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Japan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27초

수출용 가지의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물성 및 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Export Eggplants According to Cultivar and Harvesting Season)

  • 남학식;김남우;최유원;윤광섭;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7-291
    • /
    • 2002
  • 본 연구는 일본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가지의 품질의 향상과 규격화를 위한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물성 및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품종에 따른 크기와 중량는 시키부 품종에 비해 축양 품종에서 높았고, 하절기에 비해 동절기 수확한 가지의 크기와 중량이 낮았다. 가지의 과육의 pH와 당도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가지의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은 각각 115.4~155.4, 64.2~102.1mg/100g-fr.wt.이었고, sucrose, mannose 순으로 많았다. 총 유리당의 함량은 215.2~351.1mg/100g-fr.wt.이었고, 시키부 품종에 비해 축양품종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시키부 품종의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76.1, 73.4mg/100g-fr.wt.이었고, 축양의 경우에는 각각 111.8, 108.4mg/100g-fr.wt. 이었다. 시키부와 축양의 품종의 환원형 비타민 C의 함량은 하절기에 수확한 것은 각각 11.83, 9.07mg/100g-fr.wt.이었고, 동절기에는 각각 9.45, 7.17mg/100g-fr.wt 이었다. 산화형 비타민 C는 수확시기와 품종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이 2.54~3.25mg/100g-fr.wt.이었다. 총 비타민 C의 함량은 하절기에 수확한 시키부와 축양 품종에서 각각 14.94, 12.32mg/100g-fr.wt.이었으며, 동절기에 비해 하절기에 수확한 것에서 높았다. 칼륨과 나트륨의 함량은 각각 229.87~235.95, 135.98~156.28mg/100g-fr.wt.로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총 무기질의 함량은 389.35~420.02mg/100g-fr.wt.이었고, 축양 품종의무기질의 함량이 시키부 품종에 비해 높았다.

보리싹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Barley Sprout Extract)

  • 은청수;황은영;이승욱;양선아;유미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7-54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보리싹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보리싹 에탄올 추출물의 DPPH라디칼 소거활성은 1,000 μg/ml 농도에서 92.82±0.62%로 나타났으며, RC50 값은 442.34±5.54 μg/ml이었다. 보리싹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7.55 μg/ml, 13.98 μg/ml로 나타났다. 또한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TNF-α와 PGE2 생성량은 LPS처리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보리싹 추출물 250, 500 μg/ml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LPS에 의해 증가된 iNOS, COX-2 단백질 발현에 대해 보리싹 추출물 250 μg/ml의 농도에서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보리싹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천연물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한 한우 암소의 산차 및 지역별 산육특성 구명 (Studies on Live-carcass Trait of Parity and Region in Hanwoo Cows Measured by Real-time Ultrasound)

  • 하재정;김종복;이창우;송영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55-262
    • /
    • 2009
  • 본 시험은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한 한우 번식우의 산차 및 지역별 산육특성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강원도 6개시 군 한우 번식우 1,386두를 공시하여 초음파 진단장치(HS-2000, Japan)를 이용하여 배최장근단면적(LMAU; Longissimus Muscle Area Ultrasound), 등지방두께(BFTU; Back Fat Thickness Ultrasound), 근내지방도(MSU; Marbling Score Ultrasound), 둔근지방두께(P8 FTU; P8 Fat Thickness Ultrasound)를 측정하였다. 성적 조사 및 자료의 조정 후 각 한우의 출생년도-계절, 지역 및 산차별 산육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차별 산육특성을 비교했을 때 산차가 증가할수록 산육 형질은 6산까지 증가하다가 7산차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지역별 산육특성을 비교하면 모든 지역에서 고도의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으며 화천지역의 암소에서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양구지역의 경우 등지방두께, 둔근지방두께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출생년도와 계절에 따른 산육형질에서는 2000년 가을철 태생의 개체의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 2005년과 2006년 가을철 태생에서 각각 등지방두께 및 둔근지방두께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육특성관련 형질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호간 상관이 어느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지방두께와 둔근지방두께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고, 반대로 배최장근단면적과 둔근지방두께의 상관계수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6산차까지의 산육형질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역 차이에 따른 산육형질의 특징이 나타났으며, 등지방두께와 둔근지방두께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본 시험결과는 앞으로 한우 번식우 개량 및 사양관리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공기괴별 HFC-23/HCFC-22의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FC-23 (CHF3)/HCFC-22 (CHClF2) between Different Air Masses in Northeastern Asia)

  • 리선란;김주일;김경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0-498
    • /
    • 2010
  • HCFC-22 (chlorodifluoromethane, $CHClF_2$), one of the major components in various refrigeration, is emitted mostly from developing countries, as its consumption is not limited until 2013 by the Montreal Protocol. In addition, HFC-23 (trifluoromethane, $CHF_3$), a by-product in the manufacture of HCFC-22, is also a powerful greenhouse gas. Here, we discuss the regional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se compounds based on high-frequency in-situ measurements using the "Medusa" GC-MS system. HCFC-22 and HFC-23 baseline concentrations measured at Gosan (Jeju Island, Korea) from November 2007 to December 2008 increased by 1.8 ppt/yr and 0.6 ppt/yr, respectively. Pollution events of these compounds were observed, very frequently (e.g., ~2~3 times) at Gosan than baseline levels. All the measurement data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ratio (HFC-23/HCFC-22) and concentration (HCFC-22) at Trinidad Head (TH, California, USA). The residence time of trajectories were then analyzed in each of the four groups. The results exhibited the existence of a strong correlation with air mass origin for each group: 1) Air masses originating from Siberia in the north and from the Pacific in the south had ratios of 0.08~0.12 and concentrations of 196.9~254.3 ppt which is highly comparable to background air at TH. 2) Air masses passing over the Southern China exhibited similar ratios but higher HCFC-22 concentrations. 3) Air masses passing over the Northern China had ratios of 0.12~0.21. 4) Air masses passing over Korea and/or Japan had ratios of 0.01~0.08.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FC-23/HCFC-22 ratio can be used as a good indicator for the assessment of the pollution with Chinese origin. We also confirmed differences in air masses traveling over Northern and Southern China, most likely due to differences in air mass travelling speed over these regions before arriving at Gosan. This signature may be treated as one of the critical components in identifying the emission sources from different parts of China.

야생식용(野生食用)버섯의 인공재배(人工栽培) 검토(檢討)(II) (Investigation on Artificial Cultures for New Edible Wild Mushroorms(II))

  • 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3-128
    • /
    • 1981
  • 외국(外國)으로부터 수집(蒐集)한 식용(食用)버섯중 A. mellea, Lyophyllum sp., A. auricula-judae의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A. mellea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알맞는 배지(培地)는 MSDS, 온도(溫度)는 $25^{\circ}C$, pH는 $6.2{\sim}7.0$, 배지(培地)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65% (w/w), 톱밥배지(培地)의 가비중(假比重)은 0.12g/ml이고 종균제조(種菌製造)에 알맞는 배지(培地)는 포플러톱밥 이였다. 2. Lyophyllum sp.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알맞는 배지(培適)는 MSDS, 온도(溫度)는 $25{\sim}30^{\circ}C$, pH는 6.2, 배지(培地)의 수분함량(水分含重)은 $75{\sim}80%$(w/w), 톱밥배지(培地)의 가비중(假比重)은 0.12g/ml이고 종균제조(種菌製造)에 알맞는 배지(培地)는 밀 배지(培地)이였다. 3. A. auricula-judae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알맞는 배지(培地)는 MHS, pH는 8.0, 배지(培地)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75%(w/w), 톱밥배지(培地) 의 가비중(假比重)은 0.12g/m이고 종균제조(種菌製造)에 알맞는 배지(培地)는 참나무톱방 이였다. 4. 공시균주중(供試菌株中) A. auricula와 Lyophyllum sp.는 포플러톱밥 배지(培地)에서 자실체(子實體)를 얻을 수 있어 식용(食用)버섯으로서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이 있었다.

  • PDF

일제시대 선교회의 보건간호사업에 대한 역사적 연구 (Missionary Public Health Nursing of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이꽃메;김화중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55-466
    • /
    • 1999
  • Western missionary nurses practiced in Korea from 1891. and the first trial to begin missionary public health nursing service in 1909 could not put into practice for short of nursing staff and budget. The main focus of missionary medical practice was not in public health program but in the management of missionary hospitals. A few of missionary western R.N. tried district nursing in 1910s. but their activities were personal and focused on the rescue of poor and sick patients. In 1917 the North American Methodist Church dispatched R.N. Elizabeth S. Roberts to begin district nursing in Korea. Roberts began maternal and child district nursing service. Her service was focused on teaching the method of bringing up children. bathing service, and home visiting for delivery. She could not but stop district-nursing service in 1918 to serve for a hospital in Siberia. The North American Methodist Church dispatched a few of R.N. to Korea in early 1920s and the missionary public health nursing of Korea could be activated. R.N. E. T. Rosenberger began public health nursing program in Seoul with Korean graduate nurse, Shin-gwang Han, and missionary M.D. Hall. Their public health nursing program was focused on maternal and childcare. They did home visiting in the morning, and served at a well baby clinic in the afternoon. The first baby competition began in 1925. and contributed to the teaching the method of bringing up children. They expanded public health nursing activity to school health nursing and milk station. Their public health nursing program was such a success that In 1929 Severance hospital. Eastgate Hospital. Taehwa Social Evangelistic center organized Seoul Child Health Union. Maren P. Bording, another missionary R.N. and midwife dispatched by the North American Methodist Church began public health nursing program at Kongjoo in 1924. Her program was focused on the maternal and childcare and close to that of Seoul. She started the first milk station in Korea in 1926. As she was a midwife and could get M. D. license in Korea, her program was more focused on maternal care than that of Seoul. The first day nursery school in Korea and the first graduate course for public health nursing in Korea began at Kongjoo in 1930. As the city of Choongcheongnam Province moved from Kongjoo to Daejeon in 1932, missionary public health nursing service in Kongjoo extended to Daejeon. There were lots of public health nursing program in Korea in 1920s and 1930s by missionary western nurses and Korean nurses. There were 13 missionary public health-nursing center in Korea in 1932. But in the late 1930s. Japan extended colonial war and drove out western missionaries. The missionary service in Korea was daunted. and the missionary public health nursing service could not but shrink.

  • PDF

1997년 1월 5-7일에 발생한 동해안 대설에 관한 지역별 종관 특성 (Synoptic Analysis on Snowstorm Occurred along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5-7 January, 1997)

  • 곽병철;윤일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8-275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해안 대설시 기상 요소들의 일변화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1997년 1월 5${\sim}$7일 사이에 발생한 대설을 하나의 사례로 분석하여 보았다. 12시간 간격으로 분석한 지상 일기도와 850hPa 등압면 일기도로부터 기압 패턴을 알아보았다. 영동 동해안 ${\cdot}$ 태백산간 ${\cdot}$ 영서 ${\cdot}$ 경북 동해안 지방으로 세분화하여 강설량 분포와 바람, 운량, 지상 온도, 이슬점 온도, 상대습도, 해면기압 같은 기상 요소들의 일 변화를 분석하여 보았다. 1월 5일은 기압골, 6일은 저기압 후면 그리고 7일은 북동기류 유입으로 눈이 내렸다. 기상 요소들의 일변화의 특징은 영동 동해안 지방인 강릉, 속초 지방의 지상풍향은 남서풍, 북서풍이 유입될 때 대설이 내렸고 태백산간 지방은 북동풍이 유입될 때 지속적인 강설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풍속이 약화됨에 따라 강설도 약화되었다. 지상 온도와 이슬점 온도의 일 변화에서, 포항은 강릉, 속초 지방과 같이 동해안에 위치하면서도 대설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변질되지 않은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계속 받았기 때문이다.

  • PDF

현대 일본 중학교 건축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68-67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조점을 구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부족했던 일본의 중학교 건축을 대상으로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준공된 14개 학교들을 선별해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 기타 주요 공간 등의 영역별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교들의 계획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대상 학교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교실형 학교와 특별교실형 학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 되는 교육 및 생활공간의 계획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2) 교과교실형 학교는 교과교실, 홈베이스, 미디어 스페이스, 교사공간 등의 요소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며 홈베이스와 교과교실과의 인접여부에 따라 교실 부속형과 독립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3) 특별교실형 학교는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다목적 공간과 학급교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형과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특별교실은 지역개방과 과목별 특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획특성이 나타나며 부속 공간들의 연계로 공간의 분화특성이 나타난다. 5) 도서실은 개별실이 아닌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 홀 등과 연계된 복합구성으로 계획되며 벽으로 구획하지 않고 개방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체육시설로는 옥내 체육관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와 함께 무도장, 옥외 수영장 등의 설치 빈도가 높다. 이들은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측면도 크다. 7) 테라스, 발코니, 외부계단 등의 적극적인 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입체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지역기후모델에서 고해상도 지면피복이 1989년 동아시아 여름몬순 순환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the High Resolution Land Cover Data on the 1989 East-Asian Summer Monsoon Circulation in a Regional Climate Model)

  • 서명석;이동규
    • 대기
    • /
    • 제15권2호
    • /
    • pp.75-90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지면-대기 모수화 방안 (BATS1e)이 접합된 미국 국립기상연구센터 (NCAR)에서 개발한 지역기후모델(RegCM2)을 이용하여 지면피복의 변화가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지면피복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지면피복 자료를 이용하였다. 하나는 NCAR에서 제공하는 지면피복 자료 (CTL 실험)이고 다른 하나는 최근의 기상위성자료로부터 직접 분류한 고해상도 지면피복분류 자료(LCV 실험)이다. CTL 실험에서는 중국 중부지역과 몽고지역의 지면온도가 각각 약 $1-3^{\circ}C$ 높고 낮게 모의되었다. 또한 모의 영역 북부지역에서는 강수가 과다하게 모의된 반면 모의영역 남부 바다지역의 강수는 과소하게 모의되었다. 지면피복 변화에 의한 알베도, 거칠기 길이 및 최소기공저항계수와 같은 지면의 생물리적 요소들의 변화는 지면-대기 상호작용을 변경시켰다. 즉, 지면피복이 낙엽활엽수림에서 농지와 관계농지로 변경된 LCV 실험의 중국 중부지역에서는 잠열 속과 풍속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 결과 CTL 실험에서 나타났던 중국 중부지역에서의 온난편차가 LCV 실험에서는 대부분 완화되었다. 중국 중부지역에서의 강한 기온 하강은 태평양과 대륙사이의 기압 차를 약화시키고 있다. 남동에서 북서방향으로의 기압경도력이 약화됨에 따라 중국 남부와 남중국해로부터 북동쪽으로의 수증기 수송도 약화되었다. 이러한 수증기 수송의 변화는 모의 영역 북부지역에서의 과다한 강수 모의와 남중국해에서의 과소한 강수모의를 동시에 크게 완화시켰다. 그러나 지면피복의 변화는 특히 7월과 8월에 한반도와 일본 열도 지역에서의 강수를 크게 증기시키고 있다.

Subspecific Status of the Korean Tiger Inferred by Ancient DNA Analysis

  • Lee, Mu-Yeong;Hyun, Jee-Yun;Lee, Seo-Jin;An, Jung-Hwa;Lee, Eun-Ok;Min, Mi-Sook;Kimura, Junpei;Kawada, Shin-Ichiro;Kurihara, Nozomi;Luo, Shu-Jin;O'Brien, Stephen J.;Johnson, Warren E.;Lee, H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1호
    • /
    • pp.48-53
    • /
    • 2012
  • The tiger population that once inhabited the Korean peninsula was initially considered a unique subspecies (Panthera tigris coreensis), distinct from the Amur tiger of the Russian Far East (P. t. altaica). However, in the following decades, the population of P. t. coreensis was classified as P. t. altaica and hence forth the two populations have been considered the same subspecies.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tiger population as P. t. altaica is a plausible conclusion. Historically, there were no major dispersal barrier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habitat of Amur tigers in Far Eastern Russia and northeastern China that might prevent gene flow, especially for a large carnivore with long-distance dispersal abilities. However, there has yet to be a genetic study to confirm the subspecific status of the Korean tiger. Bone samples from four tigers originally caught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collected from two museum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Eight mitochondrial gene fragments were sequenced and compared to previously published tiger subspecies' mtDNA sequences to asses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Korean tiger. Three individuals shared an identical haplotype with the Amur tigers. One specimen grouped with Malayan tigers, perhaps due to misidentification or mislabeling of the sample. Our results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Korean tiger should be classified as P. t. altaica,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of Korean tig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