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bamboo shoot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죽순의 영양성분 및 죽순의 식이섬유가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Bamboo Shoots and the Effects of its Fiber on Intestinal Microorganisms)

  • 박은진;전덕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02-511
    • /
    • 2013
  • This study evaluated the composition two popular species of edible bamboo shoots in Korea (Phyllostachyspubescens and Sinoarundinarianigra) and the effect of their abundant dietary fiber on intestinal microorganisms in healthy young women. The ranges of total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dietary fiber content were 87.190.8, 2.943.5, 0.150.39, 0.411.05, and 4.206.15% (wet weight basis), respectively.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 increased after heat treatment; however,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dietary fiber content were reduced after heating. The major minerals found in bamboo shoots were potassium, phosphorous, sulfur, magnesium, and calcium. In addition, glucose and fructose were abundant free sugars, while asparagine and tyrosine were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s. Approximately 70% of the total free fatty acids found in bamboo shoots were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The ascorbic acid content was 6.60~17.56 mg/100 g (wet weight basis), and one phenolic compound, p-hydroxy benzoic acid, was 0.10.2% (wet weight basis) and detected by HPLC analysis. The intake of bamboo shoots for seven days significantly increased viable cell counts of Lactobacillus spp. and reduced viable cell counts of Bacteriodes spp. in feces (p<0.05). In our data, bamboo shoots may be useful in the food industry as high dietary fiber ingredients.

한국산(韓國產) 맹종죽(孟宗竹) 죽순(竹筍)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Nutritive Components of Edible Bamboo Shoots of Phyllostachys edulis Produced in Korea)

  • 정종성;박남창;이창우;원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1호
    • /
    • pp.55-60
    • /
    • 1989
  • 진주시(晋州市) 가좌동(加佐洞) 산(山) 117림(林)에서 생산(生產)된 맹종죽(孟宗竹)의 죽순성분(竹筍成分)을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생죽순(生竹筍)과 죽순(竹筍)통조림의 성분분석(成分分析) 및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성분함량(成分含量)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생죽순(生竹筍)은 죽순(竹筍)통조림에 비(比)하여 주요성분(主要成分)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조섬유(組纖維), 회분(灰分) 및 열량(熱量)에서 성분함량(成分含量)이 높은 반면 수분(水分), 당분(糖分)의 함량(含量)은 낮았다. 2) 무기물(無機物) 성분(成分)은 공(共)히 K성분함량(成分含量)이 높았으며 특(特)히 Ca함량(含量)은 일본산(日本產) 성분분석치(成分分析値)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3) Vitamin A, $B_1$, $B_2$ 및 C의 함량(含量)은 생죽순(生竹筍)에서 월등(越等)히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4)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성분함량(成分含量)은 단백질(蛋白質), 당분(糖分), 회분(灰分) 및 열량(熱量)은 상부(上部)에서 가장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으며 조섬유(組纖維) 및 수분(水分)은 하부(下部)에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5) 생죽순(生竹筍)의 부위별(部位別) Vitamin 성분중(成分中) A및 C는 중앙부(中央部)에 $B_1$은 상부(上部) $B_2$는 하부(下部)에 각각(各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 PDF

Determination of Cyanogenic Compounds in Edible Plants by Ion Chromatography

  • Cho, Hye-Jeon;Do, Byung-Kyung;Shim, Soon-Mi;Kwon, Hoonjeong;Lee, Dong-Ha;Nah, Ahn-Hee;Choi, Youn-Ju;Lee, Sook-Ye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43-147
    • /
    • 2013
  • Cyanogenic glycosides are HCN-producing phytotoxins; HCN is a powerful and a rapidly acting poison. It is not difficult to find pla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in the food supply and/or in medicinal herb collec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otal cyanide in nine genera (Dolichos, Ginkgo, Hordeum, Linum, Phaseolus, Prunus, Phyllostachys, Phytolacca, and Portulaca) of edible plants and the effect of the processing on cyanide concentration. Total cyanide content was measured by ion chromatography following acid hydrolysis and distillation. Kernels of Prunus genus are used medicinally, but they possess the highest level of total cyanide of up to 2259.81 $CN^-$/g dry weight. Trace amounts of cyanogen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foodstuffs such as mungbeans and bamboo shoots. Currently, except for the WHO guideline for cassava, there is no global standard for the allowed amount of cyanogenic compounds in foodstuffs. However, our data emphasize the need for the guidelines if plants containing cyanogenic glycosidesare to be developed as dietary supplements.

맹종죽 임분에 시비가 상대생장식 및 바이오매스에 미치는 영향 (Fertilization Effects on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in a Moso Bamboo (Phllostachys pubescens) Stand)

  • 조창규;백경원;박성완;유병오;정수영;이광수;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380-387
    • /
    • 2017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시 남부산림자원연구소 가좌시험림 내 맹종죽 임분을 대상으로 죽순 생산을 위해 약 30년 동안 시비가 실시된 시비구와 인접한 무시비구의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과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20본(시비구 10본, 무시비구 10본)의 맹종죽을 벌채 한 후, 각 기관별 바이오매스(Y)를 종속변수로 하고 근원부 20 cm 직경($D_{20}$), 흉고직경(DBH), 수고(H: culm height), 흉고직경과 수고($DBH^2{\cdot}H$)를 독립변수(X)로 하는 모든 상대생장식의 유의성이 인정(P < 0.05)되었으며, DBH를 이용한 시비구와 무시비구 상대생장식의 상대생장계수(b)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상대생장식 중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추정된 대나무 줄기, 가지, 잎의 바이오매스는 무시비구가 시비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지상부 총 바이오매스의 경우 무시비구가 $106.38Mg\;ha^{-1}$(임분 밀도 6,833본/ha)로, 시비구의 $57.68Mg\;ha^{-1}$(임분 밀도 4,633본/ha)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다. 지상부 바이오매스 분포 비율은 시비구의 경우 줄기(79%) > 가지(14%) > 잎(7%), 무시비구 경우 줄기(81%) > 가지(13%) > 잎(6%) 순으로 시비 처리에 따른 바이오매스 분포 비율에 큰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임분 밀도 차로 인하여 시비는 맹종죽 임분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축적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