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wi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Notes on the Earwig Family Spongiphoridae (Insecta: Dermaptera), with a New Record of Spongovostox sakaii in Korea

  • Kim, Taewoo;Nishikawa, Masar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3권2호
    • /
    • pp.112-122
    • /
    • 2017
  • The earwig species Spongovostox sakaii Nishikawa, 2006 is repor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The species was originally described from Amami-Oshima, Nansei Islands, Japan, which is located in the Oriental Region. Its distribution in Korea was confirmed by collections from Gwangneung Forest,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South Korea. This is also first record of the pantropical genus Spongovostox Burr, 1911a from the Palearctic Region. Along with Labia minor Linnaeus, 1758 and Paralabellula curvicauda (Motschulsky, 1863), which had been reported from Korea previously, notes on the species are provided. And a key, descriptions, photos, and illustrations are given for their identification.

A New Record of Proreus simulans (Dermaptera: Chelisochidae) in Korea

  • Kim, Taewoo;Kim, Sangs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5권1호
    • /
    • pp.21-29
    • /
    • 2019
  • The earwig Proreus simulans($St{\aa}l$, 1860) has been recently reported from Jeollanam-do in the far southern sec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atural photographs of this species were obtained from Gwangyang Province for the first time in 2013, with specimens being physically collected in light traps from Suncheon Province in 2018. The species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Oriental region, where its main habitat is lowland paddy fields. The earwig belongs to family Chelisochidae, subfamily Chelisochinae, and genus Proreus, which are newly recognized in Korea. The diversity of the order Dermaptera is currently estimated to be 6 families, 14 genera, and 24 species in Korea.

두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 III. 시설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생육 및 생물다양성의 변화 (No-Tillage Agriculture of Korean-Style on Recycled Ridge III. Changes in Pepper Growth and Biodiversity at Plastic Film Greenhouse Soil in Organic Cultivation of No-tillage Systems)

  • 양승구;신길호;김선국;김도익;한연수;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84
    • /
    • 2017
  • 두둑을 재활용한 무경운 재배 토양의 고추의 생육량은 관행경운 토양에 비하여 22% 정도 증가되었고, 무경운 3년차는 12% 정도 증가되었다. 무경운 재배 2년차 토양에서 생산된 풋고추 건물중은 $348.4kg10^{-1}$으로 관행 경운 토양에 비하여 16% 증가되었으나, 무경운 3년차는 감소되었다. 무경운 2년차 토양의 세균은 관행 경운 토양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무경운 3년차에서는 관행 경운 토양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방선균도 경운 토양에 비하여 무경운 2년차 토양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무경운 3년차는 감소되었다. 곰팡이는 경운토양에 비하여 무경운 2~3년차 토양에서 1.3~1.7배 정도 증가되었다. 무경운 재배 토양의 $CO_2$ 발생량은 경운재배 토양에 비하여 41% 수준으로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고추 생육 초기 관행 경운 토양의 미소동물은 톡토기목과 응애목 2종 6개체가 포획되었으나, 무경운 1년차 토양에서는 지네강 등 5종 11개체가 포획되었고, 무경운 2년차는 딱정벌레와 지네강 등 3종 5개체가 포획되었다. 고추 정식 46일 후에 조사한 경운재배 토양은 보라톡토기 등 4종 40개체를 포함 큰집게벌레 등 8종 97개체가 포획되었다. 무경운 재배토양은 9~10종 101~107개체가 포획되었다. 지표생물로서 환경의 변화의 기준이 되는 자연도 점수는 관행경운양 19점에 비하여 무경운 토양의 자연도 점수는 33점으로 1.74배 정도 높았다. 따라서 두둑과 고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은 관행 경운토양에 비하여 작물의 생육과 토양 미생물, 토양 곤충을 포함한 토양생물 다양성, 온실가스 발생량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