 및 부화율에 대한 본 시험의 결과는 기대했던 바와 같은 개선은 없었다. 34주령, 38주령, 그리고 50주령 모두 3회에 걸쳐 부화 시험을 실시하였는데, 38주령 때에만 소폭 유의한 수정율과 부화율 증가가 나타났고(P<0.05), 전체적으로는 대구나 희토를 급여한 것이나 차이가 없었다. 이 현상은 희토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의 계군에는 숫 종계 폐사율이 높아 대조구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수탉이 지속적으로 편입된 반면, 희토를 급여한 계군에는 노계 수탉이 수용되어 번식능력이 낮았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올바른 비교가 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 종계 사료에 희토의 사료 첨가로 종계의 빠르고 높은 산란 피크 도달과 향상된 산란 지속성 유지, 그리고 현격한 종계 폐사율 감소 등 생산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희토가 수정율이나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앞으로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Thymus vulgaris 분말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능력, 난품질 및 난황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Thymus vulgaris Powder on the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Egg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s)

  • 박성복;이경진;이왕휴;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7-161
    • /
    • 2012
  • 본 시험은 CP=16.0%이고, ME=2,800 kcal/kg인 산란계 사료에 0, 0.25, 0.5, 1.0와 2.0%의 백리향(Thymus vulgaris) 가루를 첨가하며, 산란계에 8주간 급이할 경우, 변화하는 생산 능력, 계란의 품질 및 난황 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35 주령 Brown Nick 산란계 288수를 이용하였으며, 총 4 처리구에 처리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8수씩의 산란계를 배치하며 실시하였다. 산란계의 생산 능력 중 산란율과 난중은 통계적인 유의차가 조사되지는 않았으나, TVP 2.0% 처리구에서 수치적으로 높았으며, 일일 산란량은 산란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 섭취량은 TVP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사료 내 TVP첨가 수준에 따른 계란의 품질 변화 중, 난백고, 호우유닛과 난황색도에서는 첨가수준을 높게 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TVP를 2.0% 사료 내 첨가한다면 7.93, 86.79와 7.2의 난백고, 호우유닛과 난황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난황 내 지방산 조성 중 palmitic acid와 arachidonic acid는 TVP 함량이 가장 높은 TVP 2.0%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linolenic acid의 조성은 증가하여, TVP 2.0%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불포화지방산 조성과 더불어 유의적으로 높은 UFA/SFA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실험에서 TVP의 사료 내 첨가는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불포화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TVP를 2.0%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이 한다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Ocenebrine Species (Gastropoda: Prosobranchia: Muricidae)

  • Park, Joong-ki;Choe, Byung-La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3호
    • /
    • pp.285-293
    • /
    • 1999
  • Allele frequencies in twenty-two populations from nine Korean muricid species of five genera (Rapaninae and Ocenebrinae) wire analyzed genetically using 13 loci from 11 allozyme systems. The clustering patterns of these species were basically consistent with traditional groupings to two subfamilial categories based on shell and radula morphologies. Within six ocenebrine species it was apparent that Ceratostoma inornata and Pteropurpura adunca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an to any other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Ceratostoma. These results, along with other anatomical features 〔morphologies of albumin gland (female), egg capsule〕, suggest that the generic position of C. inornata, previously classified to be congeneric with other western Pacific Ceratostoma species, should be reconsidered. Our results show the close relationship of Nucella freycineti with other ocenebrine species, rather than with rapanines, which supports a previous suggestion that the genus Nucella should be placed with the subfamily Ocenebrinae rather than the subfamily Rapanina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