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class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34초

경기$\cdot$인천지역 중학교 가정실 실내 환경과 활용 실태 (Interior Environment and Practical Usages of the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n Middle School of Gyeonggi and Incheon)

  • 조재순;소복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7-140
    • /
    • 2004
  •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특별실인 가정실의 실내 환경. 교구와 설비, 활용 실태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가술 $\cdot$ 가정을 담당하고 있는 1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중학교는 가정실을 갖추고 있었다. 가정실은 가정 수업 외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 때때로 가정실에서의 수업에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가정실의 활용 실태는 저조하며 대부분 조리와 재봉수업으로 제한되었는데 그 이유는 실내 환경에서 냉$\cdot$난방과 환기의 부적합. 작업대와 의자 같은 설비뿐만 아니라 교구 등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가정실에서 모든 단원의 가정수업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가정실의 실내 환경과 교구의 개선은 가정실에서의 다양한 수업을 수월하게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Materialism and Altruism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Children Consumers

  • Bok, Mi-Jung;Seo, Jeo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67-173
    • /
    • 2018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of children consumers. This subjects were 431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SW 18.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o do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consumers tend to a little higher everyday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an others-oriented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social economic variables, a high tendency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was shown in groups that personality is extrovert and their household economic status is over upper middle class and father's age is higher.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of children consumers were self-regulation ability, materialism, altruism, personality tendency, household economic status. Materialism had a negative effect but self-regulation ability, materialism, altruism, personality tendency, and household economic status had a positive effect.

A Study on North Korea's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Kim Jong-un

  • Sun-Ju KIM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11-18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North Korea under the Kim Jong-un regim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was reviewed by dividing it into physical, socio-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policy aspects. Results: Pyongyang are considerably superior due to it being the residence of the country's leadership and middle class. Secondly, there is a concerning problem with the provis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struction materials are in short supply, and unreasonable timelines often lead to uninhabitable houses, signaling a need for assistance in housing construction. Thirdly, there is a severe lack of essential residential infrastructure, such as reliable electricity and clean water supply, which significantly impacts the quality of life. Lastly, due to the country's economic hardships, basic housing rights are not guaranteed, leading to deplorable living conditions for many North Koreans. The report suggests that these issues should be addressed through international aid to guarantee the basic human rights of North Koreans. Conclusions: In North Korea, the poor living environment deteriorates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citizens and adversely affects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nternational support and cooperation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North Koreans is important.

Impact of Bridge Construction on County Population in Georgia

  • Jeong, M. Myung;Kang, Mingon;Jung, Younghan 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017-1023
    • /
    • 2022
  • Past research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new infrastructure accelerates economic growth in the region by attracting more people and commodities.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only considered large-scale infrastructures such as sea-cross bridges and channel tunnels. There is a paucity of literature on regional infrastructure and its impact on socio-economic indicators.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new bridge construction on the human popul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regional bridges constructed during the 2000s in the state of Georgia. The human population at a county level was selected as a single socio-economic factor to be evaluated. A total of 124 cases were investigated as to whether the emergence of a new bridge affected the population change. The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was used to statistically examine the significance of population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by treating each new bridge as an intervention event. The results show that, out of the 124 cases, the population of 67 cas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bridge construction, while the population of 57 cases wa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The 124 cases were also analyzed by route type, functional class, and traffic volume, but the results revealed, unlike large-scale infrastructure, that no clear evidence was found that a new bridge would bring an increase in the human population at a county level.

  • PDF

정보소양과 경제윤리의 실태와 경제교육 과제 (A Survey Research on the Economic Ethics and Information Literacy)

  • 조병철;남상섭
    • 정보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117-129
    • /
    • 2005
  • The topic of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about the economic recognition related to economic ethics and information literacy of students(6,779) extend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First, for the ability to use computers, it is recognizing that 49.6% of students are normal, 38.6% are superior, and 12.8% are inferior. In part of class, it tends to recognize that it is the superior as the level of school is the lower excepting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e can find grea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related to purpose of using internet, 79.8% of male students are using computer to play game or entertainment(1), search data or knowledge(2), chatting or massenger(3), 70.1% of female students are using internet to search data or knowledge(1), chatting or massenger(2) and meeting of similar taste. Third, it shows a tendency that the economic activity using internet or cell-phone increases faster as the level of schools is higher. In detail, they primarily use buying or settlement of products(63%), purchasing internet service(20.9%). Fourth, for using illegal CD, not only they didn't feel guilty in all levels of schools, excepting university students, it is showed that the trust of intellectual poverty right is weaker as the level of schools is higher. So, it is becoming serious problems. It seems a task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economic education of schools in the future.

  • PDF

희망의 공간을 만들기 위한 "차이" 드러내기: 자본주의 공간성에 대한 Harvey와 Gibson-Graham 비교 연구 (Revealing "difference" for Space of Hope: A Comparative Study of Harvey and Gibson-Graham on Spatiality of Capitalism)

  • 최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125
    • /
    • 2010
  • 기존의 노동, 여성, 환경 운동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연대의 패러다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노동운동의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 마르크스주의와 여성주의운동의 이론적 토대인 후기구조주의 간의 차이를 고찰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 학계에서는 이런 작업이 불충분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자인 Harvey와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지리학자인 Gibson-Graham을 비교함을 통해 "차이(difference)"에 대한 이해의 이론적 차이를 밝혔다. Harvey에게 "차이"의 문제는 노동계급이라는 정체성에 동일시된 자와 동일시되지 못한 자 간의 문제이다. Harvey에게 젠더와 인종차별은 계급 권력의 특정한 형태이므로 노동계급의 보편성에 기반한 연대가 지구적 자본의 연대에 맞서는 효과적인 실천적 방법이 된다. 반면 Gibson-Graham은 계급에 특권적인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젠더와 인종의 범주들을 주변화/식민화하는 이해방식에 문제를 제시한다. 헤게모니적인 자본주의 담론을 해체하고 다양한 "공동체 경제들"을 가시화하는 것이 자본주의를 극복하는 전략임을 Gibson-Graham은 강조한다. 두 학자의 "차이"에 대한 이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에서는 이 둘간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 축적과정에 공간이 가지는 누적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이해함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공간은 자본의 이동성과 고착성, 연결성과 단절성 등의 상반된 경향들을 공존시키는 물질적 토대로 자본주의의 지역적 차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은 다양한 주체들의 우연적인 서로 다른 실천들이 어떻게 자본주의로 연결되는지를 보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 PDF

해양금융 중심도시를 위한 부산의 발전요인 분석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for Marine Financial City of Busan)

  • 김명희;이기환;양혁준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5-175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이 최근 새롭게 구축하고 있는 해양 도시로서의 역량에 부응하여 세계적인 해양금융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필요 요소가 무엇인지를 모색하고 도출된 요소들 간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해양금융발전도시를 위한 정책수립 과정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선진 해양금융도시에 대한 사례연구 및 선행연구, 그리고 전문가 면담을 통해 구성된 AHP 설문을 해양산업 및 해양금융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과 분석을 통해 부산의 해양금융발전도시로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1계층 4개 요인과 2계층 16개 세부항목으로 설계된 구조화된 대안 항목 간의 우선순위(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계층화분석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계층 4개 요인의 경우 해양금융 발전(0.371), 비즈니스 환경(0.248), 인프라(0.206), 정부지원/기타(0.175)의 순으로 그 중요도가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계층의 경우에는 4개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16개 하부항목의 중요도를 전체와 각 요인에 따른 하부항목 중요도를 따로 분석하였다. 먼저 16개 하부항목 전체로 분석한 결과 해양금융 관련기관 집적(0.134)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4개 요인별로 구분하여 2계층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해양금융 발전 요인에서는 해양금융 관련기관 집적(0.400)이, 둘째, 정부지원/기타 요인의 경우 중앙정부의 행 재정 지원(0.423)이, 셋째, 비즈니스 환경 요인에서는 조선해양산업 클러스터(0.315)가, 넷째, 인프라 요인의 2계층 중요도는 ICT&교통(0.326)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소득계층에 따른 응급의료이용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Income class)

  • 최령;황병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8-9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ing status according to income class. The target was the 2011 data out Korea Health Panel's raw data. 2011 data composed of total 17,035 people from total 5,741 households. This study set total 1,101 adults over full-20-years old having used an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as its analysis target. In order to find out the number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according to income clas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n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this study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status depending on the income class and the features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status, this study developed Models. As the result, this study found following findings. First, as the income class was lower, the gender was male, the age was lower, and the user has spouse, the user was not a business owner or a paid worker, the user is a house owner, the emergency medical facility type was a clinic, the means of transportation was others rather than 119 ambulance, the reason visiting emergency medical facility was belonged to others rather than accidents or poisoning, then the number of emergency was increased. Second, as the user was in higher income class, received the health insurance benefits, the using medical facility was general hospital, used 119 ambulance more often, stay days in emergency was shorter, then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was increased. In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data out of Korea Health Panel, it was found that while the number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was increased in the lower income class, but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was increased for higher income class. It is considered that this finding was caused from the facts that lower income class was more often exposed to dangers for physical health, so the number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was increased, but their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was decreased because of their economic burdens against various examinations and their difficulties to pay such costs, comparing to that of higher income clas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unequal problem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between lower and higher income classs, it is required to set suitable solutions like the disease prevention effort by facilitating national health check-up programs, the enhancement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quantity and quality,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securing policy at using medical facilities, the promotional, educational activities about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delivery system, the enhanced accessibility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s an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 PDF

저소득계층의 정보불평등 해소를 위한 도서관서비스 관련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Solution of the Information Inequality of the Low-Income People in Korea)

  • 안인자;노영희;장로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3-13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저소득계층의 개념과 기준 및 유형에 관하여 살펴보고, 사례조사에 의해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한 국내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계층에게 필요한 새로운 도서관서비스로 저소득계층의 디지털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의 시행과 저소득계층 성인 대상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취업 관련 프로그램 및 독서상담치료서비스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또한 저소득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방안을 5가지로서 (1) 도서관법에서의 저소득계층의 개념과 기준 및 유형에 대한 명확한 규정, (2)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의 저소득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의 강화, (3) 국가차원의 저소득계층 및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현황조사, (4) 저소득계층의 실제적인 특성 및 정보요구 파악, (5) 저소득계층의 다양한 유형별 맞춤형 도서관서비스 개발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원자력 시설 수용 선호의 이질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terogeneous Preference of Nuclear Facility Acceptance)

  • 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3-874
    • /
    • 2010
  • 본 연구는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분포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행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응답자를 원자력에 대해 동일한 인식을 가진 몇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국 성인남녀 1,025명을 대상으로 원자력의 청정성, 경제성, 필요성, 안정성에 관한 응답을 통해 응답자를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계층은 응답자 분포가 가장 높은 계층으로 원자력에 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동의하지 않는 계층이다. 두 번째 계층은 전체 표본에서 1/4 정도 분포하며, 이 계층의 특징은 원자력의 청정성, 경제성, 필요성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계층이다. 마지막 계층은 국내 경제, 에너지 여건을 감안할 때 원자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동의하지만 청정성, 경제성, 안정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계층이다. 이 결과를 통해 국민들의 85% 정도가 전반적으로 원자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말할 수 있다. 원자력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을 나타내는 계층은 15% 정도 있지만 이 계층도 원자력의 필요성에서는 어느 정도 공감을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원자력 수용성 문제 해결의 시작은 원자력 시설 안전성에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투명한 정보 제공을 위한 노력으로 안전에 대한 우려를 감소시키는 방안 마련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