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F4E-binding protein 1 (eIF4EBP1)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8초

발생단계별 해마신경세포에서 eIF4E 및 eIF4EBP1의 표현 (Developmental Expression of Eukaryotic Initiation Factor 4E (eIF4E) and eIF4E-binding Protein 1 (eIF4EBP1) in Rat Hippocampal Neurons)

  • 박재완;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41-946
    • /
    • 2013
  • 신경세포의 가지돌기 내 단백질합성은 필요한 단백질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합성인자 eIF4E와 그 억제 단백질인 eIF4EBP1의 발생단계별 표현을 배양한 해마신경세포를 면역 염색하여 조사하였다. eIF4E는 가지돌기에 점박이 모양으로 표현되었으며, 핵에는 표현되지 않았다. 그러나 eIF4EBP1는 가지돌기 뿐 아니라 발생초기(DIV 0.5)부터 핵에서 표현되었으며 성숙한 세포에서 핵에 더욱 뚜렷이 표현되었다. eIF4E 혹은 eIF4EBP1의 PSD95과의 colocalization은 $39.1{\pm}9.6%$$70.5{\pm}5.2%$ (DIV 7), $57.7{\pm}8.2%$$36.0{\pm}3.1%$ (DIV 10), $29.9{\pm}2.9%$$40.2{\pm}11.7%$ (DIV 20)이었다. eIF4E와 eIF4EBP1의 colocalizatin은 $18.5{\pm}2.6%$ (DIV 7), $11.1{\pm}3.9%$ (DIV 10), $38.6{\pm}5.6%$ (DIV 20)이었다. 이 결과는 eIF4E 및 eIF4EBP1의 많은 부분이 연접후에 위치하며, 발생초기에는 eIF4E가 활동적인 형태로 존재하지만, 성숙 신경세포에서는 eIF4EBP1과 결합하여 비활성적인 형태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의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Sargassum horneri extract against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epG2 cells)

  • 박소라;;차연수;김경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583-59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의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 효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HepG2 간세포에 PA를 처리하여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추출물을 처리하여 UPR 관련 인자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PA 750 μM 처리 시 UPR 관련 인자 (p-IRE1α, p-eIF2α, CHOP)의 단백질 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나 소포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유도함을 확인하였고 PA 750 μM를 12시간 처리 시 UPR 관련 인자 (p-IRE1α, p-eIF2α, CHOP)의 단백질 발현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괭생이 모자반 처리 시 PA에 의해 상향 조절된 UPR 관련 인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여 PA로 유도된 소포체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괭생이 모자반은 SIRT2, SIRT6 및 SIRT7의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괭생이 모자반의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 효능이 SIRT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괭생이 모자반이 다양한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Screening and Cloning of RAPD Markers from the W Chromosome of Silkworm, Bombyx mori L.

  • Chen, Keping;Zhang, Chunxia;Yao, Qin;Xu, Qinggang;Tang, Xu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2호
    • /
    • pp.161-167
    • /
    • 2004
  • Silkworms sex determination drew high attention from researchers. Sex chromosomes on the silkworm are of ZW type for females and ZZ type for males. Chromosome W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x determination. Although several molecular linkage maps have been constructed for silkworm, very few markers are discovered on the W chromosome. In order to look for molecular markers and to further locate the Fern gene on chromosome W, we used genomic DNA from both female and male larvae of a silkworm strain named 937 as PCR templates for RAPD amplification with 200 arbitrary 10-mer primers. The amplification results showed three female-specific bands, namely ${OPG-07_496}, {OPC-15_1,660} and {OPE-18_1,279}$. Further verification, however, revealed no band from OPG-07 and OPC-15 in either sex in the strain 798, but OPE-18 provided female-specific band in the strains Suluan7 and C108, and absent in both males and strain 798. This indicates that the bands from ${OPG-07_496} and {OPC-15_1,660}$ are probably female-specific in strain 937, and the band from OPE-18 was probably amplified from a common segment shared by most strains. The genomic DNAs from OPG-07 and OPC-15 were cloned and sequenced.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DNAs from OPG-07 and OPC-15 have high identities with the retrotransposable elements, and DNA from OPC-15 contains a portion of sequence which probably encodes an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E binding protein (eIF4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