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during mathematics gifted camp program

영재 캠프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들의 정서 변화의 사례 연구

  • Yi, Seung-Hun (Sciences and Liberal Arts (Mathematics), Youngdong University) ;
  • Lee, Sae-Na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Youngdong University)
  • Published : 2010.02.15

Abstrac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emotional changes during Mathematical Olympiad training camp were studied. The emotions of the gifted during the camp were fluctuated significantly by comparing their test scores with other camp attendants, while the morale was high at the beginning. The camp attendants were likely to overcome disappointment resulting from bad scores with putting more efforts on studying, which means their self-assessments for their mathematical talents are not affected by test results. From what characterizes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gifted, we conclude as follows: First, they tend to be positive on grouping classes depending on the mathematical ability. Second, careful emotional supports and care were needed in ability grouping education. Third, it is important to let the gifted have more chances to communicate with other camp attendants. It is recommended to induce the gifted to put their focus on the learning goal. Fifth, the proper environment helps the gifted be indulged in studying mathematics.

중학생 수학영재들에게 적합한 캠프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학생 수학영재들의 캠프프로그램에서의 정서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수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입교생 4명에 대한 면담을 통해 겨울학교 기간 동안 수학영재들에게서 보이는 정서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수학영재들이 보이는 정서 변화의 특징이 수학영재 캠프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혔다. 수학영재들은 기쁨과 자랑스러운 마음으로 겨울학교에 입교하였으며, 입교 당시 기쁨으로 가득 차있던 마음은 모의고사 성적의 상대적 비교결과에 따라 큰 변화를 겪는다. 모의고사의 성적이 저조한 경우에 큰 실망은 하지만 더욱 큰 노력을 통해 실망감을 극복해내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들의 수학적 재능과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는 모의고사 결과의 좋고 나쁨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매우 안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캠프기간 동안 수학영재들이 보이는 정서 변화의 특징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능력별 집단편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둘째, 능력별 집단 편성 교육 시 정서적 측면의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며, 셋째, 또래간의 교류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숙달목표지향성에 초점을 두도록 유도하는 방안 필요하며, 다섯째, 수학에 몰입하는 것을 도와주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 김명숙 (1997). "중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실제", 학교급별 영재교육의 실제와 발전방안, 한국영재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세미나 및 워크샵, 한국영재학회, pp.69-97.
  3. 류지영 (2006). 고교 정보과학 영재 캠프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3), pp.181-202.
  4. 박종석.오원근.박종욱.정병훈 (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pp.329-339.
  5. 박종원.이종원.오원근.박종석 (2000).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 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10(1), pp.75-104.
  6. 송인섭.이신동.이경화.최병연.박숙희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학문사;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Davis, G. A. & Rimm S. B.
  7. 석경희 (2003). 영재과학캠프를 통한 학습자특성에 따른 학습선호도특성 및 학습모형과의 관계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석임복 (2008). 학습 몰입의 성격 분석 연구- 학습 동기, 학업성취도 및 Csikszentmihalyi의 몰입 모델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4(1), pp.187-212.
  9. 신영희 (2005). 중학교 과학.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 동기유형과 실패내성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심재영 (2007).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참가자의 진로 및 성취, 진로교육연구 20(4), pp.39-56.
  11. 심재영.정세환.이길승 (2007).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참가자의 진로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pp.145-171.
  12. 이상원.방승진 (2003). 주제탐구 중심의 수학영재 캠프-초등학교 중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7, pp.31-48.
  13. 이세나.이승훈.한석실 (2009).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학습관련 인식과 정의적 특성 비교, 아동학회지 30(5), pp.73-85.
  14. 이정.강완 (2007).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1), pp.107-124.
  15. Clifford, M. M., Kim, A., & MacDonald, B. A. (1998). Responds to failure as influenced by task attribution, outcome attribution, and failure tolerance, Journal of Exxperimental Education 57, pp.19-37.
  16. Clinkenbeard, P. R. (1989). The motivation to win-Negative aspects of success at competitio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2(4), pp.293-305. https://doi.org/10.1177/016235328901200405
  17.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 Bass.
  18.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19. Csikszentmihalyi, M, & Csikszentmihalyi, I. (1988).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Elliot, A, & McGregor, H. (2001). A $2{\times}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3), pp.501-519. https://doi.org/10.1037/0022-3514.80.3.501
  21. Karp, A (2003). Thirty years after : The lives of former winners of mathematical Olympiads. Roeper Review, 25(2), pp.83-87. https://doi.org/10.1080/02783190309554204
  22. Kim, A, & Clifford, M. M. (1988). Goal Source, goal difficul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as predictors fo response to failur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8, pp.28-43. https://doi.org/10.1111/j.2044-8279.1988.tb00876.x
  23. Kulik, J. A. (1991). Ability grouping and gifted students, Invited address presented at the National Research Symposium on Talented Development,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IA.
  24. Kulik, J. A. (1992). An aralysis of the research on grouping: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Storrs,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Univerisity of Connecticut.
  25. Kulik, J. A , & Kulik, C.-L. (1991). Ability grouping and gifted students. In N. Colangello and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178-106),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26. Mayers, P. (1978). Flow in adolescence and its relation to the school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27. Rimm, S. B. (1986). Underachievement syndrom : causes and cures, Wisconsin : Apple Publishing Company.
  28. Rogers, K. B. (1991). The relationship of grouping practices to the education of gofted and talented learners,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Univerisity of Connecticut.
  29. Stanley, J. C. (1991). An academic model for educating the mathematically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35, pp.36-42. https://doi.org/10.1177/001698629103500105
  30.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vement, Needham Heights, MA: Allym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