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coati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Chitosan/whey Protein (CWP) Edible Films Efficiency for Controlling Mould Growth and on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During Storage of Göbek Kashar Cheese

  • Yangilar, Filiz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6-224
    • /
    • 2015
  •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chitosan and chitosan/whey protein on the chemical, microbi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Göbek Kashar cheese during ripening time (on 3rd, 30th, 60th and 90th d). Difference in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between samp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0.05) during ripening period. Cheese samples with edible coating had statistically lower mould counts compared to the uncoated samples. Furthermore the highest and lowest mould counts were determined in control (4.20 Log CFU/g) and other samples (<1 Log CFU/g) at 60th and 90th d of storage. All samp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water soluble nitrogen and ripening index at the end of storage process. At the end of 90 day storage period, no signicant dierences in salt and fat values were observed among the cheeses studied. The edible coatings had a beneficial effect on the sensory quality of cheese samples. In the result of sensory analysis, while cheese C and the chitosan coated cheese samples were more preferred by the panellists, the chitosan/whey protein film-coated cheese samples received the lowest scores. This study shows coating suggest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ese during ripening time.

인천지역 집단급식소의 식용유 소비실태 (Consumption of Edible Oil Food Service Institutions in Inchon)

  • 홍미예;최은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35
    • /
    • 1998
  • Consumption of edible oil at food service institutions in Inchon was survey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tinuous education of dietitians. Manufacturing industry was the major food service institution(78.8%) in Inchon followed by schools, hospitals and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s. Most dietitians were at the age of twenties and college graduates with professional careers of 1-5 years. Oil was purchased on the basis of its quality within 1-3% of total food costs four times a month. Proper frying temperature was determined by dropping salt or food coating materials into the oil. Soybean oil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commercial frying mix powder and flour and eggs in water were the most common food coating materials. Fish and commercial frozen food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s for frying. Fried foods were stored with covers in a basket and consumed within 30 minutes after cooking. Frying oils were used one more time after filtering and color was the index for determination of re-use.

  • PDF

Effect of chitosan and chitosan-nanoparticles on post harvest quality of banana fruits

  • Lustriane, Cita;Dwivany, Fenny M.;Suendo, Veinardi;Reza, Muhammad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36-44
    • /
    • 2018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itosan and chitosan nanoparticles as edible coating in extending shelf life and maintaining the quality of banana fruits (Musa acuminata AAA group). The fruit treated with 1.15% chitosan, 1.25% chitosan and chitosan nanoparticles then store at ambient temperature ($25{\pm}1^{\circ}C$). The shelf-life of banana, starch content, weight loss, pulp to peel ratio, total soluble solid, surface morpholgy of banana peel and sensory evaluation were analysed. Molecular analysis on the effect of chitosan was also conducted.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chitosan nanoparticles and chitosan could extend shelf-life and maintain quality of banana fruits.

식용 코팅 및 허들기술이 수산물의 품질 유지와 저장성 연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ible Coating and Hurdle-Technology on Quality Maintenance and Shelf-Life Extension of Seafood)

  • 백지혜;이소영;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5-212
    • /
    • 2020
  • 본 논문은 수산물에 사용되는 식용 코팅의 다양한 천연성분에 대한 소재 및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화학적 항균 물질 및 항산화제와 물리적 살균 기술을 병합한 허들 기술(hurdle technology)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주된 원인은 오염된 식품의 섭취와 관련이 있다. 특히, 식품 중에서도 수산물은 수분함량이 많고 미생물에 오염되기 쉽기 때문에 저장 기한이 짧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여러 가지 대안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가식성을 가지고 독성이 없는 장점을 가진 식용 코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식용 코팅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수분 손실을 지연시킴으로써 수산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항균 물질 및 항산화제를 첨가하거나 물리적인 살균 기술과도 병합할 수 있다. 하지만 식용 코팅과의 병합 처리 기술이 소수 보고되고 있어 다양한 허들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Multilayer 식용코팅의 레몬 저장성에 대한 효과 (Effect of Multilayer Edible Coatings on the Lemon Quality Changes during the Storage)

  • 최진욱;이승주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1호
    • /
    • pp.27-34
    • /
    • 2010
  • Citrus계 식용 코팅제인 beeswax-hydroxypropyl methylcellulose(BW-HPMC), soybean oil-carboxymethyl cellulose(SBO-CMC), carnaubawax-shellac-locust bean gum(CW-SL-LBG)를 각각 사용하여 레몬에 먼저 1차 코팅하고 항산화제인 비타민 C와 E를 섞어 그 위에 제 2차 코팅하여 이중층의 multilayered 레몬을 제조하였다. 레몬 껍질 위에 형성된 막의 양은 CW-SL-LBG, BW-HPMC, SBO-CMC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속 저장 실험 조건으로 30${^{\circ}C}$의 항온기에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자의 중량감소율, 부패율, 경도, pH, 가용성 고형분, 적정산도, 갈변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중량감소율, 부패율, 경도, 갈변도는 CW-SL-LBG가 가장 작은 변화를 보였고, pH, 가용성 고형분, 적정산도의 변화는 SBO-CMC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저장성의 관능검사에서는 CW-SL-LBG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CW-SL-LBG가 비타민 C와 E를 함유한 multilayer 코팅에 가장 적합한 물질로 평가되었다.

신고배의 저장성에 미치는 가식성 코팅제의 효과 (Edible Coating Effects on Storage life of ‘Niikata’ Pear)

  • 양용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216-220
    • /
    • 2002
  • 신고배의 저장성에 미치는 가식성 코팅제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연구하였다. 신고 배의 저온저장 18주 후 무게는 저온상태에서 11% 정도의 감량이 나타난 반면, 코팅 처리구에서 약간 적은 감량을 보였고 경도는 저온상태에서 보다 코팅 처리구에서 높았고 가용성 당 함량(SSC)도 같은 경향이었다. Hunter 'L' 값은 코팅 처리구에서 감소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 처리구의 호흡률은 저장 14주 이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에틸렌 발생은 함량이 저장초기에 에틸렌 발생이 높았다. 저온 처리와 코팅 처리 시 모두 저장 10주째까지 높은 시장성을 유지하였고 저온 처리구에서 저장 12주째까지 시장성 지수 3 이상을 나타내 코팅 처리에 비하여 품질이 우수하였다. 코팅 처리구는 코팅 두께로 기인된 과육내 고 이산화탄소 장해로 과피 흑변이 나타나 저온저장처리에 비해 시장성이 떨어졌다.

  • PDF

가식성 필름 코팅에 따른 홍화씨 가공제품의 품질 변화 (Changes on the Quality of Safflower Seed Products Coated with Edible Films during Storage)

  • 김남우;주은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2
    • /
    • 2005
  • 본 연구는 홍화씨 가공제품의 산패방지 및 품질 향상을 위하여 가식성 필름을 코팅하여 저장 중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 L 값과 적색도 a 값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황색도 b 값은 감소하였다. 코팅한 홍화정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의 증가보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산가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산가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증가를 보였으나 저장 30일째에 $25^{\circ}C$$50^{\circ}C$의 sodium caseinate와 k-carraggenan으로 코팅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 50\%$낮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는 두가지의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이 대조구에 비해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k-carrageenan으로 코팅한 홍화정이 sodium caseinate로 코팅한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관능검사와 유지 산패 측정의 주요 인자인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홍화정의 산패취를 방지하고 품질의 보존을 위한 방법으로 가식성 코팅제인 caseinate와 k-carrageenan 용제로 코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Different Edible Coating Materials on the Storability of 'Bing' Sweet Cherries

  • Park, Su-Il;Zhao, Yanyun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1
    • /
    • 2006
  • 'Bing' 체리 (P. avium L.)는 짧은 저장성을 가지는 신선 농산물로, 코팅에 의한 저장성 향상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네 종류 ($Semperfresh^{(R)}$, calcium caseinate, chitosan, or TIC $Pretested^{(R)}$ colloid 911)의 식이성 코팅 재료를 1% 농도로 체리에 코팅 처리 한 후 $2^{\circ}C$, 88% 상대습도 조건에서 35일 간 저장하며 코팅 물질에 따른 저장성 및 품질변화를 확인하였다. $Semperfresh^{(R)}$ 코팅은 체리의 전반적인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하였는데, 무게 감소를 줄이고 표면 색변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키토산을 기본으로 하는 코팅은 저장 중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colloid 911 과 calcium caseinate를 이용한 코팅은 신선 체리의 저장성 향상에 기여하지 못했는데, 이들 친수성 코팅 물질의 경우, 체리의 표피층과 코팅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체리의 자연적인 보호층인 큐티클 층이 영향을 받음으로 체리의 무게 감소가 저장 기간 중에 촉진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약재 추출물, 가열 및 코팅 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and Heat and Coating Treatments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Apples)

  • 정헌식;이주백;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13-817
    • /
    • 2012
  • 신선절단 '후지' 사과의 갈변도에 화학물질(ascorbic acid, cystein,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histidine: 1% 용액), 한약재(갈근, 당귀, 산약, 오약, 천궁, 황기: 1% 추출액), 가열(절단과실과 원형과실, $40-60^{\circ}C$ 증류수) 및 코팅(albumin, dextrin, sucrose poly ester, whole soy flour: 0.5-4% 용액)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방법별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도는 1% calcium chloride 용액 처리, 황기 추출물 처리, 3% dextrin과 1% whole soy flour 코팅 처리에 의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가열처리의 갈변도는 절단과실 처리시에는 $50^{\circ}C$에서, 원형과실 처리시에는 $45^{\circ}C$에서 각각 처리한 시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로써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 가열 및 코팅 처리의 억제 효과와 조건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방법은 화학물질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찹쌀떡의 보존기간 연장을 위한 대두단백질 코팅제의 특성 (Extending Shelf-life of Rice Cake Using Coating Agent Containing Soy Protein Isolate)

  • 박상규;조지미;이유석;이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1-186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y protein isolate (SPI) film coating on the color, firmness, viscosity and weight loss of Rice Cake stored at 15, 20 and $25^{\circ}C$ (RH 50%) for 30 days. Raw materials mixed with SPI and cocoa powder (10:0, 7:3, 5:5, 3:7, w/w) were prepared. After adding sugar and shortening to raw materials, the mixture were refined to 25 micron of particle size. Coating of Rice Cake were carried out at $65^{\circ}C$. SPI coated Rice Cake had higher internal and external firmness comparing to the control at $25^{\circ}C$. SPI coated Rice Cake showed smooth surface morphology and had 0.71-1.01 mm of thickness. SPI coated Rice Cake showed less weight loss for 30 days compared to controls. SPI coating solution was successfully coated on Rice Cake and extended shelf-life over 15 days at room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