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coati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6초

산채류의 미생물 안전성 증진을 위한 가식성 항균 코팅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an Antimicrobial Edible Coating to Improve Microbial Safety of Wild Vegetables)

  • 최지은;김봉선;장윤지;배재우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1
    • /
    • 2024
  • The edible coating system, consisting of gelatin and bacteriophages, has been developed to enhance the microbial safety of wild vegetables. Newly isolated Escherichia coli phage EP and Staphylococcus aureus phage SP were loaded into the gelatin coating solutions. The phages remained significantly stable for up to 3 days, respectively, and exhibited rapid antibacterial capacity within 2 h of coating application (p < 0.05). The developed coating was applied to bracken and exhibited antibacterial efficacy against E. coli and S. aureus within 6 h (1.9-log CFU/mL and 1.5-log CFU/mL). Furthermore, the coated bracken significantly prevented weight loss and maintained firmness for 10 days (p < 0.05). Consequently, gelatin-based edible coatings containing phages have the potential as an antibacterial packaging strategy.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Starch Coating Containing Thyme Oil against Salmonella, Listeria, Campylobacter, and Pseudomonas on Chicken Breast Meat

  • Goswami, Namita;Han, Jung-Hoon;Holley, Richard 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25-431
    • /
    • 2009
  • Antimicrobial coating on chicken carcasses may reduce the effects of cross-contamination and improve product shelf-life and safety. Thyme oil was mixed at 0.5%(v/v) with a pre-gelatinized pea starch coating solution. The coating solution was spread on chicken breast meat after inoculation with selected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After inoculation, the chicken meats were packaged in plastic bags and stored at $4^{\circ}C$. During 12 day storage, total aerob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inoculated organisms were counted at 4 day intervals. Thyme oil treatments reduced the viability of Salmonella as well as the growth of Listeria and Pseudomonas by 2 log CFU/g, and appeared to eliminate inoculated Campylobacter during storage. The addition of thyme oil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pre-gelatinized pea starch solu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yme oil inclusion in an edible starch coating may be a satisfactory delivery system to enhance the safety of processed fresh meat.

마른새우첨가 쌀 collet을 이용한 스낵 제조 시 코팅공정 독립변수의 조건변화에 따른 종속변수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s due to the Condition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Coating Process During the Producing of Snack Using Rice Collet Added with Dried Shrimp)

  • 제해수;윤문주;이재동;강경훈;정희범;박시영;박진효;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822-1831
    • /
    • 2015
  • 마른새우가 첨가된 쌀 collet을 이용하여 편이 스낵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용유코팅 독립변수 및 혼합조미분말코팅 독립변수 각각 4개(사용량, tumbler 온도, tumbler 속도, 코팅시간)의 조건변화에 의한 각각 2개의 종속변수(코팅수율, 파손율)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용유코팅 시, 식용유 사용량을 10-30%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증가하다가 사용량 20% 이상일 때는 거의 비슷한 값이었으며, 파손율은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umbler 온도를 $40-80^{\circ}C$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다가 $60^{\circ}C$부터는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으며, 파손율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Tumbler 속도를 60-100 rpm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속도가 빨라질수록 증가하다가 80 rpm을 기점으로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파손율은 80 rpm 까지는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90 rpm 부터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코팅시간을 2-6분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다가 5분 이상이 되면 다시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4분까지는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5분 이상이 되면 급격히 증가하였다. 혼합조미분말코팅 시, 혼합조미분말 사용량을 2-6%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증가하다가 사용량 5%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사용량이 증가할 때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사용량 4%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다. Tumbler 온도를 $40-80^{\circ}C$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된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60^{\circ}C$까지는 증가하였으나 $60^{\circ}C$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Tumbler 속도를 50-90 rpm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된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다가 70 rpm을 기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속도의 증가에 따라 미미하게 높아지다가 70 rpm 부터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코팅시간을 2-6분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된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3분까지는 증가하다가 4분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코팅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이고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식용유코팅은 tumbler 온도 $60^{\circ}C$ tumbler 속도 80 rpm 코팅시간 4분 식용유 사용량 20%, 혼합조미분말코팅은 tumbler 온도 $50^{\circ}C$ tumbler 속도 70 rpm 코팅시간 3분 혼합조미분말 사용량 3%로 각각 설정하여 스낵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Economic management of human businesses: Extending the life span of vegetables

  • Honglei Zhu;Duo L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5권4호
    • /
    • pp.461-468
    • /
    • 2023
  • Edible coatings are one of the most innovative methods to preserve the quality and increase the shelf life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A successful edible coating should have a barrier against gases, especially oxygen and water vapor, and have good surface characteristics. Today, chitosan coating is widely used due to its properties, such as non-toxic,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ility. Is. Coating the surface of fruits and vegetables with chitosan increases shelf life due to reducing weight loss and reducing respiration rate and also reduces decay due to its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effect. This work discusses the effect of using chitosan coating containing chamomile extract to increase fresh vegetables'shelf life.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shelf life of vegetables, this method can be used as a solution for the economic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method confirm the successful synthesis of these nanoparticles, and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food coating on vegetables have been successful. They have increased the shelf life of vegetables such as basil and spinach.

가식성 코팅처리가 토종다래(Actinidia arguta) 동결건조 스낵의 흡습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dible Coating on Hygroscopi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eze-Dried Korean Traditional Actinidia (Actinidia arguta) Cultivars Snack)

  • 김아나;소슬아;박찬양;이교연;샤피어라만;최성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44-1350
    • /
    • 2016
  • 본 연구는 수분 흡습으로 인해 건조 후 저장이 어려운 다래 동결건조 스낵의 저장성 및 상품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가식성 코팅제를 처리한 스낵의 품질 특성과 흡습 저해효과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가식성 코팅처리제로는 albumin, dextrin, whole soy flour를 이용하였고, 5%의 농도로 코팅제를 증류수에 용해한 코팅액에 슬라이스를 침지하여 제조하였다. 스낵의 주요 품질 특성인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수율, 수분용해지수 및 수분흡착지수, 수화 복원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가식성 코팅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코팅처리는 다래 동결건조 스낵의 기본적인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식성 코팅처리는 다래 동결건조 스낵의 흡습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extrin으로 처리한 시료의 흡습 저해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습 저해가 스낵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흡습 시간에 따른 경도와 총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흡습 시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시료의 경도가 감소하였고 코팅처리는 흡습으로 인한 경도의 감소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dextrin 처리가 가장 높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낵의 총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은 흡습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식성 코팅처리군의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비처리군보다 비교적 높게 유지하였고, dextrin으로 코팅한 스낵이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토종다래 동결건조 스낵의 흡습을 방지하고 품질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가식성 코팅제인 dextrin으로 코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가식성 코팅은 여러 가공식품의 상품성 및 저장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생각한다.

가식성 코팅이 '홍로' 사과 저장 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ible Coating on the Quality Change in 'Hongro' Apples during Storage)

  • 이지현;민세철;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61-64
    • /
    • 2015
  • CSW-LO 코팅액으로 코팅된 '홍로' 사과의 저장 중 미생물 수 및 품질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와 코팅된 사과의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처리구의 경도, 중량감소, 비타민 C 함량은 저장 중 대조구에 비해 더 낮은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CSW-LO 코팅은 '홍로' 사과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수확 후 처리라고 판단된다.

가식성 코팅용액을 이용한 박피마늘의 저장성 증대 (Applying Edible Coating Materials for Extending Storage Life of Peeled-Garlic)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7-385
    • /
    • 2015
  • 가식성 코팅물질의 하나인 carboxymethyl cellulose(CMC)을 주원료로 하여 CMC 혼합 코팅용액(Carboxymethyl cellulose + sodium benzoate + citric acid + lecithin)을 제조한 후 저장 기간에 따른 박피 마늘의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농도에 따른 CMC 코팅 처리구의 경우 사용된 CMC의 농도가 높을수록 중량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박피마늘의 색도 및 갈변화 현상은 CMC혼합 코팅처리구의 경우 L값의 변화는 대조구와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값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대조구와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가 저장기간 1주 이후부터는 급격한 갈변화 현상을 통해 상품적 가치를 손실되고 있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혼합 코팅용액에 의해 처리된 박피 마늘의 경도는 저장기간 4주까지 초기 박피마늘의 경도 측정값에 비해 최대 26.4 %, 최소11.7 %의 감소치를 보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박피마늘의 부패율은 혼합 코팅용액으로 처리한 박피 마늘의 경우 큰 변화 없이 4주까지 20%내외의 부패율을 나타냈다.

로즈마리를 첨가만 유지 코팅 생약제 환의 품질안정성 (Quality Stability of the Herb Pill Coated with Edible Oils Containing Rosemary Essential Oil)

  • 곽이성;주종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4-138
    • /
    • 2003
  • Quality stability of the herb pill coated with edible oils containing rosemary was investigated. Herb pills were made of herb powders such as Panax ginseng, Cinnamomum cassia, Lycium chinense, Zyzyphus jujuba and Zingiber officinale. Rapeseed oil and lubriol were used as edible coating oil. After herb pills coated with edible oils with or without rosemary were stored at $40^{\circ}C$ for 180 days, the microbial viable cell counts and peroxide values(POV) of the herb pill were investigated. After 180 day storage, POVs of herb pills with only rapeseed oil or lubriol were 0.51 and 0.49 meq/kg, respectively. However, when rosemary was added in herb pills the POVs were decreased to 0.30 and 0.39 meq/kg,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rosemary to the rapeseed oil and lubriol tended to decrease the microbial viable cell counts of the herb pill. The microbial viable cell counts of rapeseed oil and lubriol were 940 and 820CFU/g, respectively after 180 days of storage. However, these levels were suppressed to 720 and 640CFU/g by the resemary addition. On the other hand, the ginseng saponin content of herb pills was not affected by the rosemary addition during storage.

가식성 코팅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ible Coatings on the Quality of Fresh-cut Pears)

  • 최맑음;황태영;손석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6
    • /
    • 2001
  • 가식성 코팅 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백질 소재인 albumin, 탄수화물 소재인 dextrin, 지질 소재인 SPE(Sucrose polyester) 그리고 WSF(Whole soy flour)를 코팅재료로 선택하여 일정 농도로 조제한 코팅용액을 배를 dipping하여 코팅처리 한 후 $4^{\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중량감소율은 모든 코팅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억제되었다. 배의 경우는 2% dexrin 및 1% WSF 및 1% albumin 및 3% dextrin 코팅처리가 효과적이었다. $\Delta$E 값은 코팅처리 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재료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1% 및 2% dextrin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같이 높은 경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저장 5일 후에는 경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산도는 코팅처리 후 저장 중 감소하며 pH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처리에 의해 그 변과학 다소 억제되었으나 처리구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저장 기간동안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코팅 재료의 농도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 0.5% albumin, 4% dextrin, 1.0% SPE, 0.5% WSF 처리구가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4% dextrin 처리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좋은 평점을 기록하였다. 가식성 코팅 처리한배의 호흡속도를 측정한 결과 dextrin 및 WSF 처리구에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낮게 나타나 호흡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배의 코팅에 사용한 소재 중 과실의 중량 및 갈변억제 측면에서는 2-3% dextrin, 당, 산 비타민 등 성분 및 경도유지 측면에서는 1% albumin,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서는 4% dextrin 처리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여겨졌다.

  • PDF

Gelatin Coating on Quality Attributes of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Shon, Jin-Han;Eo, Ji-Hyun;Choi, Yong-Hw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34-842
    • /
    • 2011
  • Gelatin-based edible coating was used to reduce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low-fat sausages (LFSs) stored at $4^{\circ}C$ for 8 wk under vacuum packaging. The gelatin coating reduce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and peroxide value by 21.5 and 26.5%,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s. The moisture barrier effect was significantly better for the gelatin coating compared to the control. The gelatin coating reduced moisture loss in sausages by 32.6% over the control. However, the gelatin coating of sausages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either the total plate counts or L. monocytogenes. Data show that gelatin can effectively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tive and moisture barrier coating to extend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sau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