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mathematic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신념, 지식 및 실제 간의 차이 (Educational Articul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 Perceptions of Teachers and Mothers)

  • 황윤세;최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47-16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primary school teachers', and children's mothers's perceptions-belief, knowledge, practice-about the educational articul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primary school teachers, and mothers about the belief of articulation content. Second, in the knowledge of educational articulation, kindergarten teachers's understandings of the counterpart's curriculum were higher than that of primary school teachers's. Third, in the practice of educational articulation,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were focused language and mathematics learning for educational articulation. But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focused school adjustment.

  • PDF

한국과 미국의 유아 수학교육과정 내용 비교 연구: Common Core State Standards 및 뉴저지 주 Preschool Standards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and New Jersey Preschool Standards)

  • 유선영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333-354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과 미국의 CCSS 및 뉴저지 주 Preschool Standards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 수학교육내용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누리과정 수학교육의 개정 및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준거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목표, 내용범주 및 내용, 세부 내용 및 특징으로 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누리과정은 수학적 지식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한 포괄적 목표를 제시한 반면 미국의 수학교육 목표는 유아들이 습득해야 할 수학적 내용 및 개념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내용범주 및 내용은 두 나라 모두 수와연산의 기초, 측정, 공간 및 도형 등에 대한 것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누리과정 수학교육은 자연탐구영역에서 1개의 내용범주를 제시하고 있고, 미국 CCSS의 내용범주는 주요 수학적 개념 5개이며 Preschool Standards 내용범주는 4개로 제시 되어있다. 셋째, 두 나라 유아수학교육은 유 초 연계를 포함한 연령 및 학년별 연계성과 기술방법에 차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누리과정 유아수학교육 내용 개선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Parental Age-Related Risk of Retinoblastoma in Iranian Children

  • Saremi, Leila;Imani, Saber;Rostaminia, Maryam;Nadeali, Zakiy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847-2850
    • /
    • 2014
  • Background: Retinoblastoma is a rare malignant intraocular neoplasm. About 90% of cases feature a germline mutation in the RB1 gene and these will develop retinoblastoma during their early childhood. An association between mutations in germline cells and aging has been demonstrated. This suggests a higher incidence of childhood cancer including retinoblastoma among children of older par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paternal and maternal age with an increased risk of retinoblastoma in a case-control study in Iranian popula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240 persons who were born during 1984-2012 in Mahak and Mofid hospitals in Tehran, Iran.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studying the mean age of parents and in order to know whether parental age of patients is different from parental age of control group, (t-test) compare averages test is used perfectly.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he study of mean parental age by the use of (t-test) compare averages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ental ages of patients and controls.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for maternal but not paternal age.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advanced maternal age can increase the risk of retinoblastoma in offspring, but the paternal age has no significant effect.

유아의 정보처리양식과 연령이 공간좌표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Spatial Coordinates)

  • 오미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25-13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a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in understanding spatial coordinates. For sampl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Korean version K-ABC Intelligence Test(Moon, Soo-Back, 1997)was conducted with 165 children aged 5-6 who were attending I and G kindergarten in D city. From this pool 30 children who possessed sequential processing style and 30 children who possessed simultaneous processing style were sampled. In order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spatial coordinates, a test tool was formulated according to methodology of Blades & Spencer(1989) which was modified. Acquired data was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rrived at: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year-olds and 6-year-olds in understanding spatial coordinates. The 6-year-old group got statistically higher grades than the 5-year-old group in locating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and reading the coordinate numbers.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in understanding spatial coordinate. Children with high simultaneous-low sequential processing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locating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and reading coordinate numbers than children with high sequential-low simultaneous processing. Thirdly, after verify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teractivity between young children's age and children's processing strength,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in both tasks.

Human Capacity Issues Along the STEM Pipeline

  • Melkers, Julia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2호
    • /
    • pp.1-18
    • /
    • 2010
  •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human capacity in economies is critical to long term competitiveness, but also for the overall health and environment of regions. Yet, human science and technology-based capacity is multidimensional and has interrelated characteristics which present certain policy challenges. This paper addresses a range of issues specific to a discussion on human capacity in S&T. First, the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of human capacity issues and how they evolve along th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pipeline. The pipeline is an often used reference to describe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in STEM discipline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more advanced training, and finally to 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nd serves as a useful organizing framework for the discussion of capacity along the career evolution process. Second, the paper offers an organizing framework for discussion of policy mechanism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address issues and gaps that occur along this STEM pipeline. Specifically, it contrasts the traditional mechanisms of building human capacity in STEM areas with newer "gap filling" and integrated approached to addressed human capacity disparities and priorities. Third, the paper addresses core challenges in human capacity in STEM, includ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participation of women and underrepresented groups, brain drain/brain circulation issues, and the globalization of science.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policy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apacity.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Mathematic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 Review of Literature)

  • 곽은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1호
    • /
    • pp.1-15
    • /
    • 2010
  • 본 연구는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활동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음악은 청각, 시각, 촉각을 자극할 수 있는 다감각적 매체로써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지능력을 향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영유아의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돕는 보조적 역할 및 동기부여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지적장애영유아 치료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악의 각 요소들과 특성들을 파악하는 것은 수학개념 발달에 사용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종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며, 적절한 음악활동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영유아 수학교육의 현장에서 음악활동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며,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다양한 음악활동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PDF

문항반응이론에서 피험자 능력 및 문항모수 추정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ion Algorithm of Latent Ability and Item Parameters in IRT)

  • 최항석;차경준;김성훈;박정;박영선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3호
    • /
    • pp.465-481
    • /
    • 2008
  •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에서는 문항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기초로 피험자의 능력을 추정하고 동시에 각 문항별 문항특성곡선(Item characteristics curve: ICC)을 이용하여 문항모수를 추정하게 된다. 그러나 모수추정에 있어서 최대 우도추정의 경우는 초기값과 다른 여러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정 문제 해결방법의 대안으로 점근적 근사화 방법(Asymptotic approximation method: AAM)을 제안한다. 이는 자료의 수가 적거나 국소 변동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인 추정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개발된 'Any Assess' 시스템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신뢰성을 검정하였다.

유아 수세기(count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Counting in Korea)

  • 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9-148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 수세기(counting) 관련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세기를 주제어로 다루고 있거나 제목으로 명시한 국내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 59편을 선정하였고,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별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기별로 보면 수세기 연구물은 2001-2005년 사이에 현저하게 많았고 그 이외의 시기 동안에는 비슷한 비율로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별로 보면 수세기의 발달적 경향을 알아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세기와 기타 수학적 개념 및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보면 양적 연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질적 연구는 매우 미미했으며, 연구대상은 3-5세의 일반 유아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에는 이전에 확인된 내용들에 대해 중복적인 연구를 피하고 새로운 주제가 탐색될 필요가 있으며 영아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재 캠프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들의 정서 변화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during mathematics gifted camp program)

  • 이승훈;이세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07-122
    • /
    • 2010
  • 중학생 수학영재들에게 적합한 캠프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학생 수학영재들의 캠프프로그램에서의 정서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수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입교생 4명에 대한 면담을 통해 겨울학교 기간 동안 수학영재들에게서 보이는 정서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수학영재들이 보이는 정서 변화의 특징이 수학영재 캠프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혔다. 수학영재들은 기쁨과 자랑스러운 마음으로 겨울학교에 입교하였으며, 입교 당시 기쁨으로 가득 차있던 마음은 모의고사 성적의 상대적 비교결과에 따라 큰 변화를 겪는다. 모의고사의 성적이 저조한 경우에 큰 실망은 하지만 더욱 큰 노력을 통해 실망감을 극복해내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들의 수학적 재능과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는 모의고사 결과의 좋고 나쁨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매우 안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캠프기간 동안 수학영재들이 보이는 정서 변화의 특징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능력별 집단편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둘째, 능력별 집단 편성 교육 시 정서적 측면의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며, 셋째, 또래간의 교류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숙달목표지향성에 초점을 두도록 유도하는 방안 필요하며, 다섯째, 수학에 몰입하는 것을 도와주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식품군을 활용한 유치원생 대상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on Food Groups for Kindergarteners)

  • 안진경;김세연;김동혁;이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61-372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on the use of specific food groups in improving nutrition-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dietary behavi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TEAM attitude. Methods: We selected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in Jeollabuk-do, South Korea. A total of 44 kindergarteners from the two classroo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formed with 22 stud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11 STEAM classes on the use of the grain, fruit, and milk food groups. First, we performed the paired t-test to examine changes from pre-to-post classes for both groups. Then, we used ANCOVA to compare post-test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the adjustment of pre-test score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TEAM education program on the use of the food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1) nutrition-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P < 0.001), (2) creative problem solving (P < 0.001), and (3) STEAM attitude (P < 0.001) in the intervention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TEAM education program on the use of food groups is effective in enhancing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dietary behavi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TEAM attitudes among kindergarten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