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PCNA Expression i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위선종 및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 Kim, Mi-Jin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Won-He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Tae-Sook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미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최원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이태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1995.06.30

Abstract

A monoclonal antibody to PCNA, which can be used on routinely processed tissue, was applied to 25 cases of gastric adenomas and 64 cases of gastric adenocarcinomas in order to diffentiate adenoma and adenocarcinoma and also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in adenocarcinoma.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The peNA labelling index was $29.14{\pm}12.77%$ in control, $44.09{\pm}17.11%$ in adenoma and $80.15{\pm}10.69$ in adenocarcinoma, resulting in significant increase in adenocarcinoma compared to adenoma. In adenocarcinoma,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CNA labelling index and histologic grade, and there was increased tendency of PCNA labelling index in proportion to depth of invas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CNA inde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vanced adenocarcinoma compared to early gastric carcinoma, and also in positive nodal metastasis group than in negative group. From above results, the PCNA stain will be able to provide a helpful metho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and could be a useful prognostic factor in adenocarcinoma if other factors are considered together.

최근 3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되어 진단되었던 위선종 25례와 위선암종 64례를 대상으로 항 PCNA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NA 양성율은 대조군 $29.14{\pm}12.77%$, 위선종 $44.09{\pm}17.11%$, 위선암종 $80.15{\pm}10.69%$로서 대조군, 위선종, 위선암종 순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양성율을 조직학적 분화도와 비교한 결과, 중분화형 및 저분화형은 고분화형에 비해 반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3등급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침습 정도와 비교한 결과, 그 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조기위암군과 진행성 위암군으로 대별할 경우 진행성 위암종에서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림프절 전이상태와 비교한 결과, 림프절 전이가 있는 선암종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선암종에 비해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CNA 양성반응은 위선종과 위선암종의 감별진단에 크게 도움을 주리라 사료되며, PCNA는 위선암종의 침윤과 전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예후 측정에 보조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 나 PCNA 반응도만으로는 독립적인 예후 척도로 인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예후 인자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