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 E-learning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8초

e러닝에서 소셜커머스 기반의 광고와 포털사이트 기반의 광고 간 투자비용 대비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st-Effect Analysis between Portal-Based and SNS-Based Advertisements)

  • 김창수;권우석;이성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13-226
    • /
    • 2013
  • Recently, the social commerce on Facebook.com and Twitter.com, which is represented by SNS (Social Network Service), has been expanding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SNS marke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st-effect analysis between portal-based advertisement and SNS-based advertisement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for e-learning content providers. The results showed that portal-based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than SNS-based advertisement in term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gainst cost. According to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earning content providers in an attempt to enable them to take competitive advantage.

이러닝에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Design of Efficient Simulation-based Contents at e-Learning)

  • 이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325-333
    • /
    • 2005
  • 웹 기반 교수-학습체계를 설계 시에 학습자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것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웹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효율성과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 웹 기반 시뮬레이션이 권장된다. 이러닝에서 잘 설계된 시뮬레이션 기반 콘텐츠는 학습자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제공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많은 이러닝 시스템에서는 각기 다른 기법으로 웹 기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나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과 성취 수준을 고려한 콘텐츠의 재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웹 서비스를 통해서 이러닝 시스템간에 시뮬레이션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제안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보다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과 상호 작용에서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 PDF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및 e-Learning 콘텐츠 개발 연구 -전문계고생의 자기개발능력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Basic Skill Program and e-Learning Contents ; self-development capability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변숙영;이수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9-356
    • /
    • 2010
  • 본 연구는 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교수·학습능력 신장에 기초가 되는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직업기초능력 영역 중 e-Learning 콘텐츠로 개발하였을 때 효과적일 것으로 관련전문가들이 합의한 자기개발능력을 개발하였다. 자기개발능력은 업무를 추진할 때 스스로를 관리하고 개발하는 능력으로 이 연구에서는 직업과 자기개발, 자기관리 능력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동영상과 시뮬레이션,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적 전략을 활용하여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러닝 학습자들의 개인·심리적 요인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Learners on e-Learning Effect and Intention to Reuse)

  • 배재홍;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3-289
    • /
    • 2019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을 개인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학습자의 특성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의 학년, 자제력, 집중력, 자기효능감이 이러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년, 이러닝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학습효과가 이러닝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스스로 학습과정을 관리하고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설계와 교수자의 관리적인 역할이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닝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방안과 이러닝 학습자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효율적인 e-learning 시스템 분석 모형 설계 (A Design for analysis model of effective e-learning system)

  • 문남미;이동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75-780
    • /
    • 2001
  •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함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요구는 e-learning 이라는 학습 시스템을 출현케 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 및 학습 내용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설계가능하나 사용자 사용성 평가를 늪이기 위해서는 웹기반 시스템 사용성 평가와 교육시스템 평가 항목을 조정하여 새로운 평가분석 항목의 도출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e-learning 시스템분석 모형을 위해 기존의 교육 시스템 분석 항목들을 조정하여 학습자 분석, 기술분석, 학습 수행 분석, 응용 분석 학습자로 분석 등을 요소로 하는 새로운 분석 모형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적응하여 사용자 사용성 평가를 할 수 있는 관계를 설정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효율적인 e-learning 시스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설정되어지는 관계는 절대적 포함관계 상대적 포함 관계, 단일주제를 가진 상대적 포함관계 등이다.

  • PDF

Experience of e-Learning during Lockdow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lharthi, Emad M.;Bagadood, Niza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33-38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learning on the educational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teacher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seven teachers: two working in primary school, two in middle school, and three in secondary school. The research appli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llowing are required for the effective use of e-learning: firstly, appropriate training courses need to be offered to teachers, students, and families and secondly, it is vital students are provided with the appropriate digital devices to maintain contact with their teachers. The study concludes by recommend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lications and/or programs capable of supporting teachers and students in their use of e-learning.

학습 및 평가관리를 위한 e-포트폴리오의 구축과 활용 (e-Portfolios for Learning and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 김경지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1호
    • /
    • pp.7-10
    • /
    • 2014
  • Portfolios have gained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 as a tool for promoting student learning and assessment since Miller's call for better tools for asses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ies.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and use of e-portfolios for promoting learning and assessment in medical schools, both domestically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This review finds that some specific features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e-portfolio systems for medical education and that these systems can be used to manage student learning in clinical clerkships and to support competency-based assessment. The author asserts that the e-portfolio is key to promo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suggests practical tips for effective development and use of e-portfolios in Korean medical schools.

보육교사 양성 e-러닝 과정의 효과성 분석 (Effect of e-Lear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Training)

  • 조일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89-298
    • /
    • 2007
  • 본 연구는 보육교사 양성을 위해 개발된 e-러닝 과정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나타난 결과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며, 나아가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정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292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양적 연구 결과, 사전-사후 성취도 검사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학업 성취도의 상승을 보였다. 이 효과는 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계층인 저학력, 비보육전공자, 비수도권 근무자들에게 있어 더욱 크게 나타남으로써, e-러닝의 확산을 통해 보육교사의 질 측면에서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어 수행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성취도 평가 방식, 미디어 활용 전략등에서 과정 설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사항들이 제시되었다.

  • PDF

외국인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및 e-Learning 요구분석 (Needs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e-Learning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 이수경;변숙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33-240
    • /
    • 2011
  • 본 연구는 외국인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하여,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사전교육, 사후 지원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외국인근로자 교육훈련 방법론으로 e-Learning의 도입 및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총 1,872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 내용은 첫째, 사전교육의 운영 실태, 문제점, 개선사항, 둘째, 사후지원 측면에서 직장 배치 후 교육 참여 의사와 애로사항, 셋째, e-Learning에 대한 선호도, 요구 등이었다. 연구결과, 사전교육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제시되었으며, 사후지원에서 외국인근로자들은 직장생활을 하면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높은 의지를 가지고 있으나, 시간 부족, 이동 등의 문제를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이들은 e-Learning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요구를 보였다. 이에 작업장 이탈의 어려움을 해소시키고 상이한 교육 조건 및 수준에 따른 맞춤식의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e-Learning의 가능성과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in Korea with E-learning-Bas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 Lee, Young Joo;Lee, Dongjo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3호
    • /
    • pp.211-217
    • /
    • 2015
  • Background: E-learning-based program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SH)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factors related to migrant workers' background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affect the migrant workers' satisfaction with e-learning-based OSH educa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s of 300 migrant workers who had participated in an OSH education program.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using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an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by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employees, or type of occupation, except for nationality. Among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learning content" (${\beta}=0.344$, p < 0.001) affecte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most significantly, followed by "motivation to learn" (${\beta}=0.293$, p < 0.001),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beta}=0.149$, p < 0.01), and "previous experience related to e-learning" (${\beta}=0.095$, p < 0.05). "Learning environmen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E-learning-based OSH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may b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ir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if the accuracy, credibility, and novelty of learning content; strategies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are systematically applied dur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arn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