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FP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7초

인간 배아줄기세포로의 eGFP 유전자 도입 및 특성 분석 (Transduction of eGFP Gene to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Their Characterization)

  • 김윤영;구승엽;박용빈;오선경;문신용;최영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4호
    • /
    • pp.283-292
    • /
    • 2009
  •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는 체외에서 오랫동안 증식할 수 있으며,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이다. 그러므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세포치료의 세포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로의 외래 유전자의 도입은 분화경로 규명 및 특정 유전자의 기능 규명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렌티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eGFP 유전자를 XY와 XX 핵형을 가진 인간 배아줄기세포주에 도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렌티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eGFP 유전자를 인간 배아줄기세포에 도입하였다. 도입된 eGFP의 발현은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유세포 분석을 통하여 eGFP 발현세포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eGFP가 도입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표지인자인 Oct4, SSEA4 및 Tra-1-81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배아체의 형성 여부를 확인하여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eGFP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로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 eGFP의 발현은 40 계대 이상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eGFP를 발현하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eGFP 도입 후에도, 배아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연적 분화 동안 발현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렌티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eGFP가 도입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하였으며, 그 특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지 유전자가 도입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주는 분화 및 다른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딸기과실 표면에서 Eschercia coli DH5α::gfp 증식 (Multiplication of Escherichia coli DH5α::gfp on Strawberry Fruit Surface)

  • 윤혜정;박경훈;류경열;윤종철;김병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0-256
    • /
    • 2013
  • 본 연구는 딸기에 E. coli $DH5{\alpha}::gfp$ 균주를 인위적으로 접촉시켜 배양 온도(10, 15, 20, 25, $30^{\circ}C$), 시간(24, 47, 72, 96시간) 및 접촉횟수(0, 2, 4, 6회)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가능성을 살펴보고, 딸기 추출물 함량에 의해 E. coli $DH5{\alpha}::gfp$의 증식가능 여부를 측정하였다. 저장온도 및 시간에 의한 E. coli $DH5{\alpha}::gfp$의 증식은 25,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 후 7.36~7.78 log CFU/g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10{\sim}20^{\circ}C$에서는 48시간 후 6.49~8.49 log CFU/g로 서서히 증식하였다. 각각의 온도에서 96시간 배양 후 15, $25^{\circ}C$조건에서 E. coli $DH5{\alpha}::gfp$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10^{\circ}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접촉횟수에 의한 E. coli $DH5{\alpha}::gfp$의 증식은 접촉횟수에 상관없이 10, $15^{\circ}C$에서는 E. coli $DH5{\alpha}::gfp$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circ}C$에서는 접촉횟수 증가에 따라 1.52~3.26 log CFU/g 수준으로 증식하였으나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온도가 25, $30^{\circ}C$인 경우 접촉횟수가 6회인 경우 각각 5.17, 5.01 log CFU/g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딸기 추출액 함량이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추출액의 멸균여부에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서 딸기 추출물 0%인 경우 minimal broth에서의 E. coli $DH5{\alpha}::gfp$의 증식은 배양기간 동안 1 log CFU/g 증가하는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추출물 함량이 50% 미만인 경우 대조군에 비해 E. coli $DH5{\alpha}::gfp$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50, 25% 추출액에서 각각 4, 5 log CFU/g 증가하였다.

In Situ Monitoring of Biofilm Formations of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putida by Use of Lux and GFP Reporters

  • Khang, Youn-Ho;Rober S. Burlage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1호
    • /
    • pp.6-10
    • /
    • 1998
  • A plasmid vector containing two reporter genes, mer-lux and lac-GFP, was transformed to both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putida. Their cellular activities and biofilm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flow-cell units by measuring bioluminescent lights and fluorescent levels of GFP. Bioluminescence was effective to monitor temporal cell activities, whereas fluorescent level of GFP was useful to indicate the overall cell activities during biofilm development. The light production rates of E. coli and P. putida cultures were dependent upon concentrations of HgCl2. Mercury molecules entrapped in P. putida biofilms were hardly washed out in comparison with those in E. coli biofilms, indicating that P. putida biofilms may have higher affinity to mercury molecules than E. coli biofilms. It was observed that P. putida expressed GFP cDNA in biofilms but not in liquid cultures. This may indicate that the genetic mechanisms of P. putida were favorably altered in biofilm conditions to make a foreign gene expression possible.

  • PDF

형질전환된 벼세포배양에서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생산 (Production of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from Transgenic Rice Cell Suspension Culture)

  • 이재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93-297
    • /
    • 2007
  • 형광단백질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은 생물공정을 살피데 지표 단백질로 유용하게 사용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쌀세포에서 외래 단백질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기 위해서, 표지 단백질로 GFP를 형질전환 후 이것에서 유도된 현탁세포에서 GFP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형질전환시 GFP의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로 RAmysE를 사용하였으며 이것은 배양액 중에서 당이 고갈되었을 때 강력히 작동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배양액 중에 다양한 슈크로오스 농도로 쌀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성장양태 및 GFP의 발현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세포의 성장은 12%의 당농도에서 7.06g/L로 최적이였으며 GFP는 당을 가장 적게 사용한 3%에서 최적임을 알 수가 있었다. 이것은 세포의 성장과 GFP의 생산에 사용된 당이 반대로 영향을 미침을 알 수가 있었으며 향후 최적의 대량배양을 위해서는 세포의 성장과 산물의 생산시기를 분리한 이단계 배양법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Cell growth and GFP expression in E. coli BL21 and W3110 under coexpression of Vitreoscilla hemogobin

  • 강동균;김연규;차형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54-757
    • /
    • 2001
  • Expression of the vhb gene encoding bacterial hemoglobin (VHb) from Vitreoscilla has been used to improve recombinant cell growth and enhance product formation under microaerobic conditions because of its ability to enhance oxygen use. We coexpressed GFP and VHb in Escherichia coli BL21 and W3110, and compared with GFP control which was not expressed VHb. We used nar oxygen-dependent inducible promoter for VHb expression. The GFP amounts in E. coli expressed VHb was about five fold higher than in the control Fluorescence intensity was increased about two fold.

  • PDF

Generation of heterologous proteins-expressing recombinant snakehead rhabdoviruses (rSHRVs) using reverse genetics

  • Kwak, Jun Soung;Ryu, Sujeong;Kim, Ki Ho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3-169
    • /
    • 2020
  • Snakehead rhabdovirus (SHRV) is different from other fish novirhabdoviruses such as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and hirame rhabdovirus (HIRRV) in that it replicates at high temperatures. Therefore, the delivery of foreign proteins to fish living at high water temperature would be possible by using recombinant SHRVs. In the present study, to evaluate the possible use of SHRV as a vehicle for foreign proteins delivery, we generated a recombinant SHRV that contains an enhanced-GFP (eGFP) gene between nucleoprotein (N) and phosphoprotein (P) genes (rSHRV-A-eGFP), and another recombinant SHRV expressing two heterologous genes by inserting an eGFP gene between N and P genes, and mCherry gene between P and M genes (rSHRV-AeGFP-BmCherry). Epithelioma papulosum cyprini (EPC) cells infected with the recombinant SHRVs showed strong fluorescence(s), suggesting the possible availability of recombinant SHRVs for the development of combined vaccines by expressing multiple foreign antigens.

NG-SDH시스템에서의 GFP 신호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chronization of GFP Signal in NG-SDH System)

  • 이창기;고제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1호
    • /
    • pp.53-62
    • /
    • 2005
  • NG-SDH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이더넷신호를 GFP 프레임으로의 신호동기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외국에서는 칩셋 개발이 완료되어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FP를 통한 이더넷 신호의 동기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GFP-F를 통한 이더넷 신호의 동기화 방법은 Ingress 및 Egress 버퍼와 GFP idle를 통해서 신호동기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GFP-T를 통한 이더넷 신호의 동기화 방법은 GFP Idle과 $65B{\_}PAD$를 적용해야 하고, 최대 3비트까지 이더넷 Idle의 추가 및 삭제되어야 함을 알았다. 또한 신호특성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는 신호동기의 실현과 함께 Egress 출력에서의 MTIE와 TDEV 특성과 첨두치 지터를 얻었다.

Trap identification of the constitutive promoter-like sequences from the bacterial fish pathogen, as exemplified by Edwardsiella tarda

  • Lee, Sang-Yoon;Kim, Ki-Hong;Kim, Dong-Soo;Nam, Yoon-Kwon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7-305
    • /
    • 2011
  • A trap identification system for isolating functional sequences to allow the constitutive expression of foreign protein from Edwardsiella tarda was developed. Using the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reporter-based trap system, various functional sequences to drive heterologous expression of the GFP were selectable in Escherichia coli host. However from the bioinformatic sequence analysis, all the segments predicted as regulatory regions were not native promoters actually existing upstream of endogenous E. tarda genes. Instead, a number of non-authentic sequences, possibly resulted from the random shuffling and/or intermolecular ligation were also proven to be able to display a potent GFP expression in the recombinant E. coli. Further analysis with selected clones showed that both authentic and non-authentic sequences could function in as a constitutive promoter, leading quite a consistent and stable GFP expression after repetitive subcultures. Microscopic examination also confirmed the uniform pattern of GFP expression in every host bacterium. Semi-quantitative assay of GFP showed that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levels and organizational features of the promoters trapped. Functional promoter-like elements achieved in the present study could be a good starting material for multivalent genetic engineering of E. tarda in order to produce recombinant vaccines in a cost-effective fashion.

Efficient transgene expression system using a cumate-inducible promoter and Cre-loxP recombination in avian cells

  • Park, Tae Sub;Kim, Si Won;Lee, Jeong Hy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6호
    • /
    • pp.886-892
    • /
    • 2017
  • Objective: Transgenic technology is widely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and basic research. Systems that allow for genetic modification play a crucial role in biotechnology for a number of purposes, including the functional analysis of specific genes and the production of exogenous proteins. In this study, we examined and verified the cumate-inducible transgene expression system in chicken DF1 and quail QM7 cells, as well as loxP element-mediated transgene recombination using Cre recombinase in DF1 cells. Methods: After stable transfer of the transgene with piggyBac transposon and transposase, transgene expression was induced by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cumate. Additionally, we showed that the transgene can be replaced with additional transgenes by co-transfection with the Cre recombinase expression vector. Results: In the cumate-GFP DF1 and QM7 cells,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expression was repressed in the off state in the absence of cumate, and the GFP transgene expression was successfully induced in the presence of cumate. In the cumate-MyoD DF1 cells, MyoD transgene expression was induced by cumate, and the genes controlled by MyoD were upreg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ays in culture. Additionally, for the translocation experiments, a stable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expressing DF1 cell line transfected with the loxP66-eGFP-loxP71 vector was established, and DsRed-positive and eGFP-negative cells were observed after 14 days of co-transfection with the DsRed transgene and Cre recombinase indicating that the eGFP transgene was excised, and the DsRed transgene was replaced by Cre recombination. Conclusion: Transgene induction or replacement cassette systems in avian cells can be applied in functional genomics studies of specific genes and adapted further for efficient generation of transgenic poultry to modulate target gene expression.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의 NIH 3T3 세포로의 유전자 전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절한 조건들 (The optimal conditions to improve retrovirus-mediated transduction efficiency to NIH 3T3 cells)

  • 이준아;이강민;이현재;이윤정;김동호;임중섭;박경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1011-1017
    • /
    • 2007
  • 목 적 : 쥐의 섬유아세포인 NIH 3T3와 eGFP 유전자를 표지로 하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유전자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표적세포에 대한 벡터의 비율과(1:1-1:8) 전달감염 횟수를 변화시켰을 때(1회, 2회), 양이온 복합체인 polybrene($4{\mu}g/mL$)을 첨가하였을 때 유전자 전달효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eGFP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광 현미경 하에서 녹색빛을 내는 세포들을 관찰하고 FACscan으로 eGFP 양성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유전자 전달효율은 벡터와 표적세포의 비율 1:1에서 7%, 1:4에서 38%로 표적세포에 대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의 비율이 높을수록 상승하였지만 비율 1:4와 1:8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달감염을 두 번 시행하는 것이 벡터와 표적세포의 비율 1:4까지는 유전자 전달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비율 1:8에서는 유전자 전달효율을 증가시켰다. 전달감염 후 eGFP 유전자의 발현은 3회 계대배양까지 약 3배 가량 증가하였지만 이후에는 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감소 정도는 전달감염을 한 번 시행한 경우가 두 번 시행한 경우보다 더 커서 전달감염을 반복하는 것이 유전자 전달효율의 증가효과보다는 주입된 유전자의 지속발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olybrene을 첨가하였을 때 유전자 전달효율은 5.8%에서 38.8%로 대폭 상승하였으며 독성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배양접시의 크기에 따른 유전자 전달효율을 비교하였을 때 NIH 3T3세포의 증식정도는 6-well plate가 더 컸지만 eGFP 양성세포의 비율은 24-well plate에서 더 높았다. 결 론 :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로 삼아 유전자 치료의 연구를 발전시키고 특히 전달된 유전자의 안정적인 발현과 바이러스 벡터들의 독성 등에 대하여 향후 연구의 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