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dge histogram

Search Result 28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Automatic Contour Detection of 2-D Echocardiograms Using the Heat Anisotropic Diffusion Method (Heat Anisotropic Diffusion 방법을 이용한 2차원 심초음파도의 경계선 자동검출)

  • Shin, Dong-Jo;Jung, Jung-Wan;Kim, Hyouk;Kim, Dong-Youn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4 no.12
    • /
    • pp.9-13
    • /
    • 1994
  • The Heat Anisotropic Diffusion Method has shown very effective for the contour detection of 2-D echocardiogram. To implement this algorithm, we have to choose the parameter C, K, and the threshold level. The choice of C and K are not very sensitive for the good edge detection of the echocardiogram, however the choice of the threshold level is very critical. Until now the threshold level is chosen by the trial and error method.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utomatic threshold decision method from the histogram of the gradient of boundary-like pixels.

  • PDF

A study on Scene-Change Detection Using Histogram Characteristic and Region-based Edge Characteristic (히스토그램 특징과 영역기반의 에지 특징에 의한 장면 전환 검출에 관한 연구)

  • 이득재;최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10-113
    • /
    • 2002
  •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동영상 장면전환 검출 연구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기반 비디오 정보검색 및 비디오 데이터 인덱싱 구현의 기반이 되는 첫번째 단계의 핵심적인 분야에 속한다. 비디오 데이터를 내용기반으로 처리 하기 위해서는 우선 비디오데이터를 연속성에 의한 유사 영역으로 분할하여야 한다. 동영상을 분할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디오의 불연속점을 찾아내는 장면전환 검출이 널리 사용되어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인 히스토그램 방식과 에지검출 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두 알고리즘의 장점을 혼합한 방식을 제안하였다. 영상을 1차로 히스토그램의 피크값과 계곡특징값을 이용하고 2차로 에지검출 방식으로 두 단계로 나누어 처리하여 속도향상과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성능평가를 하고자 한다.

  • PDF

Vehicle Tracking using Sequential Monte Carlo Filter (순차적인 몬테카를로 필터를 사용한 차량 추적)

  • Lee, Won-Ju;Yun, Chang-Yong;Kim, Eun-Tae;Park, Min-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c
    • /
    • pp.434-436
    • /
    • 2006
  • In a visual driver-assistance system, separating moving objects from fixed objects are an important problem to maintain multiple hypothesis for the state. Color and edge-based tracker can often be "distracted" causing them to track the wrong object. Many researchers have dealt with this problem by using multiple features, as it is unlikely that all will be distracted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we improve the accuracy and robustness of real-time tracking by combining a color histogram feature with a brightness of Optical Flow-based feature under a Sequential Monte Carlo framework. And it is also excepted from Tracking as time goes on, reducing density by Adaptive Particles Number in case of the fixed object. This new framework makes two main contributions. The one is about the prediction framework which separating moving objects from fixed objects and the other is about measurement framework to get a information from the visual data under a partial occlusion.

  • PDF

Development of Pattern Classifying System for cDNA-Chip Image Data Analysis

  • Kim, Dae-Wook;Park, Chang-Hyun;Sim, Kwee-B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838-841
    • /
    • 2005
  • DNA Chip is able to show DNA-Data that includes diseases of sample to User by using complementary characters of DNA. So this paper studied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Image data processing of DNA-chip. DNA chip outputs image data of colors and intensities of lights when some sample DNA is putted on DNA-chip, and we can classify pattern of these image data on user pc environment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ome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Ultimate aim is developing of pattern classifying algorithm, simulating this algorithm and so getting information of one's diseases through applying this algorithm. Namely, this paper study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classifying pattern of image data that is obtained from DNA-chip. And, by using histogram, gradient edge, ANN and learning algorithm, we can analyze and classifying pattern of this DNA-chip image data. so we are able to monitor, and simulating this algorithm.

  • PDF

Double sheet detection system for feeder robots in automation line

  • Kim, Dae-Nyeon;Jo, Kang-Hyun;Shin, In-Seung;Kim, Ki-Su;Kim, Tae-Ho;Kang, Hyun-Duk;Yoon, Yeon-Hong;Kim, Se-Yoon;Lee, Seung-Cho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0a
    • /
    • pp.73.4-73
    • /
    • 2001
  • We suggest a system to detection whether material picked up is double or single when the robot feeds them in automation line. This system measures thickness of metal plate and alarms when they are double sheet measuring boundary lines of metal sheet. This system calculates the minimum distance of straight boundary lines by eliminating noise in the edge regions. In the experimental system, double or single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implemented the thickness in the image where the distance of pixels are retrieved by the hash table. In this paper, the algorithm of histogram is adapted to experiment in the implement, thus proved as double sheet detection system.

  • PDF

Video Segmentation Using Luminance and Edge Histogram (명도와 에지히스토그램을 이용한 비디오분할)

  • 유헌우;장동식;박진형;이법섭;송광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07-210
    • /
    • 2000
  • 비디오데이터의 증가에 따른 효율적 검색, 저장, 브라우징을 위한 방법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비디오 분할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비디오 분할은 샷경계검출 혹은 장면전환검출이라고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밝기 히스토그램과 에지갯수를 이용하여 프레임간의 유사도를 구별하고 이 유사도가 일정 임계값을 넘지 못하면 장면전환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점진적 장면전환검출은 현재프레임과 이전의 샷경계 프레임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검출한다. 다양한 비디오데이터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해 상관관계(correlation)기법을 사용한다. 실험결과 급진적 장면전한은 각각 90%, 98%의 정확도(precision)와 회수율(recall)을 나타내었고 점진적 장면전환은 59%, 75%의 정확도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Adaptive Edge Detection Using Histogram Equalization and Clustering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군집화 전처리를 통한 적응적 경계선 추출 방법)

  • Choi, Jinjung;Lee, Jeonghyun;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84-87
    • /
    • 2017
  • 주변 픽셀간의 명도 차이가 작을수록 같은 경계를 구성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주변 픽셀간의 명도를 고려하여 경계 추출기를 활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경계선 추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한가지의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k-means 군집화를 사용하는 기존 알고리듬은 평활화에 의한 이미지 왜곡이나, 명도 차이가 큰 픽셀이 같은 그룹에 속하는 경우 혹은 명도 차이가 작은 픽셀이 각각 다른 그룹에 속하는 경우와 같이 그룹화의 오류가 있기 때문에 원본 이미지에 없던 불필요한 경계선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은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서 여러 가지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으로 각각 다른 명도 분포를 얻어내어 적응적으로 경계선을 판단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이는 기존 알고리듬에서 나타나는 불필요한 경계선을 제거하였으며 기본 경계 추출기의 효과를 향상시켰다.

  • PDF

Design of Block-based Image Descriptor using Local Color and Texture (지역 칼라와 질감을 활용한 블록 기반 영상 검색 기술자 설계)

  • Park, Sung-Hyun;Lee, Yong-Hwan;Kim, Youngseop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 /
    • v.12 no.4
    • /
    • pp.33-38
    • /
    • 2013
  • Image retrieval is one of the most exciting and fastest growing research fields in the area of multimedia technology. As the amount of digital contents continues to grow users are experiencing increasing difficulty in finding specific images in their image libraries.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image descriptor which uses a local color and texture in the non-overlapped block imag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assessed the retrieval efficiency in terms of ANMRR with common image dataset. The experimental trials reveal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exhibi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NMRR, compared to Dominant Color Descriptor and Edge Histogram Descript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Edge Histogram Analysis Technique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

  • Park Jong-Cheo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377-38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을 제안하여 20종류의 다양한 에지에 대한 에지 히스토그램을 분석한다. 전체영역에 대한 수평방향 에지 히스토그램을 분석하고, 전체 영역을 몇 개의 부분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영역에 대한 에지 히스토그램을 수행하여 영역별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방향 에지 히스토그램에서 20종류의 에지 성분의 발생 패턴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종류의 에지 성분을 사용한 방법보다 다양한 형태의 에지를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에지 특징을 추출함으로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었다.

  • PDF

Accurate Location Identification by Landmark Recognition

  • Jian, Hou;Tat-Seng, Chu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1a
    • /
    • pp.164-169
    • /
    • 2009
  •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scenes, landmarks constitute a large percentage of the vast amount of scene images available on the web. On the other hand, a specific "landmark" usually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surrounding scenes and other landmarks. These two observations make the task of accurately estimating geographic information from a landmark image necessary and feasibl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dentify landmark location by means of landmark recognition in view of significant viewpoint, illumination and temporal variations. We use GPS-based clustering to form groups for different landmarks in the image dataset. The images in each group rather fully express the possible views of the corresponding landmark. We then use a combination of edge and color histogram to match query to database images. Initial experiments with Zubud database and our collected landmark images show that is feas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