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film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Polyolic Plasticizers on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Zein Resins

  • Oromiehie, A.R.;Ghanbarzadeh, B.;Musavi, S.M.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360-360
    • /
    • 2006
  • Zein protein is one of the best biopolymer for edible film making and polyols are convenient plasticizers for biopolymers. Sorbitol, glycerol and manitol at three levels (0.5, 0.7, 1g/g of zein) were used as plasticizers.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zein resins were studied for determining their plasticization effectiveness. Sorbitol and glycerol had good plasticizing effects and could decrease viscoelastic modulus of zein resins considerably, but manitol was not as effective as them. Effects of plasticizers on thermal properties of resins were investigated by DSC at -100 to $150^{\circ}C$. No crystallization and melting peaks related to zein resin and plasticizers were observed. Thermograms showed that polyolic plasticizers and zein resin remained a homogeneous material throughout the cooling and heating cycles.

  • PDF

Film-Forming Properties of Proteinaceous Fibrous Material Produced from Soybean Fermented by Bacillus natto

  • Park Sang-Kyu;Bae D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7호
    • /
    • pp.1053-1059
    • /
    • 2006
  • The effectiveness of a proteinaceous fibrous material formed during commercial fermentation of soy protein (PFSP) and cysteine addition were evaluated in order to improve on the properties of soy protein-based films. Nine types of films were prepared at pH 7, 9, and 11, with heat treatments at $70^{\circ}C\;and\;90^{\circ}C$ for 30 min, by casting 5% (w/w) PFSP aqueous solution, containing 2.25% (w/w) glycerol, on to polystyrene plates. The tensile strength (TS) of films ranged from 3.88 to 6.87 MPa. The highest puncture strength (PS) was observed with pH 7.0 films prepared from PFSP solution heated at $70^{\circ}C$ (P<0.05). Alkaline pH and temperature caused a decrease in both the TS and PS of the films. The thickness of films ranged from $58\;to\;74{\mu}m$. Water vapor permeabilities of the films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and temperature. To produce films from PFSP, pH value of 7.0 to 9.0 and heat treatment of $70^{\circ}C\;to\;90^{\circ}C$ were needed. A soluble nature of PFSP films in water might be useful for preparation of hot water-soluble pouches. Cysteine addition could be necessary to produce films with increased TS and enhanced barrier properties. The combination treatment that provided the best combination of barrier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the PFSP film prepared at pH 7.0 with addition of 1% cysteine. The films were good oxygen barriers.

대두박을 이용한 가식성 필름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Edible Films from Soybean Meal)

  • 양성범;조승용;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52-459
    • /
    • 1997
  • 본 연구는 추출 pH가 분리 대두 단백질 필름의 인장 강도, 신장률 및 수증기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산성(pH 2.0, pH 3.0), 중성(pH 7.0) 및 알칼리성(pH 10.0, pH 12.0)에서 분리 대두 단백질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가식성필름을 제조하였을 때, 산성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제조한 $SPI_2$$SPI_3$ 필름의 인장 강도가 각각 2.881 MPa, 2.804 MPa로서 중성이나 알칼리성 영역에서 추출하여 제조한 가식성 필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SPI_3$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는 필름의 두께가 $55\;{\mu}m$에서 $72\;{\mu}m$로 증가함에 따라 $3.349\;{\times}\;10^{-10}{\sim}3.871\;{\times}\;10^{-10}\;g{\cdot}m/m^2{\cdot}s{\cdot}Pa$로 증가하여 다른 중성이나 알칼리성에서 추출한 분리 대두 단백질 필름에 비해 낮은 수증기 투과도를 보여, 산성에서 추출한 분리단백질로 제조한 가실성 필름이 다른 pH영역에서 추출한 SPI로 제조한 필름보다 강한 인장강도와 우수한 수분차단력을 보였다.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PI_2$로 제조한 가식성 필름의 인장 강도는 가소제의 농도가 0.2 g plasticizer/g $SPI_2$에서 0.8 g plasticizer/g $SPI_2$로 증가함에 따라 가소제가 glycerol인 경우 12.297 MPa에서 1.356 MPa로, propylene glycol인 경우 7.408 MPa에서 2.147 MPa로, polyethylene glycol인 경우 10.579 MPa에서 2.987 MPa로 감소하여 가소제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함으로써 필름의 기계적물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산성 영역에서 추출한 분리 대두 단백질($SPI_2$, $SPI_3$)이 다른 것들에 비해 단백질 함량과 11S/7S의 함량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가식성 필름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의 주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 PDF

주박 단백질 농축물로부터 가식성필름의 제조 (Edible Films from Protein Concentrates of Rice Wine Meal)

  • 조승용;박장우;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97-1106
    • /
    • 1998
  • 청주 제조시 부산물로 생성되는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단백질 농축물을 이용하여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필름용액의 pH, 가소제의 종류와 농도, 가교제의 첨가가 필름의 기계적 특성 및 수분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필름용액이 $pH\;4.0{\sim}pH\;7.0$인 경우 단백질의 용해도가 낮아 필름을 형성할 수 없었으며 $pH\;8.0{\sim}pH\;11.0$으로 조절하였을 때에는 $4.3{\sim}5.7\;MPa$의 인장강도를 지닌 필름을 형성할 수 있었다. 필름의 기계적 특성과 수분투과 특성은 필름용액의 pH에 영향을 받으며 필름용액을 pH 11.0으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높은 인장강도(5.7 MPa)와 수분차단력$(0.44\;ng{\cdot}m/m^2{\cdot}s{\cdot}Pa)$을 보였다. 가소제로 glycerol과 polyethylene glycol (PEG) 200을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가소제의 혼합비율(GLY:PEG=100:0, 50:50, 0:100)과 농도(0.2, 0.4, 0.6, 0.8 g plasticizer/g RPC)에 따라 각각 $5.5{\sim}1.0\;MPa$$3.6{\sim}24.3%$이었다. 동일 가소제 농도에서 인장강도는 glycero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신장률은 glycerol과 PEG 200을 혼합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두께가 $60\;{\mu}m$인 필름의 수분투과도는 0.38{\sim}0.54\;ng{\cdot}m/m^2{\cdot}s{\cdot}Pa$로 나타났으며, 가소제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일정 가소제 농도에서는 PEG 200의 비율이 클수록 수분투과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가교제로 sodium chloride와 calcium chloride를 $0.5{\sim}2.0%$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는 대조구 필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succinic anhydride를 0.1% 첨가하였을 때 필름의 인장강도는 6.3 MPa로서 대조구에 비해 25.5% 증가시킬 수 있었다.

  • PDF

Phytoncide 처리가 신선편이 양상추의 저장 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ncide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Lettuce)

  • 김도희;김한빛;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2
    • /
    • 2013
  • 본 연구는 솔잎 유래의 phytoncide essential oil을 증류수에 희석한 것(1%, v/v, DP)과 식용 에탄올에 희석한 것(1%, v/v, EP), 증류수(DW) 및 식용 에탄올(EE)을 침지액으로 이용하였다. pH는 DW 처리구에서 가장 높고 EP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증류수보다는 에탄올 포함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는 phytoncide 성분이 포함된 처리구에서 낮은 pH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EP 처리구가 가장 높고, DW 처리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pH의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60~2.23의 범위로, 에탄올이 포함된 EE 및 EP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포장필름 내 기체조성 분석결과, EP 처리구가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의 원리인 저산소 및 고이산화탄소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 및 갈변 정도에서 EP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DW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얻어 갈변 저해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는 저장 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EP 처리구가 가장 완만한 증가율을 보여 항갈변뿐만 아니라 항균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EP 처리구는 갈변 저해 및 항균에도 효과가 뛰어나 품질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고품질 신선편이 양상추의 가공 및 유통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열 압착을 이용한 가식성 젤라틴 필름 제조 (Fabrication of edible gelatin-based films by heat pressing)

  • 김의현;송아영;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9-18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열 압착 공정을 이용하여 생고분자 가식성 FG 필름과 MG 필름을 제작하였고, 제조 공정 차이에 따른 필름의 형성, 표면 미세구조, 그리고 빛 투과도를 비교하기 위해 캐스팅 방법을 이용해서도 FG 필름을 제작하였다. 열 압착을 이용하여 FG와 MG로부터 연속적이고, 균일하며, 투명하고, 그리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필름을 제작할 수 있었다. 열 압착된 FG 필름은 열 압착된 MG 필름보다 빛 투과도와 인장 강도가 낮았으나, 육안 관찰 및 현미경을 이용한 표면 미세구조를 관찰 시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수분 투과도와 필름의 명도 및 붉은 정도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열 압착된 FG 필름이 캐스팅된 FG 필름보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더욱 투명하고 균일한 표면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투명도도 캐스팅 된 FG 필름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열 압착된 FG 필름이 캐스팅된 FG 필름보다 낮은 인장 강도와 높은 수분 차단 능력을 갖췄다. 열 압착된 FG 필름은 캐스팅된 FG 필름과 색도의 차이가 있었고, 캐스팅된 FG 필름보다 매끄럽고 균일한 표면 미세구조를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열 압착 공정을 사용하는 산업적 생고분자 생산 시스템을 사용하여 우수한 수분 차단 능력을 갖춘 가식성 필름을 MG과 생선껍질로부터 얻어지는 FG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추출조건이 어분단백질 물성과 필름의 ester 화합물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Pish Meal Protein Isolates and the Permeability of Protein Film for Ester Compounds)

  • 유병진;심재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0-326
    • /
    • 2001
  • 어분단백질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가식성 혹은 생분해성 필름가공을 목적으로 알칼리 처리하여 제조된 FMPI의 물성과 이물성과 ester 화합물의 필름 투과율과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분으로부터 알칼리처리하고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FMPI의 추출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FMPI의 소수성은 추출시간 1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그 이상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유화활성은 추출시간이 5시간까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유화안정성은 추출시간 2시간까지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감소를 보여 유화활성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도는 pH가 2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가 4일 때 가장 점도가 낮게 나타났다. 첨가하는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필름의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증가하였다. 가소제의 종류별에 따른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및 sorbitol 첨가 필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ester 화합물 중에서는 ethyl formate의 투과속도가 가장 높았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ethyl acetate의 필름 투과속도는 증가하였다. FHPI의 표면소수성이 증가하면 필름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필름의 신장율은 FMPI의 표면소수성보다 가소제의 종류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 PDF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른 꽁치과메기의 일반 성분, 물성 및 미생물학적 변화 (Studies on the General Composition, Rheometric and Microbiological Change of Pacific Saury, Coloabis saira Kwamaegi on the Storage Temperatures and Durations)

  • 이호진;오승희;최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5-175
    • /
    • 2008
  •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kwamaegi, is a traditional local food of the Eastern sea area centering around Pohang. It is well-recognized as being both tasty and nutritious. Nevertheless, bacterial contamination, excessive dryness, and compositional changes have made it edible only during the winter months. Therefore, to improve its storag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orage material, typ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compositional changes in kwamaegi. The studied samples were kwamaegis that had been dried naturally for 15 days. The storage materials included an A-film, a self-developed multi-film made of polyethylene, polyamide, EVOH, and polyethylene; as well as a B-film made of polyethylene, nylon, polyethylene, nylon and polyethylene. The B films were used after pressing and laminating. The storage types included one whole fish(1G), or 2 divided fish(2G), to increase eating convenience. The 2G type was the muscle portion divided vertically after discarding the jowl, skin, and internal organs. The storage temperatures were $0^{\circ}C$, $-15^{\circ}C$, and $-30^{\circ}C$, and the storage durations were 2, 4, and 6 months. Pathogenic bacteria and rheology were measured to observe general compositional changes. The whole kwamaegi showed a total cell number of $1,565{\pm}112$ CFU/100 g flesh, while the divided Kwamaegi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bacterial numbers at $2,031{\pm}145$ CFU/100 g flesh. Psychrophils and halophil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coliform were not found; the number of mesophils also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ell number variations between the A-film and B-film. At $0^{\circ}C$, both the A-and B-films resulted in cell numbers of $115{\sim}212$ CFU/100 g flesh, revealing just $7.3{\sim}10.4%$ of the initial storage levels. Over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orage materials. Generally, as the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wamaegi decreased. Also, as storage duration and temperature increased,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increased; in addition, they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sh de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ash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torage materials, storage temperatures, or storage durations. Fi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wamaegi samples naturally dried for 15 days and those stored in the B-film vacuum storage for 6 months for strength,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water activity.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꽁치과메기의 산패도 (Studies on the Rancidity of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Kwamaegi on the Storage Temperatures and Durations)

  • 이호진;오승희;정지숙;최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7-484
    • /
    • 2008
  •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Kwamaegi, is a traditional local food of the Eastern sea area, centered around Pohang. It is well-recognized as being both tasty and nutritious. Nevertheless, bacterial contamination, excessive dryness, and compositional changes render this fish edible only during the winter months. Thus, to improve its storage capabilitie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storage material, typ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compositional changes in Kwamaegi. The assessed samples were Kwamaegi which had been naturally dried for 15 days. The storage materials included an A-film, a self- developed multi-film made of polyethylene, polyamide, EVOH, and polyethylene, and a B-film made of polyethylene, nylon, polyethylene, nylon, and polyethylene. The B films were utilized after pressing and lamination. The storage types included one whole fish(1G), or 2 divided fish(2G), to increase eating convenience. The 2G type was the muscle portion divided vertically after discarding the jowl, skin, and internal organs. The storage temperatures were 0, -15 and $-30^{\circ}C$, and the storage durations were 2, 4, and 6 months. Among the lipid rancidities,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itial rancidity at a storage temperature of $0^{\circ}C$ for 2 months.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orage materials. The lower the storage temperatures, the less acid and peroxide were generated. Between the storage types, 1G evidenced lower less acid values than 2G. The TBA values revealed a dramatic increase at a storage temperature of $0^{\circ}C$ for 2 months, whereas this rapid progress was not observed at storage temperatures of -15 and $-30^{\circ}C$. Along with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the samples stored at 0, -15 and $-30^{\circ}C$ evidenced significantly lower TBA values. The B-film evidenced a slightly lower TBA value than was observed in the A-film,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Edible Film Using Whey Protein

  • Chae, Seung-Il;Heo, Tae-Ryoe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2권2호
    • /
    • pp.122-125
    • /
    • 1997
  • The utilization of excess whey is necessary to reduce dairy waste because the large amount of whey disposal in waste streams has caused environmental problems. During whey protein film production as the effective means of utilization of excess whey, we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plasticizers for water vapor permeability(WVP), tensile strength(TS), and elongation rate(%E) of the whey protein films. The 10% whey protein films had the highest WVP(28.73g$.$mm/kPa$.$day$.$㎡) and TS(1.85${\pm}$0.11Mpa). But, in this case, an increase of WVP was caused by the thickness of whey protein films. At the concentration of 8% whey protein, appropriate thickness was obtained. Whey protein films prepared at the pH 6.75 and 95$^{\circ}C$ showed lower WVP(28.38g$.$mm/kPa$.$day$.$㎡) and elongation rate(12.9%) and higher TS value(3.769${\pm}$0.407 MPa) than at the pH 6.75 and 75$^{\circ}C$.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WVP of films decreased slightly and tensile strength increased slightly, while elongation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Higher WVP and TS were observed at pH6.75 compared to pH7-9. In contrast, significantly higher elongation was observed at pH 9comapred to pH6.75-8. Among the plasticizer types used, the addition of sorbitol showed the highest TS value(6.244${\pm}$0.297 MPa) at the concentration 0.4g sorbitol and elongation rate(49%) at the concentration of 0.6g sorbit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