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gastric carcinom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6초

두경부종양환자에서 시행한 상부위장관검사의 유용성 (The Role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Study i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s)

  • 장지영;조문준;김준상;김병국;정현용;김재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2-165
    • /
    • 1999
  • Background and Objectives: Multiple primary tumors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are not unusual. We examin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o discover the presence of second primary cancer in their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using esophagogast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Endoscopic examination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was performed on 51 patients whose head and neck cancers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from August 1996 to April 1999. Two of all patients had been studied by barium swallowing study. In 51 patients, twenty-four had a primary tumor in the larynx, 8 in the oropharynx, 6 in the nasopharynx, 6 in the oral cavity, 6 in the hypopharynx, and 1 in the nasal cavity. Endoscopically pathologic lesions were biopsied. In control group, endoscopy was performed on 1097 patients who didn't complain any symptoms. Results: Endoscopy showed early malignant lesions in 4 cases(7.7%). Histology of esophageal cancers showed squamous cell carcinoma. Malignant lesions of stomach in 2 cases were histologically identified as adenocarcinoma. Two esophageal cancers occurred in patients whose primary lesions had oropharynx and hypopharynx. Two cases of gastric cancer were also accompanied by oropharynx and hypopharynx. The incidence of second primary cancer was 2 in oropharynx and 2 in hypopharynx. In all cases, second primary cancers were found simultaneously. In control group, 9(0.8%) of 1097 patients were confirmed as early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s. Conclusion: The majority of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detected by endoscopy were early stage in both head and neck cancer and control group. The incidence of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was 10 times as high as that of control group. Although followup period was short, all second primary cancers were detected simultaneously. We would recommend that endoscopic evaluation be included in the workup and followup of all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head and neck cancer.

  • PDF

점막하 침윤 조기위암 환자에서 VEGF-C와 COX-2 발현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VEGF-C and COX-2 Expression in Gastric Carcinoma with Submucosal Invasion)

  • 조윤정;이정의;이관주;박조현;박승만;전해명;안창준;김정구;이동호;이상철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3호
    • /
    • pp.96-103
    • /
    • 2009
  • 목적: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C와 -D 및 Cyclooxygenase (COX)-2는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점막하 침윤 조기위암에서 VEGF-C와 -D 및 COX-2의 발현과 림프절 전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점막하 침윤 조기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VEGF-C, -D 및 COX-2와 VEGF-C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염색의 결과에 따라 환자군을 나누어 다양한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또 이 세 가지 인자들 상호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85명의 환자 중 16명이 림프절 전이가 있었다(18.8%). VEGF-C는 34.1% VEGF-D는 22.3% 그리고 COX-2는 37.6%가 양성으로 판정되었다. 이 중 VEGF-C와 COX-2 모두 림프절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01, P=0.023). VEGF-D와 연관성을 보이는 인자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또 VEGF-C와 COX-2의 발현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결론: 점막하 침윤 조기위암에서 VEGF-C와 COX-2는 림프절 전이와 연관이 있고, 따라서 이 두 인자가 점막하 침윤 조기위암의 림프절 전이를 예측하는 인자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전(全)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 (The Early Experience with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 김진조;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1호
    • /
    • pp.16-22
    • /
    • 2005
  • 목적:최근 조기위암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보조하 원위부 위적제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은 복강 내 위장관 문합의 어려움 때문에 아직까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복강경용 선형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복강 내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통한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외과에서 조기위암으로 진단되어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 내 위십이지장 문합에는 복강경용 선형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델타형 문합 밥법을 이용하였다. 대상 환자에 대한 수술 관련 사항(수술 및 문합에 소요된 시간), 수술의 경과와 임상병리학적인 결과를 통한 근치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369.4\pm62.5$분, 문합에 소요된 시간은 $45.1\pm14.4$분이었으며 증례의 증가에 따라 점차 단축되었다. 문합에 사용한 자동 문합기의 수은 $7.1\pm0.6$개였다. 절제 림프절은 $31.9\pm13.1$개였으며 개복 수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첫 가스 배출은 $2.8\pm0.5$일, 첫 유동식 섭취는 $4.1\pm0.8$일, 재원 기간은 $10.3\pm4.1$일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델타형 위십이지장 문합을 이용한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은 기술적으로 용이하였고 조기위암환자에서 복강경 수술의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는 최소침습수술의 하나라고 생각된다.0\%$), 위 중부 20예($21\%$), 위 상부 18예($9\%$)였다. 위암 환자 중 흡연력이 있는 경우는 56명, 없는 경우는 40명이었고, 음주력이 있는 경우는 45명, 없는 경우는 51명이었다. 환자군에서 MTHFR의 유전자 다형성은 C/C 18($19\%$), C/T 59($61\%$), T/T 19($20\%$)였고, 대조군에서는 C/C 116($40\%$), C/T 103$40\%$), T/T 68($24\%$)이었다(P=0.045). 암의 위치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위 하부에서 C/C 16($28\%$), C/T & T/T 42($77\%$)이었고, 위 중부 및 상부에서 C/C 2($5\%$), C/T & T/T 36($75\%$) 이었다(P=0.006). 환자군 내에서 흡연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 자형의 분포는 흡연력이 있을 때 C/C 13($23\%$), C/T & T/T 43($77\%$)이었고, 흡연력이 없을 때 C/C 5($12\%$), C/T & T/T 35 ($88\%$)였다(P=0.189). 환자군 내에서 음주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음주력이 있을 때 C/C 12($26\%$), C/T & T/T 33($74\%$)이었고, 음주력이 없을 때 C/C 6($12\%$),

  • PDF

Effects of Parafibromin Expression on the Phenotypes and Relevant Mechanisms in the DLD-1 Colon Carcinoma Cell Line

  • Zhao, Shuang;Sun, Hong-Zhi;Zhu, Shi-Tu;Lu, Hang;Niu, Zhe-Feng;Guo, Wen-Feng;Takano, Yasuo;Zheng, Hua-Ch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249-4254
    • /
    • 2013
  • Background: Parafibromin is a protein encoded by the HRPT2 (hyperparathyroidism 2) oncosuppressor gene and its down-regulated expression is involved in pathogenesis of parathyroid, breast, gastric and colorectal carcinoma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parafibromin expression on the phenotypes and relevant mechanisms of DLD-1 colon carcinoma cells. Methods: DLD-1 cells transfected with a parafibromin-expressing plasmid were subjected to examination of phenotype, including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poptosis, migration and invasion. Phenotype-related protein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Parafibromin and ki-67 expression was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on tissue microarrays. Results: The transfectants showed higher proliferation by CCK-8, better differentiation by electron microscopy and ALP activity and more apoptotic resistance to cisplatin by DNA fragmentation than contro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early apoptosis by annexin V, capase-3 activity, migration and invasion between DLD-1 cells and their transfectants. Ectopic parafibromin expression resulted in down-regulated expression of smad4, MEKK, GRP94, GRP78, $GSK3{\beta}$-ser9, and Caspase-9. However, no difference was detectable in caspase-12 and -8 expression. A positive relationship was noted between parafibromin and ki-67 expression in colorectal carcinoma. Conclusions: Parafibromin overexpression could promote cell proliferation, apoptotic resistance, and differentiation of DLD-1 cells.

원형 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체외문합을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 한 술자에 의한 연속적인 48명 환자의 수술성적분석 (Laparoscopic 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with Extracorporeal Anastomosis and using Circular Stapler for Middle or Upper Early Gastric Carcinoma: Reviews of Single Surgeon's Experience of 48 Consecutive Patients)

  • 정오;김병식;육정환;오성태;임정택;김갑중;최지은;박건춘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1호
    • /
    • pp.27-34
    • /
    • 2008
  • 목적: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기술적 어려움과 환자수가 많지 않음으로 인하여 복강경 보조 위원위부 절제술에 비하여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의 수술성적과 수술후 경과 및 합병증 발생 예측인자와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의 학습곡선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술 전 검사상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cT1N0)을 진단받고 한 술자에 의해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연속적인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중 합병증이나 개복수술로의 전환은 없었고 평균 수술시간은 $212{\pm}67$분이었다. 평균 적출 림프절 개수는 $29{\pm}10$개였고 모든 환자에서 안전한 종양 경계 면이 확보되었다. 수술 후 가스배출, 식이시작, 퇴원시기는 각각 평균 2.98일, 3.67일, 7.08일이었다. 외과적 합병증은 5명(10.4%)에서 발생하였고 모두 보전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인자는 체질량지순(P=0.035, HR=2.462)였으며 수술 시간을 기준으로 한 학습곡선 분석에서 20예가 학습곡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에 대한 적절한 술식이며 수술성적과 수술 후 경과가 양호하다. 그러나 학습곡선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복강경 보조 위원위부절제술의 충분한 경험이 필요하며, 특히 초기경험에서는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환자 선택에 있어서 체질량지수를 고려하는 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ndoscopic Findings in a Mass Screening Program for Gastric Cancer in a High Risk Region - Guilan Province of Iran

  • Mansour-Ghanaei, Fariborz;Sokhanvar, Homayoon;Joukar, Farahnaz;Shafaghi, Afshin;Yousefi-Mashhour, Mahmud;Valeshabad, Ali Kord;Fakhrieh, Saba;Aminian, Keyvan;Ghorbani, Kambiz;Taherzadeh, Zahra;Sheykhian, Mohammad Reza;Rajpout, Yaghoub;Mehrvarz, Ali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407-1412
    • /
    • 2012
  • Background & Objectives: Gastric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in both sexes in Ira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upper GI endoscopic findings among people > 50 years targeted in a mass screening program in a hot-point region. Methods: Based on the pilot results in Guilan Cancer Registry study (GCRS), one of the high point regions for GC-Lashtenesha- was selected. The target population was called mainly using two methods: in rural regions, by house-house direct referral and in urban areas using public media. Upper GI endoscopy was performed by trained endoscopists. All participants underwent biopsies for rapid urea test (RUT) from the antrum and also further biopsies from five defined points of stomach for detection of precancerous lesions. In cases of visible gross lesions, more diagnostic biopsies were taken and submitted for histopathologic evaluation. Results: Of 1,394 initial participants, finally 1,382 persons (702 women, 680 men) with a mean age of $61.7{\pm}9.0$ years (range: 50-87 years) underwent upper GI endoscopy. H. pylori infection based on the RUT was positive in 66.6%. Gastric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esophagus were detected in seven (0.5%) and one (0.07%) persons, respectively. A remarkable proportion of studied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esophageal hiatal hernia (38.4%). Asymptomatic gastric masses found in 1.1% (15) of cases which were mostly located in antrum (33.3%), cardia (20.0%) and prepyloric area (20.0%). Gastric and duodenal ulcers were found in 5.9% (82) and 6.9% (96) of the screened population. Conclusion: Upper endoscopy screening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early detection of GC especially in high risk population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cost effectiveness, cost benefit and mortality and morbidity of this method among high and moderate risk population before recommending this method for the GC surveillance program at the national level.

조기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한 수술 중 외과적 병기판정의 정확도 및 유용성 (The Surgical Diagnosis for Detecting Early Gastric Cancer and Lymph Node Metastasis: Its Role for Making the Decision of the Limited Surgery)

  • 박은규;정오;류성엽;주재균;김동의;정미란;김호군;김회원;박영규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3호
    • /
    • pp.104-109
    • /
    • 2009
  • 목적: 조기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한 수술 중 외과적 병기판정의 정확도에 대하여 분석하고, 외과적 병기에 근거한 수술 범위 판단의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에서 2007년까지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369명을 대상으로 조기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한 수술 전 검사 및 외과적 병기판정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위암에 대한 외과적 병기판정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74.5%, 95.7%, 83.7%였으며 양성 예측도는 95.7%였다. 이는 수술 전 검사에 의한 조기위암의 진단에 비하여 높은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를 보였다. 림프절 전이에 대한 외과적 병기판정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는 73.2%, 78.1%. 76.4%였다. 127명의 림프절 전이 환자 중 수술 전 진단에서 59명(46.5%)이, 외과적 병기판정에 의해서는 34명(26.8%)만이 림프절 전이 없음으로 저 평가되었다. 조기위암의 진단에서 술 전 진단과 외과적 병기 사이에 불일치를 보인 70예 가운데, 63예(90%)는 외과적 병기판정이, 7예(10%)는 수술 전 진단이 정확하였다. 결론: 수술 중 외과의사에 의한 외과적 병기판정은 조기 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하여 수술 전 검사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진행위암의 조기위암으로의 저 평가를 현저히 줄인다. 따라서 위암의 수술 시 외과적 병기는 수술 범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고려되어야 한다.

  • PDF

조기위암에서 E-cadherin, VEGF-C, VEGF-D의 발현과 Cytokeratin 18로 면역화학염색 한 림프절 전이와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E-cadherin, VEGF-C, VEGF-D and the Real Extent of Lymph Node Metastases using Cytokeratin 18 in Early Gastric Cancer)

  • 김대훈;윤효영;송영진;류동희;민인철;성노현;이상억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2호
    • /
    • pp.70-78
    • /
    • 2008
  • 목적: VEGF-C와 VEGF-D는 맥관형성성 인자이고, E-cadherin의 비정상 발현은 위암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기위암에서 E-cadherin, VEGF-C, -D 그리고 cytokeratin 18번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림프절 전이와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49명의 조기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E-cadherin, VEGF-C와 VEGF-D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림프절 전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49명 환자들의 1,562개의 림프절을 cytokertin 18을 사용하여 재검사 하였다. 결과: 11 (0.7%)개의 림프절이 12.2% (n=6)의 환자들로부터 새롭게 발견되었다. 정확한 림프절 전이는 점막암에서 3.6%였고, 점막하암에서 38.1%였다. 병기 이동은 3명(6.1%)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E-cadherin의 비정상 발현은 36.7%에서 발견되었고, VEGF-C와 VEGF-D의 발현은 각각 16.3%와 36.7%에서 관찰되었다. E-cadherin의 비정상 발현은 종양의 분화도(P<0.0103)와 Lauren 분류(P<0.0001)와 뚜렷한 연관성이 있었다. VEGF-C와 VEGF-D는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전이를 포함한 임상병리학적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E-cadheirn이 비정상 발현되고 VEGF-C 또는 VEGF-D의 발현이 동반되는 환자들에서 림프절 전이의 빈도가 높았다(P=0.0031). 결론: 본 연구에서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전이와 VEGF-C, VEGF-D의 발현과의 관계를 증명할 수 없었다. 하지만 E-cadherin이 비정상 발현을 하면서 VEGF-C 또는 VEGF-D의 발현을 동반할 경우 림프절 전이와 연관성이 있었다.

  • PDF

Serum Gastrin and the Pepsinogen I/II Ratio as Markers for Diagnosis of Premalignant Gastric Lesions

  • Shafaghi, Afshin;Mansour-Ghanaei, Fariborz;Joukar, Farahnaz;Sharafkhah, Maryam;Mesbah, Alireza;Askari, Kurosh;Geranmayeh, Siamak;Mehrvarz, Alireza;Souti, Fatemeh;Sokhanvar, Homayoon;Fakhrieh, Saba;Aminian, Keyvan;Yousefi-Mashhour, Mahmud;Khosh-Sorur, Mahmud;Rasoulian, Javi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931-3936
    • /
    • 2013
  • Background: Iran is a country with very high incidences of stomach cancer, especially in Northern parts. Here we assessed prognostic value of serum screening biomarkers among people >50 years old for early detection of precancerous lesions in a hot spot for gastric carcinoma in Guilan Province, North Iran. Methods: A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urvey was conducted on 1,390 residents of Lashtenasha city with the mean age (SD) of 61.8 (9.02) years old (50.8% females)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gastrin and the pepsinogen (PG) I/II ratio with premalignant gastric lesions. Blood samples were taken for CBC, blood group, and serologic exams (PGI, PGII, and gastrin 17) from each subject. Expert gastroenterologists performed upper GI endoscopy and ROC curves were generated to determine appropriate cutoff points. Results: Mean values of PGI, PGII, PGI/PGII and gastr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trophy or metaplasia (P<0.05). To diagnose atrophy and intestinal metaplasia, a significantly higher AUC was observed for the PGI/PGII ratio (70 and 7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GI (56, 55%), PGII (63, 64%) and gastrin (59, 61%) (all p<0.001). Conclusions: Biomarker tests such as the PGI/II ratio can be used in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subjects at high gastric cancer risk in our region.

위선종 및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CNA Expression i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 김미진;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1-9
    • /
    • 1995
  • 최근 3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되어 진단되었던 위선종 25례와 위선암종 64례를 대상으로 항 PCNA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NA 양성율은 대조군 $29.14{\pm}12.77%$, 위선종 $44.09{\pm}17.11%$, 위선암종 $80.15{\pm}10.69%$로서 대조군, 위선종, 위선암종 순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양성율을 조직학적 분화도와 비교한 결과, 중분화형 및 저분화형은 고분화형에 비해 반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3등급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침습 정도와 비교한 결과, 그 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조기위암군과 진행성 위암군으로 대별할 경우 진행성 위암종에서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림프절 전이상태와 비교한 결과, 림프절 전이가 있는 선암종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선암종에 비해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CNA 양성반응은 위선종과 위선암종의 감별진단에 크게 도움을 주리라 사료되며, PCNA는 위선암종의 침윤과 전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예후 측정에 보조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 나 PCNA 반응도만으로는 독립적인 예후 척도로 인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예후 인자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