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ducation for older adults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노인의 무릎통증과 인지기능 간 영향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ee Pain and 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dults: Focusing on Group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 주미라;강창현;육경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07-218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의 무릎통증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신체와 심리적 기제 간의 융합연구로 노인 인구의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여 치매의 위험예측 요인인 인지기능개선에 연구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20년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이며,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무릎통증과 인지기능 간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직접효과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의 두 배이며, 간접효과는 성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우울의 매개효과는 후기노인 집단이 전기노인 집단에 비해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력 구분에 따른 우울의 매개효과는 대학교 졸업 이상 집단의 경우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3개 하위 집단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검증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무릎통증과 우울관리에 대한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적극적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고령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직무특성이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Influences of Work Characteristics on Older Workers'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정윤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9-13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The data are from 506 males and 202 females older than 55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Analyses focused on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s of subjective evaluation of work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education and skill fits of the work, work demands, customary early retirement, as well as more objective job conditions assessed with insurances by the employer, work hours, and salary on job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female workers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while job characteristics worked differently between genders to affect job satisfaction. For males, fitting the job with education and job demands were determin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while the job with skills and work hours appeare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females. Results suggest that opportunities to utilize older workers' human capital and flexible working hours, especially for females workers would be helpful in promoting older adults' employment and satisfaction about their work.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한 당뇨 자가 관리 측정도구(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SDSCA) 한국어 버전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for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장선주;송미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4
    • /
    • 2009
  • Purpos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SDSCA) for Korea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were perfor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SDSCA. Then the Korean version SDSCA was applied to a sample of 112 older adults who had participated in diabetes self management education in Seoul.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examined to test the reliabilit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measured with Cronbach's alpha was .77 and the total test-retest reliability was .68 with items ranging from .21 to 1.00.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foot care, diet, exercise, blood sugar test, medication, and smoking- were revealed as the original instrument subcategories. These six factors explained 81.17% of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SDSCA Questionnaire was supported for use in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Korea.

  • PDF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Safety Percep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박시은;전지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18-226
    • /
    • 2019
  •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 수준과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사회조사에 응답한 50세 이상 장애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소와 위험대처수준, 본인준법수준, 타인준법수준, 공공질서 준수수준을 주요 변인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안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영향의 수준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조사 응답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위험대처수준, 타인 준법수준, 공공질서 준수수준 요인이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에는 개인적 요건과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장애유형별 안전인식에 대한 차이를 연구하거나 인식과 함께 실제적 사회안전수준도 연구에서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논의하였다.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ling Use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 Oh, Chorong;Kim, Hak-Seo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2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at the nutrition labeling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s according to each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ing in Korean adults. The study subjects (N=1,140) were individuals who were aged 20 years and more and answered on the question of nutrition label use and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in 2010.As age older, there was more interest in information such as sugar, protein, fat, cholesterol than calories. In contrast, as age younger, there was more interest intrans-fat, sodium as well as calories. As higher education level, there were more aware of trans-fat, sodium and calories. From the result that the most interested nutrition ite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cratic factors, we could understand interested nutrient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s could change according to individual specific education. Therefore, this can also provide basic data for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by nutrition label use.

재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Factors Affecting o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 오두남;김선호;정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58-368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노인 신체활동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보건복지가족부 주관으로 실시되는 전국적 조사인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료에 결측값이 없는 12,322명이었다. 연구결과 29.9%의 남성 노인과 46.4%의 여성 노인이 신체 비활동군으로 분류되었다. 남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44, p<.001), 교육수준(OR=1.17, p=.026), 거주지역(OR=1.19, p=.016), 주관적 건강(OR=2.18, p<.001), 만성질환 유무(OR=1.23, p=.020), 통증유무(OR=1.24, p=.011), ADL(OR=1.86, p<.001), 낙상두려움(OR=1.26, p=.003), 우울(OR=1.78, p<.001)이었고,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54, p<.001), 주관적 건강(OR=1.63, p<.001), 통증 유무(OR=1.45, p<.001), 낙상경험 유무(OR=1.24, p=.001), ADL(OR=1.72, p<.001), 우울(OR=1.46, p<.00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가 노인의 성별 특성에 부합하는 신체활동 전략 및 프로그램 계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36 Scale in Indonesi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Arovah, Novita Intan;Heesch, Kristiann C.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3호
    • /
    • pp.180-188
    • /
    • 2020
  • Objectives: The Short Form 36 (SF-36) questionnaire is increasingly being used to measur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Indonesia. However, evidence that it is valid for use in Indonesian adults is lacking. This study asses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F-36 in Indonesi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Methods: Adults aged 46-81 years (n=206) in Yogyakarta, Indonesia completed the SF-36, another measure of HRQoL (the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 [EQ-VAS]), and measures assess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fty-four percent (n=121) completed the SF-36 measure again 1 week lat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F-36.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Cronbach's alpha,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ssessed by computing correlations among SF-36 subscales, between subscales and the 2 component scores, and between component scores and EQ-VAS scores. Results: Most scaling assumptions were met. The hypothetical factor structure fit the data poorly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0.108) and modification was required for a good fit (RMSEA=0.060). Scores on all subscales demonstrate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α>0.70) and test-retest reliability (r>0.70). Di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weak to moderate interscale correlations (r=0.19 to 0.64). As expected, the 2 summary scores were moderately to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EQ-VAS (r>0.60). Conclusions: The findings adequately support the use of SF-36 in Indonesi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lthough the optimal algorithm for computing component scores in Indonesia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노인의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역량과 비공식적 사회관계망과의 접촉에 관한 연구 (Senior' Use of Text Messages and SNS and Contact with Informal Social Network Members)

  • 정찬우;최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01-414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문자메시지와 SNS 활용역량이 비동거 자녀, 형제·자매 및 친인척, 친구, 이웃, 지인과의 접촉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8,392명으로, 노인의 문자메시지 받기와 보내기, SNS 활용역량을 기준으로 4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노인이 문자메시지와 SNS를 모두 사용하는 능력을 보유하였을 때, 비공식적 사회관계망을 구성하는 모든 성원과 비대면 접촉(연락)이 가장 빈번하였다. 그러나 문자메시지와 SNS 활용역량은 친구, 이웃, 지인과의 대면접촉 빈도와 주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문자메시지와 SNS 활용역량이 가족 및 친구와의 정서적, 도구적 지원 교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여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노인의 삶의 질에 기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비공식적 사회관계망 성원들과 관계를 지속하는데 정보화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층모형을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 개인적 요인과 지역적 요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using Hierarchical Model Analysis focused on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 김성원;이은진;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581-594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화와 함께 취약한 환경이 노인의 삶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에 대비하고자 고령친화도시적 특성이 노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차 자료인 2014년 노인실태조사와 7대 특별 광역시별 자료의 두 가지 다른 수준의 자료를 혼합매칭하여 자료를 구성하였으며, 개인과 지역환경이 위계적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무선효과다층분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령친화도에 따라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본가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개인변수의 수준에서 여자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연령이 많을수록,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우울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변수의 수준에서 고용률과 평생교육참여율과 생활시설접근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고용률과 평생교육참여율이 노인의 우울과 만성질환수와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 실천 및 정책을 위한 개입방안 및 정책제안을 하였다.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for Older Adults)

  • 지행중;한정란;박성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223-2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하여 노인교육방법으로서 노인자서전 쓰기의 효과를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자들은 2007년 서울 소재 노인복지관에서 10회기의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전 과정에 강사와 보조진행자로 직접 참여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교육 중에 이루어진 학습자들의 '이야기'와 교육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완성한 자서전, 그리고 수업 중에 중요한 내용을 메모한 메모노트 등이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Haenninen(2000)이 제시한 '내러티브 진행 이론'에 의하여 이야기의 흐름을 분석하고, 노인들이 삶의 의미로 구성해가는 행위 범주들을 통하여 생애사적으로 재구성되었다. 노인들이 구성하는 '내적인 이야기'는 자신의 삶과 삶의 조건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해 가는 정신적인 과정이었다.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초기에 참여자들은 삶에서의 사건을 객관적인 사실로서 '성찰되지 않은 이야기'로 회상하지만, 점차 교육이 진행되면서 삶의 사건들은 '성찰된 이야기'로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노년기 삶의 새로운 목표를 갖게 되는 '의도적인 반성'을 통하여 '초월적으로 성찰된 이야기'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와 같이 참여자들이 점차 초월적인 성찰자가 되어가는 과정은 자아통합을 완성시켜가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의 다양한 효과를 교육적,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