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dam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6초

Nonlinear dynamic behavior of Pamukcay Earthfill Dam

  • Terzi, Niyazi U.;Selcuk, Murat E.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9권1호
    • /
    • pp.83-100
    • /
    • 2015
  • Water and energy supplies are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urkey. Given their important role and the fact that a large part of Turkey is in seismically active zones dams should be accurately analyzed since failure could have a serious impact on the local population environment and on a wider level could affect the economy. In this paper, a procedure is proposed for the static, slope stability, seepage and dynamic analysis of an earth dam and the Pamukcay embankment dam. The acceleration time history and maximum horizontal peak ground accelerations of the $Bing\ddot{o}l$ (2003) earthquake data was used based on Maximum Design Earthquake (MDE) data.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Pamukcay dam is likely to experience moderate deformations during the design earthquake but will remain stable after the earthquake is applied.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non-linear analysis capable of capturing dominant non-linear mechanism can be used to assess the stability of embankment dams.

Assessment of Embryotoxicity of 2-Bromopropane in ICR Mice

  • Kim, Jong-Choon;Shin, Dong-Ho;Kim, Sung-Ho;Oh, Ki-Seok;Kim, Hyeon-Yeong;Her, Jeong-Doo;Jiang, Cheng-Zhe;Chung, Moon-K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27-234
    • /
    • 2003
  • 2-Bromopropane (2-BP), a halogenated propane analogue, is a substitute for chlorofluorocarbones (CFCs) which have a great potential to destroy the ozone layer and to warm the earth's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2-BP on pregnant dams and embryo-fetal development after maternal exposure during the gestational days (GD) 6 through 17 in ICR mice. The test chemical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to pregnant mice at dose levels of 0, 313, 625 or 1,250 mg/kg/day. All dams were subjected to caesarean section on GD 18 and their fetuses were examined for external, visceral and skeletal abnormalities. In the 1,250 mg/kg group, maternal toxicity included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bnormal clinical signs and a decrease in the maternal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and corrected body weight. Developmental toxicity included a decrease in the fetal body weight, a reduction in the placental weight, an increase in the fetal skeletal variation and ossification delay.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either pregnant dams or embryo-fetal development in the 313 and 625 mg/kg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12-day subcutaneous dose of 2-BP is embryotoxic at a maternally toxic dose (i.e., 1,250 mg/kg/day) in ICR mice. In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of 2-BP is considered to be 625 mg/kg/day for dams and embryo-fetuses, respectively.

전기비저항 및 유도분극 탐사에 의한 저수지 누수지수 산출 (Quantitative Evaluation of Leak Index from Electrical Resistivity and Induced Polarization Surveys in Embankment Dams)

  • 조인기;김연정;송성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5권3호
    • /
    • pp.120-128
    • /
    • 2022
  • 국내에는 17,000여개의 저수지가 존재하며, 이중 85% 이상은 5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저수지이다. 이들 저수지는 내부침식 및 세굴 현상에 의한 누수와, 그에 따른 붕괴의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 저수지 및 댐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누수를 조기에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저수지의 전반적인 상태 파악은 물론 누수의 발달여부 탐지가 가능한 비파괴, 실시간, 현장조사법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전기비저항 탐사법은 저수지 안전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비저항 탐사법은 저수지의 안전도에 대한 정량적인 지수를 제공하지 못해 공식적으로 저수지 정밀 안전진단의 상태평가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못하다. 이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와 유도분극 탐사를 통하여 계산된 수분함량에 근거한 정량적 누수지수 산출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일회성 탐사와 모니터링에 의한 정량적 누수지수 산출법을 개발하여 전기비저항 탐사와 유도분극 탐사가 향후 저수지 정밀 안전진단의 상태평가 항목으로 진입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

Large deformation performance of the anti-seepage system connection part in earth core dam built on thick overburden

  • Yu, Xiang;Wang, Gan;Wang, Yuke;Du, Xueming;Qu, Yongqi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9권6호
    • /
    • pp.683-696
    • /
    • 2022
  • Dams are inevitably planned to be built on thick overburden with high permeability and deformability. The connection part between concrete cut-off wall in overburden and earth core in dam body is not only a key part of the anti-seepage system, but also a weak position. Large uneven settlement will be aroused at the concoction part. However, the interaction behavior and the scope of the connection part cannot be determined effectively. In this paper, numerical analysis of a high earth core dam built on thick overburden was carried out with large deformation FE method.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connection part was detail studied. It can be drawn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s in dam integral deformation for different analysis method, but big differences were found at the connection part. The large deformation analysis method can reasonably describe the process that concrete wall penetrates into soil. The high plasticity clay has stronger ability to adapt to large uneven deformation which can reduce stress level, and stress state of concrete wall is also improved. The scope of high plasticity clay zone in the connection par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stress level of soils and penetration depth of concrete wall.

Damage to earth structures by the 2004 Niigata-ken Chuetsu earthquake in Japan and their rehabilitation works

  • Koseki, Junichi;Tsutsumi, Yukika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30-433
    • /
    • 2006
  • Damage to earth structures for roads, railways and residential areas, as well as dams and river levees, during the 2004 Niigata-ken Chuetsu earthquake in Japan, and their rehabilitation works are overviewed. Several influential factors are pointed out, such as a) heavy rainfall preceding the earthquake, b) large aftershocks, c) geological conditions for subsoil including existence of liquefiable layers, d) compaction degrees for embankment, and e) drainage capacity from subsoil/embankments. It is also reported that, in the reconstruction works of damaged roads and railways, preferred use of geogrid-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was implemented.

  • PDF

Earth Dam의 파괴로 인한 유출수문곡선의 해석 (An Analysis of Outflow Hydrograph Resulting from an Earth Dam-Break)

  • 한건연;이종태;이원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1-50
    • /
    • 1985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earth dam 파괴로 인한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의 해석(解析)을 실시(實施)하였다. Earth dam의 파괴에 대하여 이제까지 연구(硏究), 조사(調査) 파괴양상 및 저류방정식등(貯溜方程式等) 바탕으로 DBFW(Dam Break Flood Wave) 모형(模型)을 개발(開發)하였고 개발(開發)된 모형(模型)을 Teton과 Buffalo-Creek 댐에 적용(適用)하여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을 해석(解析)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는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의 형상(形狀)이나 첨두유량(尖頭流量) 및 첨두발생시간(尖頭發生時間) 등에 대하여 NWS의 조사결과(調査結果)와 매우 작은 편차(偏差)로 일치(一致)하고 있어 본(本) 모형(模型)의 적용성(適用性)을 입증(立證)하였다. 파괴양상이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에 미치는 영향은 저수지(貯水池)의 지형학적(地形學的) 특성(特性), 파괴부의 형태(形態), 파괴폭 및 파괴지속시간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earth dam을 지형학적(地形學的) 특성(特性)에 의하여 4가지 type으로 구분(區分)하고 각각에 대한 수위(水位)-수표면적(水表面積) 관계식(關係式)을 도출(導出)한 후 임의의 댐 높이와 파괴지족시간에 대한 첨두유출량(尖頭流出量) 및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 구할 수 있는 도표(圖表)를 제시(提示)하였다.

  • PDF

사다리꼴 개수로에서 동수두를 고려한 제방 침투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Levee Seepage Considering Dynamic Head in a Trapezoidal Open-Channel)

  • 임동균;김규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B호
    • /
    • pp.239-245
    • /
    • 2009
  • 제방은 형태 및 구성이 중력댐과 유사한 수리구조물이나, 외력조건에서 중력댐과 다른 특성을 가진다. 제방은 제외지의 수위와 흐름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는 구조물로서 하천의 흐름조건을 무시한 기존 연구와 같이 침투 안전성 해석을 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 주변의 흐름인 사다리꼴 개수로 흐름구조와 제외지 흐름이 제방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다리꼴 개수로 흐름구조는 유속분포 및 바닥면 전단응력에 있어 직사각형 개수로 흐름과 상이하였다. 또한 유속이 0.5 m/s인 경우에 침투 수두는 흐름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10%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동수두, 이차류, 난류 변동성분에 의한 인자, 그리고 다양한 물리적 영향에 기인한다. 따라서 침투해석의 외력조건은 수위뿐만 아니라, 흐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노후 코어형 필댐의 잠재 위해성 유형 분류 (Potential Hazard Classification of Aged Cored Fill Dams)

  • 박동순;오제헌
    • 지질공학
    • /
    • 제26권2호
    • /
    • pp.207-221
    • /
    • 2016
  • 최근 국내 필댐 및 저수지의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제체의 손상이나 붕괴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필댐의 핵심적인 차수기능을 담당하는 코어층에 대한 열화와 잠재 위해성 분류에 대한 연구는 거의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가 진행 중인 13개 기존 코어형 필댐에 대해(준공 후 경과년수 9-52년, 댐 높이 22-67 m), 무수보링에 의한 코어층 시추 지반조사와 표준관입시험, 2D 및 3D 전기비저항탐사, 물성·역학시험을 수행하여 공학적 기반의 잠재적 위해성 유형을 국내 최초로 분류, 제시하였다. 중심코어층에 대한 무수보링 시추 지반조사 결과, 코어재 잠재 위해성 유형을 국부적 포화대, 신속한 공내수 유입, 조립질 혼재 코어재, 상대적 저 강성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코어형 필댐의 잠재 위해성 유형 중국부적 포화대 유형은 코어존 내 유로의 성장 및 발달에 의한 내적침식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가장 위험한 위해성으로 분류 되었으며, 코어재의 열화 등급에 따라 적절한 차수능 회복을 위한 보수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외 세 가지 위해성 유형은 즉각적인 조치보다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기 검사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연구대상 댐의 분석 결과, 준공 후 경과년수와 댐 코어재의 열화 양상과는 상관성이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코어형 필댐의 노후화에 따른 댐의 안전관리와 성능개선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 담수 중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슬래브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e Slab Deformation of Concrete Faced Rockfill Dams During Initial Impoundment)

  • 원명수;김형주;정영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29-139
    • /
    • 2015
  • 차수기능을 점토 코아 대신 상류사면의 콘크리트 슬래브로 수행하는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설계는 이론보다는 사례와 경험에 크게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CFRDs에서 준공 후 초기 담수기간에 계측된 데이터를 근거로 콘크리트 슬래브와 누수량 거동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슬래브의 변형률과 수직이음부의 수평변위는 미미하게 계절적인 온도 변화와 저수위면 증가에 의한 담수하중의 영향을 받고, 주변이음부의 변형은 온도 변화의 영향은 미미하고 담수하중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누수량은 담수하중에 따른 주변이음부의 변형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