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worm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2초

Vermicomposting에 의한 우분과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eatment of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by Vermicomposting)

  • 조익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3-102
    • /
    • 2003
  • This research was made to determine the optimum mixing ratio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investigating the effect that gets the growth and reproductive efficiency of earthworm and productivity of earthworm casts at processing process when handled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by vermicompost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treatment system of organic wastes by vermicomposting. Survival ratio of earthworm was highest in the mixing ratio 80~100% : 20~0% of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and the increasing ratio was highest in cattle manure 100%, and the number of young worms, the weight of young worms and the productivity of earthworm casts in plots more than the mixing ratio 60% of cattle man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Total nitrogen and carbon contents in earthworm cast were decreased when rearing time of earthworm was increased. Carbon and nitrogen rate(C/N) of earthworm cast in plots more than the mixing ratio 80% of cattle manu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pH in earthworm cast was higher than that in residual matter. The contents of electrolytic conductivity in the higher mixing ratio of food wast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 PDF

흰쥐에 있어서 간손상(肝損傷)에 미치는 토룡분(土龍粉) 첨가식이의 영향 (Effect of Earthworm Flour Supplemented Diet on the Liver Damage in CCl4-treated Rats)

  • 윤종국;반재태;신중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5-112
    • /
    • 1994
  • To evaluate the role of dietary earthworm flour in liver injury by CCl4 treatment, the rats were fed 5% earthworm flour supplemented diet for 53 days and control rats were fed standard diet without earthworm supplementation. Liver damage was induced both in earthworm flour supplemented diet and control groups by two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CCl4 at the level of 0.1$m\ell$/100g body weight(50% in olive oil) at intervals of 16 hours the increasing rate of lover weight/body weight(%) and serum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to the control group were higher in CCl4-treated rats fed earthworm flour supplemented diet than those fed standard diet. The decreasing rate of hepatic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 activity was also higher in rats fed earthworm supplemented rats by the CCl4 treatment,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as sinificantly higher in rats fed earthworm supplemented diet than those fed standard diet. It is concluded that a dietary earthworm flour argument the metabolic rate of CCl in rats.

  • PDF

우분 분해에 대한 지렁이와 소똥구리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Earthworm and Dung Beetles on Cattle Dung Decomposition)

  • 방혜선;나영은;정명표;김명현;한민수;강기경;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8-242
    • /
    • 2009
  • 우분의 분해에 있어 소똥구리와 지렁이를 함께 처리한 구에서 단독으로 소똥구리와 지렁이를 처리한 것 보다 분해율이 높았고, 지렁이와 소똥구리가 우분 분해 활동을 한 다음에 식물체를 파종했을 때 식물체 생장은 비료를 처리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우분 함수율 78%까지는 소똥구리에 의해 분해 활동이 일어나며, 30%까지는 지렁이에 의해, 30% 이하에서는 두 동물군 모두 분해 활동을 하지 않았다. 소똥구리와 지렁이에 의해 운반된 우분은 초기 우분의 약 72%이며, 이중 10.2%는 소똥구리의 brood ball 형성에 이용되었다. 지렁이의 활동이 소똥구리의 brood ball 형성에 저해요인이 되지 않았고, 소똥구리의 활동 또한 지렁이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지렁이와 소똥구리는 우분에서 공간적 분포를 같이 하면서 먹이 경쟁을 하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온대 숲 토양 생태계에서 지렁이가 톡토기류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thworms on Collembola Abundance in Temperate Forest Soil Ecosystem)

  • 이주형;박지현;유지연;한수현;남보은;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7-106
    • /
    • 2010
  • Earthworm, a prominent ecosystem engineer within many terrestrial ecosystems, can exert profound influences on various abiotic/biotic environments through bioturbation processes such as burrowing, casting and mixing of litter and soi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rthworm (Oligochaeta) can alter the soil physico-chemical conditions and ultimately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llembola which constitutes a large proportion of the soil fauna. During September 2010, soil organisms along with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andomly installed 20 plots in Mt. Gwan-ak.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abundance of Collembola among plot samples in respect to the presence/absence of earthworm and soil physico-chemical conditions (i.e., pH, $PO_4^{3-}$, $NO_3^{2-}$, organic matter (OM), electrical conductance and water content). Analysis of soil physico-chemical environment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organic mat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ance in plots with earthworm compared to plots without earthworm. Abundance of Collembola were not only higher in plots with earthworm than in plots without earthworm, but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vailability of OM present in the environ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impacts of earthworm on the abundance of Collembola in this study may have been due to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modify soil physico-chemical conditions favored by Collembola. Such conspicuous influence of earthworm's activity on below-ground community suggests their potential significance in forest restoration or revegetation process.

채소용 육묘 상토로서 지렁이분립의 이용 (Utilization of Earthworm Cast as a Component of Plant Growth Medium for Tomato)

  • 조익환;전하준;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와 축분의 vermicomposting 처리로 얻어지는 지렁이 분립을 이용하여 채소의 육묘상토 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판상토 100%, 지렁이분립 100%, 지렁이분립 50% + vermiculite 50%, 지렁이분립 50% + Perlite 50% 및 지렁이분립 40% + vermiculite 30% + perlite 30%의 각각 다른 지렁이분립 혼합비율이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Mill.)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마토 생육 2주째까지는 시판상토구가 전 처리구에서 초장, 엽수, 경경, 엽중, 경중, 지상부중, 근중 및 생물수량이 가장 높았지만, 이후부터는 지렁이 분립 100%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시판상토구에 비해서도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지렁이 분립과 Vermiculite를 혼합한 구는 시판상토구와 유사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한편 생물수량의 상대생장율(BYRGR), 지상부 무게의 상대생장율(RGR) 및 지하부무게의 상대생장율(RWGR)은 생육 4주 째까지 지렁이 분립 100% 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지렁이 사육상에서 지렁이 유인장치에 의한 줄지렁이(Eisenia fetida) 유인효과 (Earthworm harvesting efficiency of earthworm(Eisenia fetida) attracting trap in the vermicomposting bed)

  • 배윤환;박광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2호
    • /
    • pp.98-106
    • /
    • 2005
  • 지렁이 사육상으로부터 지렁이를 분리, 수확할 수 있는 지렁이 유인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 사육상에서의 지렁이 개체군 동태, 유인물질 및 유인틀내 철망의 mesh 크기, 덮개재질 등에 따른 지렁이 유인효율을 조사하였다. 지렁이 사육상에서 줄지렁이의 최고밀도는 약 $5kg/m^2$이었으며 최고밀도 도달한 이후에는 $4.4{\sim}5.0kg/m^2$의 밀도를 유지하였다. 유인틀내 철망의 mesh 크기는 7mm정도가 적정하였으며 유인틀 덮개는 표면은 매끄럽고 수분을 잘 머금을 수 있는 재질이 적당하였다. 유인틀내에 유인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유인효과가 현저히 높았으며, 유인틀내 유인제량이 많을수록, 유인틀 설치 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렁이 유인량이 많아졌다. 유인제로서는 분쇄된 배껍질이 제지슬러지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유인제내 당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량의 배껍질을 공급하기가 어려우므로 그 대용으로서 설탕물(10%)을 유인물질로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었다.

  • PDF

지렁이 분말의 급여가 계육의 안전성 및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arthworm Meal on the Meat Safety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손장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5-194
    • /
    • 2007
  • 본 연구는 지렁이 분말의 첨가가 계육의 안전성 및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총 60수의 1일령 육계에 지렁이 분말 0%(대조구), 0.2% 및 0.4%를 첨가한 사료를 공시하여 7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지렁이분말 $0.4\sim0.6%$ 첨가는 대조구에 비해서 사료섭취량 증가 및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인정되었으며, 그 효과는 건조 지렁이분말 0.4% 첨가구가 0.6% 첨가구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건조 지렁이분말의 첨가로 인한 사료효율의 개선은 사육전기보다. 사육 후기인 4-7주 사이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렁이분말(EWM) 중의 As, Cd, Cr, Hg 및 Pb는 각각 4.41, 1.23, 1.18, 0.00 및 3.39ppm검출되었지만, 계육 중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육계에 0.4% 지렁이분말(EWM)의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 개선 및 계육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인정된다.

  • PDF

사료 내 지렁이 분말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thworm Meal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손장호;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9-89
    • /
    • 2003
  • 본 연구는 지렁이 분말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사료 중 영양소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총 120수의 7일령 육계에 지렁이 분말 0%(대조구), 0.2% 및 0.4%를 첨가한 사료를 공시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육계초기 및 후기사료 급여 공히, 증체중 및 사료섭취량 0.4% 지렁이 분말 처리구가 대조구 및 0.2%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처리구간에 사료요구율과 도태율은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육계 초기 및 후기 사료급여 공히, 처리구간에 사료의 건물소화율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료 중 조지방과 조회분 소화율은 지렁이 분말 섭취에 의해서 증가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지렁이 분말 0.4% 첨가구에서의 사료 중 조단백질 소화율은 지렁이 분말 0%(대조구) 또는 0.2%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브로일러에 0.4%의 지렁이 분말을 첨가한 사료급여는 사료중의 조단백질 이용율을 유효하게 개선시켜서 성장을 유효하게 개선시키는 것이 인정되었다.

  • PDF

줄지렁이(Eisenia fetida) 입식 밀도 및 먹이 급이량에 따른 지렁이 개체군 생장 및 먹이 섭식효율 (Population growth and vermicomposting rate of earthworm (Eisenia fetida) according to amounts of feed supply and initial densities of earthworm populations)

  • 배윤환;박광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4호
    • /
    • pp.104-112
    • /
    • 2006
  • 지렁이 사육상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적정한 초기 지렁이 입식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단위 면적당 서로 다른 밀도의 지렁이($1m^2$의 사육상 면적당 지렁이 1, 2, 3, 5kg)를 입식하여 12kg의 먹이를 반복 급이하면서 그의 개체군 밀도 변화를 조사하였고, 효율적인 먹이급이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최고 한계에 근접한 지렁이 밀도($5kg/m^2$)에서 먹이급이량을 달리하였을 때($1m^2$의 사육상 면적당 먹이 16, 24, 32, 40kg) 먹이섭식속도를 조사하였다. 지렁이 구입비용, 노동비용 등을 고려하였을 때, 지렁이 사육상을 조성하기 위한 초기 입식밀도는 사육상 면적 $1m^2$당 2kg 이하로 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렁이 사육상에 지렁이 밀도가 최고밀도에 근접한 이후에는 단위 사육 면적당 1회에 투입되는 먹이량은 $40kg/m^2$정도인 것이 그 보다 적은 경우보다 지렁이 증식과 먹이급이를 위한 작업효율 측면에서 유리하였다.

  • PDF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분변토 재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Casting Recycle of Foodwaste Treatment Using Earthworm)

  • 김종오;이창호;홍석일;김영권;김종인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2호
    • /
    • pp.140-145
    • /
    • 2000
  •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때 음식물쓰레기 전처리 공정에서 분변토의 Bulking Agent로 활용가능성과 분변토에 토착 기생하는 미생물을 조사하여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음식물쓰레기는 낮은 pH(4.52)와 높은 수분(87.3%) 및 유기물함량(86.2)으로 직접 지렁이 먹이로 활용이 불가능 하였으나, 분변토와 혼합하였을때 지렁이의 먹이조건과 생육환경에 적합한 pH 5.92, 수분 58.6% 유기물함량 60.6%를 나타내어 음식물쓰레기의 Bulking Agent로 분변토의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분변토의 미생물학적 조사에서 균종별 밀도는 세균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세균의 밀도는 고온성보다 중온성이, 혐기성보다 호기성일때 밀도가 높았다. 또한 염분농도에 따른 세균의 밀도는 염분의 농도가 낮을수록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분변토를 수분조절제로 활용하기 위해 건조시킬때 건조방법(자연건조, 강제건조)에 따라 미생물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의 활성도는 분변토의 건조전이 전조후 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