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tourism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7초

생태관광활동 참여에 따른 관광환경태도의 변화 - 우포늪 습지 방문객을 중심으로 - (A Change in Tourism Environmental Attitudes through Ecotourism Activities - Focusing on Ecotourism Participants in Upo Wetlands -)

  • 김진;고동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6-64
    • /
    • 2011
  • 생태관광은 환경을 보존하고 지역주민의 복지를 유지하는 자연지역으로의 책임 있는 관광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대안관광의 하나로 최근에 들어 생태관광에 대한 연구와 생태관광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교화 가능성 모형(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Petty and Cacioppo, 1986)이론을 바탕으로 생태관광활동에 참여하는 관광객은 높은 정교화 수준의 고관여 집단으로 이미 친환경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이며, 이들의 신념과 태도에 일치하는 생태관광활동 참여는 순환적으로 친환경 태도를 강화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0년 9월에 람사르 등록 습지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태관광지라 할 수 있는 우포늪 습지에서 방문객 183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생태관광활동에 따른 관광환경태도의 변화를 논의하였다. 생태관광활동 참여 이전과 이후의 관광환경 태도의 변화는 '반환경적 행위동조 요인' > '추억 표상 요인' > '반환경적 일탈 요인'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관광활동 참여자는 관광활동 중에 생태관광 자원의 본질적 속성에 의한 영향과 다양한 환경교육 및 체험프로그램 등을 제공받음으로써 방문 전에 형성하고 있는 친환경적인 태도를 보다 정교하게 강화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인 우포늪 생태관광지는 생태관광 개발 및 운영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친환경 태도의 형성과 강화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요인별 변화에서 생태관광활동 참여가 양극단의 환경태도보다는 '반환경적 행위동조'라는 중간적 환경태도 변화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태관광활동 참여를 통하여 '반환경적 행위동조'태도를 친환경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는 것으로 생태관광의 역할을 확인하는 중요한 결과이다.

Q 방법론을 이용한 예산 황새마을 조성사업의 갈등구조 분석 (Conflict Structure Analysis on the Construction of stork Eco-Village in Yesangun Using Q methodology)

  • 이재혁;박세진;전수현;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77-87
    • /
    • 2014
  • Ecotourism has the potential to boost the energy of a village as it pays keen attention to the ecosystem and the residents of the village. It is empowered by participation of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who are closely involved in ecotourism. However, many of them express difficulty in striking a right balance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ith regard to promoting ecotourism.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conflict that the stakeholders, especially those in Stork Village in Yesan County, South Chungcheong Province of Korea,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government-led ecotourism.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government-led ecotourism model and how they can be addressed. To analyze conflict structure, this paper used Q methods and found out that the budget-related stakeholders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groups as who; a) complain about how business profits are distributed; b) secure profits by expanding programs; c) consider human settlement, and; d) broaden people's participation.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conflicts is found that compensation was given discriminately to different jurisdictions. The second finding is that residents became less cooperative when the financial compensation did not live up to their expectation. For instance, they would demand the tourism facility physically expanded, repeatedly complain about the process of the work, and even accuse the government of degrading ecosystem. In other words, unless the compromise is reached with the residents regarding financial compensation, it could be difficult to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and develop as a program-oriented tour. Lastly, the tour program needs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nd deliver proper information on ecosystem and natural resources so as to last as sustainable ecotourism. The success of ecotourism will be subject to the cooperation of stakeholders in a region, conservation of our fragile ecosystem, and realization of sustainable growth through sharing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looks into the cause of the conflicts of ecotourism sites and their structure. If this paper can bring about cooperation of stakeholders,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ecotourism sites would be more sustainable.

농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육성을 위한 계획모형(II) - 경남 창녕군 우포지역에서의 사례연구 - (Ecotourism Planning Framework for Korean Rural Communities (II) - A Case Study in Woopo Area, Changryounggun, Korea -)

  • 유기준;이경재;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3-173
    • /
    • 1998
  • 본 연구는 우포지역에 적합한 생태관광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 수행된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관광계획모형의 순차적 단계에 따라 사례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우포지역에서의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을 비롯한 제반여건을 분석한 결과, 우포지역에서의 친환경적인 생태관광지 조성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인정되었다. 이에 따라 기초환경 조사 결과를 토대로 생태관광 주제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공간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계획안은 개념적 계획안으로서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법률적, 행정적, 재정적 한계 등 공공부문의 제약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 PDF

생태관광 해설품질과 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terpretation Quality and Tourist Satisfaction in Ecotourism)

  • 전주형;임연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20-527
    • /
    • 2016
  • 이 연구는 생태관광에서 해설자 역할, 해설 시스템, 해설품질과 생태 관광자 만족의 관계 이외 해설품질의 매개역할을 밝히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연구결과 생태관광에서 해설자 역할은 해설품질에 영향을 미쳤으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생태관광 해설 예약과 프로그램과 같은 해설 시스템은 해설품질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생태관광의 해설 품질은 관광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생태관광 해설품질은 생태관광 해설자 역할과 생태관광 해설 시스템이 만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생태관광 해설사 역할만으로는 관광자 만족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물리적 증거가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생태관광 해설은 해설자가 관광객에게 어느 정도의 해설 내용과 프로그램으로 해설 품질을 제공하느냐에 그 성공여부가 달려있다.

생태관광형 문화축제 참가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봉화 송이축제를 위주로 - (Visitors' Satisfaction on Ecotourism Type Cultural Festival - The case of Bonghwa Pine Mushroom Festival -)

  • 노용호;최승국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87
    • /
    • 2005
  • 생태환경을 보존하고 문화관광활동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생태관광은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으로 요즈음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생태환경과 문화 축제라는 양면의 성격을 가진 "봉화송이축제"참가자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여 차후 생태관광을 통한 문화행사 추진으로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 PDF

제주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생태관광 (The Inscription of Jeju World Natural Heritage and Ecotourism in Jeju)

  • 고선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5-225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의 UNESCO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거문오름 국제트레킹대회의 추진이 제주의 생태관광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거문오름 국제트레킹대회의 추진은 참여주체와 활용방향이라는 측면에서 제주세계자연유산을 활용한 제주 생태관광에 의미있는 변화를 야기하였는데, 첫째 참여주체의 측면에서 소규모 자생단체 및 개별중심에서 제주특별자치도가 적극 참여하는 계기를 제공하여 확대 발전하였다. 둘째 단순 자연경관중심 관광에서 지리관광이라는 테마관광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의 지역발전에 대한 참여의지를 고양시켰음을 지적하고 구체적 참여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제도 도입 및 국제협력방안 - 한·중·일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를 중심으로 - (Introduction of a System for a Sustainable Ecotourism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Korea-China-Japan Ecotourism Certification/Designation System -)

  • 최희선;김현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3-22
    • /
    • 2012
  •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과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생태관광의 본래적 의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외의 여러 국가에서는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의 도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6월 환경부에서 일정한 수준의 생태관광 상품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생태관광 지정제" 도입을 추진하기 위해 국회에 상정한 바 있으며, 제도도입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올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앞서 일본은 2006년부터 생태관광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인증하는 굿에코투어인증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8년 생태관광 진흥법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여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자체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환경부)는 지속가능관광 국제파트너쉽의 일환으로 2011년 1월 개최된 제 1회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Tourism(GPST) 총회에 참석하여 운영위원회 위원국으로 선출되었으며, 제 2차 총회를 2012년 3월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차 총회에서는 특히 한국이 중심이 되어 지속가능관광 아 태지역 네트워크를 추진하는 것으로 합의함으로써 아태지역의 생태관광 중심국으로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 지역의 환경, 문화, 역사자원의 공유와 인식을 기반으로 한 생태관광은 개별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은 물론 국가 간의 협조와 동조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자연자원에 대한 접근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생태관광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정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유사한 자연자원과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아태지역의 협력과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 Sets for Evaluating the Sustainable Eco-tourism and It's Application)

  • 이재혁;이희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53-869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광 산업이 성장하면서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생태관광은 지역 발전 전략을 위한 대안으로도 간주되고 있다. 더 나아가 생태관광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도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까지 인지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관광개발이 잘 계획되지 못하거나 잘못 실행되는 경우 생태관광이란 이름 하에서 가져온 경제적인 이익이 오히려 사회 생태적인 파괴를 가져오기도 한다,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측정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지표를 한국의 10대 생태관광지에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개발된 평가지표들을 사용한 결과 여러 생태관광지를 동시에 비교하여 생태관광지 마다의 지속가능성 상태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발된 평가지표 체계는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평가 영역별 가중치를 달리 부여한 결과 나타난 민감도 분석에서 순위 변화가 매우 작아서 평가 영역별 가중치 부여 문제가 심각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의 평가지표를 규범적, 분석적, 실증적 차원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안면도갯벌의 생태관광에 대한 경제적 가치추정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Ecotourism in Anmyeondo Tidal Wetlands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표희동;채동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77-86
    • /
    • 2004
  • The paper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ecotourism in Anmyeondo tidal wetlands using a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DBDC) model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For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CVM a survey was conducted for 511 visitors by personal interview method in Anmyeondo during August 2000, and respondents were asked for maximum Willingness-To-Pay (WTP) to buy a ticket fer the tidal flat's ecotourism. Overal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55,879 won for a ticket under the study. All equations and results estimate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or 5% level. For the aggregation of WTP estimates, the sample values are extended to the total annual number of visitors in Anmyeondo area during 1998. A conservative estimate, which considers the calibration factor (0.5) recommended by NOAA (1994) and a positive response rate (83.17%), is 73 billion won.

Cultural Landscape and Ecotourism in Bali Island, Indonesia

  • Hakim, Luchman;Kim, Jae-Eun;Hong, Sun-K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the role of ethnoecology in supporting tourism.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island of Bali (Indonesia), the famous tourism destination. We review the culture, nature and ecotourism prospects of Bali and then extend our discussion to examine the role of indigenous philosophies in building the destination’s image. Bali has a rich 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that have been utilized and managed through an indigenous philosophy called Tri Hita Karana. Ethnoecology is widely applied and appreciated in the society and has produced Balinese cultural landscapes that have become significant tourism attractions.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tourist desire to explore genuine Balinese culture, so ethnoecology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quest to preserve and conserve such indigenous cultural landscapes. Ethnoecology is a key to ensuring and sustaining the images and authenticity of Bali Island. In this paper, we considered the landscape of rice paddies as a cultural landscape and resource for tourism.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addy terrace landscapes is based on the ethnoecology of Tri Hita Karana;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nature and ecotourism in Bali Island, knowledge of indigenous philosophy is indispensable. Cultural landscapes that link human and natural systems are not only places of natural beauty but als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human adaptations to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