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ability

검색결과 5,521건 처리시간 0.028초

공과대학 신입생의 사고양식을 고려한 글쓰기 능력 탐색 (Exploration on Writing Ability Considering Thinking Styles in Engineering Freshmen)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56-65
    • /
    • 2018
  •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writing ability and 'thinking styles' (capable of represent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diversity) in engineering freshmen in Korea,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cademic) Writing is not just about conveying an idea or content, it is also about the representation of writer's self. In this perspective,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conducted on writing (process) and personality. However,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writing ability of engineering students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inking styl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7 engineering freshmen as well as 67 non-engineering freshmen at H University, and students' writing ability as well as their thinking styles have been measured before and after writing class for 15 weeks.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writing ability by majo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shmen's thinking styles by major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writing ability according to thinking styles. Freshmen's internal, legislative and hierarchical sty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writing ability than the others. And as for the engineering freshmen, internal, external and global sty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writing ability than the others. Finally, there was a weak bu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bility and thinking styles(hierarchical & internal).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of writing (related) courses in engineering school.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능력 신장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멘델의 과학적 사고과정 적용 (Improvement of Students' Problem Finding and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Utilizing Mendel's Law)

  • 김순옥;김봉선;서혜애;김영민;박종석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1033-1053
    • /
    • 2011
  • 본 연구는 역사적 발견을 이루어낸 과학자 가운데 멘델(Mendel, Gregor Johann, 1822-1884)의 과학적 사고과정을 활용하여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학습한 학생들의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멘델이 유전법칙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낸 과학적 사고과정을 분석하여 특징적 탐구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탐구요소 가운데 문제발견과 가설설정을 적용한 프로그램으로서 완두를 활용한 모의실험탐구중심의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은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1, 2학년 학생 19명(남학생 11명, 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문제발견 능력의 하위요소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이 신장되었고, 가설설정 능력의 논리성도 신장되었다. 이에 개발된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은 중학교 과학영재로 선발된 학생들의 문제발견 및 가설 설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대학의 기업가정신교육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팀기반학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Innovation Behavior: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 김지영;전병훈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6호
    • /
    • pp.99-109
    • /
    • 2017
  • 혁신을 위한 대학의 학습은 새로운 기회창출을 극대화하는데 중요성을 둔다. 즉, 대학은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잠재적인 기회를 발견하여 새로운 사회와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새로운 의미로 실시되고 있다. 현재의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 개발되고 진행되고 있지만,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필요성에 대한 강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실현하는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능력 요소들과 이러한 요소들에 영향을 주는 팀기반학습의 유용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 분석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문제해결능력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부분매개로서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교육에서의 팀기반학습은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혁신행동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로 유익하게 나타났으며, 팀기반학습의 네가지 요소를 잘 진행한 경우 문제해결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가정신교육에서의 팀기반학습 교수법에 대한 효율성과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 통계 영역에서 NIE를 통한 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IE on Statis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 서지영;표용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99-524
    • /
    • 2010
  • 본 본문에서는 학생 스스로 활동을 통해 통계적 개념, 자료 분석력, 문제해결력 등을 기를 수 있는 NIE(Newspaper in Education)을 통한 학습을 초등수학 학습지도에 적용하여, NIE를 활용한 학습이 초등학생의 통계 영역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보다 효율적인 초등수학 학습지도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 PDF

과학마술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Magic on the Elementary Learners'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 권치순;김미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9-218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science magic program o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in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study, it was chosen two classes of the forth grades J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struction using science magic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during the school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Science tasks applied science magic had influence on elementary learners' scientific attitude in positive way. 2. Science tasks applied science magic had valuable significance to observation, classification, data intepretation ability. However it had no valuable significance to scientific integrated inquiry.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Robotics curriculum based on "Bee-Bot"

  • Nam, Ki-won;Kwon, Un-jou;Han, Se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79-85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robotics curriculum based on "Bee-Bot" on the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on 5-year-old children. A robotics curriculum was also designed to enhance their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examined a 4-week robotics curriculum was conducted 12 times for 4 weeks. For this study, 14 children in kindergarten A in Korea were set up as a treatment group and 18 children in kindergarten B in Korea as a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children in the treatment group who engaged in the robotics curriculum using "Bee-Bot" performed better on scientific problem-solving test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n enhanced planning experience using "Bee-Bot" was beneficial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Th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ppropriate curricula using "Bee-Bot" robots for kindergarteners are addressed.

이공계 의사소통 교육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Reflecting Journal on Speaking Ability in th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 김혜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5호
    • /
    • pp.3-9
    • /
    • 2018
  •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self-reflecting journal writing in speaking class on academic perform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assess the effect, 27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from the "Speech and Life" class were asked to keep a self-reflecting journal.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were conducted, followed by the analysis of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o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an additional survey on speaking ability was condu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change of the students' ability was assessed. Results showed that after writing self-reflection journals, participants'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has increased, and their speaking performance was also improved.

동기 및 인지 변인이 화학 선다형 수리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성취 목적, 유능감,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The Impact of Motiva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Multiple-Choice Algorithmic Chemistry Problem Solving: Achievement Goal, Perceived Ability, Learning Strategy, and Self-Regulation)

  • 전경문;박현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 목적(과제지향/수행 지향/수행 회피), 유능감 등의 동기 변인과 학습 전략(심층적/피상적), 자기 조절 능력 등의 인지 변인 및 화학 선다형 수리 문제 해결력 사이의 인과관계를 경로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능감과 과제 지향 목적은 자기 조절 능력을 통하여 화학 수리 문제 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유능감은 인지 변인을 경유하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화학 수리 문제 해결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지 변인 중 심층적 학습 전략은 유능감과 과제 지향 목적의 영향을 받았고 피상적 학습 전략은 수행 회피 목적의 영향을 받았으나, 이러한 학습 전략과 화학 수리 문제 해결력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영아기 인지·의사소통 발달 관련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Cognitive and Communication Ability Related Variables on Infants)

  • 백지숙;권은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23
    • /
    • 2018
  • 본 연구는 영아의 인지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 영아-교사상호작용,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만 2세 영아 249명으로 평균월령은 30.21개월이었다. 'K-ASQ', '영아의 기질 평정도구', '부모 스트레스 척도 축소판, '영아교사 상호작용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성 기질, 영아-교사 상호작용간의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과 정서성 기질,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에 발달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주로 직접적인 경로로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정서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영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영아의 인지능력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 수업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 탐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Interest Level through Problem-Solving Ability in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남선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205-223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원격 수업환경에서 흥미수준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A대학교의 기독교교육과와 유아교육과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를 위해서 흥미수준, 자기주도학습 능력, 문제해결력을 설문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활용해 흥미수준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에 대한 문제해결력의 매개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흥미수준에 대한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은 .651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문제해결력을 포함시킨 2단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이 .543으로 낮아졌으며, 문제해결력의 영향은 .360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흥미 수준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원격수업에 있어서 문제해결력 지원을 통해 흥미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