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environmental perception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의 환경 인식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 정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3-280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지구 환경에 대한 환경 인식, 지구 환경의 하위 영역에 따른 환경 인식, 그리고 전공에 따른 환경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장과 기술의 부정적 결과', '인류와 자연의 관계', '삶의 질', '생물권의 한계'의 4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NEP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 중등 교사들은 생태학적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전공에 따라서도 유사한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 관련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의 생태적 환경인식 (Environmental Perception of Eco-Friendly Apartment Residents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 이지영;이연숙;이수진
    • KIEAE Journal
    • /
    • 제5권2호
    • /
    • pp.3-1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nvironmental perception of eco-friendly apartment residents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Questionnaire survey was adopted in this study, and 92 ca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perception, the New Ecological Paradigm (NEP) instrument was used. The NEP instrument consists of five dimensions: the reality of limits to growth, anti-anthropocentrism, the fragility of nature's balance, the rejection of exemptionalism, and the possibility of an eco-cri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esidents held ecological environmental perceptions. Various social characteristics(gender, age, income) of the respondents were related to acceptance of the NEP.

보호지역 이해집단간 환경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설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the Interest Groups in the Protected Areas: Focused on Seoraksan National Park)

  • 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79-788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보호지역인 국립공원에서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적 갈등을 보다 근본적인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구현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최근 국립공원 내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하여 이용과 보전의 입장이 첨예한 대립을 보여주고 있는 설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지역주민과 일반탐방객의 환경의식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14년 9월 6일부터 7일까지 설악산 국립공원 주변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150명과 오색~대청봉간 탐방로 이용객 2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설문 문항은 포괄적인 환경의식의 측정을 위해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Dunlap과 Liere(1978)의 NEP척도 12개와 '자연자원의 회복가능성'을 추가한 총 13개의 측정변수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주민과 탐방객 모두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의식이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 차원에 대한 의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 억제 또는 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적절한 통제가 바람직하다고 의식하는 환경중심적 시각에 대해서도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주민과 탐방객 사이에는 환경에 대한 의식 차이가 존재하여 탐방객이 지역주민에 비해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수준의 환경의식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결과는 국립공원 관련 정책이나 특정 사업의 시행 시 인간중심의 이용에 대한 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주민에게는 일반 국민이나 탐방객 대상의 규범적 접근법과는 다른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전반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환경의식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고 특히 학생들이 가장 환경중심적인 의식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향후 생태시티즌십 구현에 대한 높은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로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고 이해집단의 환경의식과 그 차이에 대한 기초적 수준의 파악에 머무르고 있어 향후 전체 국립공원 대상의 표본 수집을 통한 후속연구가 요망된다.

PMV와 음환경의 복합 작용이 실내 환경 지각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s of PMV and Acoustics on Indoor Environmental Perception)

  • 양원영
    • KIEAE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135-14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effect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on acoustical perception and effects of acoustics on indoor thermal perception, and to understand basic human perception on indoor environment. Method: Subjective assessment was performed in an indoor environmental chamber with 24 university students. Thermal conditions with PMV -1.53, 0.03, 1.53, 1.83 were simulated with a VRF system, a humidifier, a dehumidifier, and a ventilation system. Six noise sources - Cafe, Fan, Traffic, Birds, Music, Water- with sound levels of 45, 50, 55, 60 dBA were played for 2 minutes in random order. Temperature sensation, temperature preference, humidity sensation, humidity preference, noisiness, loudness, annoyance, and acoustic preference were assessed using bipolar visual analogue scales. The ANOVA and Turkey's post hoc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 Thermal environmental perceptions were not altered through 2 minutes noise exposure. Acoustical perceptions were altered by thermal conditions.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papers, however, the noise exposure tim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further development.

중국 소비자의 중용 가치관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Zhongyong Values on Green Consumption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 리이;이유경
    • 무역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09-125
    • /
    • 2021
  • China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through an extended period of rapid industrialization. However, adverse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more prevalent during this time of development. In particular, car exhaust emissions in the country have become one of the most substantial cause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in China. To combat these issues, the Chinese government is actively implementing green car policies to mitigate the negative environmental concerns. Likewise, Chinese consumers' interest in green cars has also increasing. Despite these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s, research on Chinese consumers' green consumption behavior is still in its infancy. Therefore,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zhongyong(中庸) values, new ecological paradigm(NEP), and green consumption behavior for 334 Chinese consumer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three sub-dimensions of zhongyong(中庸) values(multi-dimensionality, flexibility and compatibility) and NEP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green cars. It was also found that NEP positively mediates the effect of flexibility and harmony on purchase intention of green ca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cademic outcomes on China, which is currently the world's fastest growing green car market, as well as providing practical strategic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unique green marketing strategy for China.

백두대간 등산로 이용행태 및 환경영향 수준에 대한 이용객 인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il Use and Trail Users' Perception Regarding Visitor Impact Levels on Baekdudaegan Trails of Korea)

  • 유기준;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03-612
    • /
    • 2009
  • 본 연구는 백두대간 등산로가 지닌 자원과 이용의 특성, 등산이용에 따른 환경영향에 대한 등산객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이용과 관리상의 현안과제를 도출하고 등산경험 제고와 보다 효과적인 백두대간 등산로 관리정책의 입안과 집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백두대간 등산로를 입지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 이용행태와 등산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요소들의 영향수준에 대한 등산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행태는 구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백두대간 등산로는 휴양이나 여행과 같은 다목적의 이용보다는 순수한 등산의 목적지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 생태적 환경은 이용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등산로 폭과 같은 물리적 환경의 변형은 백두대간 이용경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 지표의 경우는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현행 백두대간 등산로의 이용밀도가 낮은 것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등산로의 생태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의 영향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현재까지 이용 경험의 질 저하는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향후 이용수준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제환경 영향요소간의 상호작용과 변화를 모니터할 수 있는 체계적 관리방안의 도입이 필요하다.

빈민지역 아동의 생활환경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Environment of the Children in the Deprived Areas in Seoul)

  • 김종순
    • 아동학회지
    • /
    • 제2권
    • /
    • pp.67-82
    • /
    • 1981
  •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verty areas in Seoul from the perspectives of children's development.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environmental ecology of the poverty areas and it's potential psycho-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Three poverty areas and 150 children currently living in the are as were sampled ; 70 children from middle class families and 88 from lower class respectively. Focal ecological aspects surveyed family environment, outdoor play ground and facilities, and village housing structures. Psycho-social dimension's development dealt with in the study included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al child rearing practices and role taking, and children's future perception and perspectiv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using structured format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data : 1. Children from the poverty familie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have working mothers than those from middle class. 2. The rate of having single room is higher for children from middle class by two times than from lower class. 3. Children from lower class tended to have less favorable perceptions of attitudes tote and their own families than those from middle class. 4. The likelihood of showing discrepancy in vocational choice for childre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higher for children from lower class and those from middle class. 5. Children from lower class tended to allot more time in playing with peers than those from middle class. 6. The size of outdoor play ground are inadequately poor both for middle and lower class children. The inadequateness is particularly severe for the lower class children, showing that the size and facilities of playing ground available for the child from lower class is less than half compared with those of the children from middle class.

  • PDF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의 옥외환경에 관한 인식분석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Outdoor Spac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Complexes)

  • 이정아;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outdoor spac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complexes focused on quality of life. On-site intercept surveys were performed to collect data and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residents who are currently living in two different environmentally-friendly certified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has examin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outdoor spaces of the study sites as they relate to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y correlation between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NEP), and satisfaction and loyalty,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several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ISA), t-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outdoor spaces of the apartment complexes are perceived as an important place to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Residents showed a high satisfaction rate to the natural environmental features(e.g. natural areas present, amenity of space) while they showed a lower satisfaction rate to the social environmental features(e.g.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Although most residents tend to hav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based on the study results, NEP did not influe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complexes. In contra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EP and loyalty. In addition, a strong correlation emerged between satisfaction of outdoor spaces and loyalty to the housing estates. Given these results, various recommendations were given to promote better use of outdoor spaces of dwellings to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훼손 수목 이식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연구 (Stakeholder Perception on the Transplanting Damaged Trees)

  • 문윤정;박홍준;차재규;나진주;이선미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61-379
    • /
    • 2021
  • 환경영향평가 시 개발사업으로 훼손되는 수목의 약 10%를 이식 또는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식 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20년 10월 9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협의기관, 검토기관, 사업자·대행자 그룹별 각각 36명, 44명, 83명(총 163명)이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개발사업으로 인한 훼손이 심각하므로 개발 부담금이 증가하더라도 훼손 수목의 일부를 이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한 문제점은 고사율이었다. 고사 시 대체 방안으로 세 그룹 모두 동일한 수종과 수량을 식재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고사율을 줄이기 위해 이식 수목은 크기가 작은 것을 이식하고, 이식 수종은 식재종과 조경 수종을 포함하여 확대시키고, 이식 수목량은 자생 수목량 대비 이식 비율을 산정하자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관리자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았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는 훼손 수목의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생태계문화서비스 관점에서 지역생태자산의 인지된 자연성 평가 (Assessment of Perceived Naturalness of Local Ecological Asset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 김도은;권혁수;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07-121
    • /
    • 2023
  • 인지된 자연성(perceived naturalness)의 평가는 인간이 자연공간을 바라보는 '과정'으로서의 인식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자연환경과 인간 사이에 발생하는 교호작용을 설명하고 자연환경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개개인 인식의 차이점을 평가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 한 지역 내에서 뚜렷한 특성을 보이는 생태자산에 대한 인식은 같은 공간임에도 이용자마다 각기 다른 인식으로 드러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자산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및 인터뷰를 근거로 문화서비스 관점에서 인지된 자연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근거이론 틀을 활용하여 안산시 지역활동가와 시민으로부터 도출한 지역 생태자산에 대한 서로 다른 4가지 측면의 자연성 인식의 범주를 발견하였다. 안산시 생태자산은 크게 생태자산의 보전과 현명한 개발에 대한 필요성, 생태계의 혜택에 대한 인식, 지역의 자산으로서 대표성, 자산의 이용성과 매력도 등의 자연성 가치가 논의되고 있었다. 이후 Q 방법을 활용하여 25명의 이용자에게 25개 대표 생태자산을 제시하고 4가지 제시된 기준에 따라 개인에게 인지된 가치가 높은 순으로 자산을 구분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질문항목별로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지는 이용자 그룹을 구분하고 문화서비스 향유에 대한 가상의 페르소나를 구분하였다. 안산시 25명 이용자의 대표적인 페르소나는 AWP(수생태계의 보전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수변 경관을 선호하고, 평지형 수변공원을 즐기는 유형)로 나타났다. 인지된 자연성은 생태계서비스 평가 관점에서 '이용자가 인지하는 혜택' 개념과 유사하므로 문화서비스의 평가에 있어서 보다 실질적인 이용자 평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