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graph model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시각적 측면에서 랜드마크 요소의 최적입지선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Location Selection and Analytic Method of Landmark Element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 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60-6367
    • /
    • 2015
  • 랜드마크와 같이 시각적 인지가 용이해야 하는 요소의 입지 선택은 공간설계과정에서 많이 등장하는 화두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시각적 요소의 가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활용한 그래프 분석기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분석의 틀이 평면적이고 시점과 대상점의 설정이 고정적이어서, 실질적인 분석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환경에서 동적 시점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비지향성 다차원 가시도 분석(MDVC-N) 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3차원 컴퓨터그래픽기술을 이용하여 분석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시점과 대상점을 설정하는 스크립트 구조를 설계하였다. 여기에 고저차를 갖는 지형에 다양한 높이의 건물이 배치되어 있는 복합화된 대지를 예시모델로 적용하여 분석방법론을 검증하고 입지별 대안의 시각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6개의 대안을 설정하여 정량적인 가시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2) 3차원 그래프로 재현하여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3)공간구문론의 국부통합도를 공간이용행태 변수로 보정한 결과를 산출함으로서 분석의 적용성을 향상시켰다.

시간 제약 분석이 가능한 객체 지향 실시간 시스템 모델링 (Object-oriented real-time system modeling considering predicatable timing constraints)

  • 김영란;권영희;홍성백;박용문;구연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937-1947
    • /
    • 1996
  • 객체 지향 개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에는 반드시 시간제약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건의 발생에 따른 시스템의 상태 변이를 상태도로 나타내는 동적 모델에 대한 실시간 규격화로서, OMT와 SDL을 이용한 객체 지향 실시간 시스템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재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OMT방법론의 분석과정에서 생성되는 동적 모델에 실시간 시스템의 시간제약을 반영함으로써 예상시간 도표를 작성하였고, 실시간 예측이 가능하도록 순차 수행, 반복 수행, 병렬 수행에 대한 최대 및 최소 실시간 예측 공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안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ATM 시스템의 최대 수행 시간을 예측해 보았고 객체 상호 작용 그래프와 SDL의 구문적 표현을 이용하여 ATM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능 명세서를 기술하였다.

  • PDF

A Novel Prediction-based Spectrum Allocation Mechanism for Mobile Cognitive Radio Networks

  • Wang, Yao;Zhang, Zhongzhao;Yu, Qiyue;Chen, Jiam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9호
    • /
    • pp.2101-2119
    • /
    • 2013
  • The spectrum allocation is an attractive issue for mobile cognitive radio (CR) network. However, the time-varying characteristic of the spectrum allocation is not fully investigated. Thus, this paper originally deduces the probabilities of spectrum availability and interference constrain in theory under the mobile environment. Then, we propose a prediction mechanism of the time-varying available spectrum lists and the dynamic interference topologies. By considering the node mobility and primary users' (PUs') activity, the mechanism is capable of overcoming the static shortcomings of traditional model. Based on the mechanism, two prediction-based spectrum allocation algorithms, prediction greedy algorithm (PGA) and prediction fairness algorithm (PFA), are presented to enhance the spectrum utilization and improve the fairness. Moreover, new utility functions are redefin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schemes in the mobile CR network.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GA gets more average effective spectrums than the traditional schemes, when the mean idle time of PUs is high. And PFA could achieve good system fairness performance, especially when the speeds of cognitive nodes are high.

TRSG 모델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및 저작 도구 개발

  • 나인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1호
    • /
    • pp.36-44
    • /
    • 2000
  • 본 논문은 고속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개입을 허용하는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과 멀티미디어 응용에 포함된 다양한 미디어의 저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도구 개발을 위해 실시간 동기식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동적 버퍼링 기법, 송수신 시스템간의 데이타 전송률을 동기화를 위해 버퍼 관리 기법과 QoS 파라메터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또한, TRSG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 도중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도구가 QoS 유지 및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수행 상태를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이벤트 감시 스레드 기법을 적용하여 연속적인 출력보장과 최소한의 QoS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sign of Logging Infra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 MOKHIREV, Aleksandr;RUKOMOJNIKOV, Konstantin;GERASIMOVA, Marina;MEDVEDEV, Sergey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254-266
    • /
    • 2021
  • Using forest resources involves solving complex and diverse tasks. At the same time, one of the key goals in the field is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st infrastructure. This direction requires adequate mathematical and economic justification. Moreover, creating an effective infrastructure will not only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usage volumes of wood and other forest resources,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tinuous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e existing practice of making decisions in terms of the organizational and technological aspects of logging, based o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managers or leading specialists in enterprises, hinders the achievement of constant optimal efficiency. The paper presents results that are a continuation of the research cycle of the authors' team in the fields of optimization and algorithmization of various logging processes. The focus of the study lies in the processing and movement of wood resources, the most valuable products of the investigated groups of enterprises. To this end, the paper presents a developed algorithm for determining an effective technological chain of transportation in logging operations, and for improving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ing operations under dynamic natural and production conditions. This algorithm serves as the methodological basis for designing logging infrastructure in a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Crawling Robot using Q-Learning

  • Hyunki KIM;Kyung-A KIM;Myung-Ae CHUNG;Min-Soo KANG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5-20
    • /
    • 2023
  • Machine learning is comprised of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as the type of data and processing mechanism. In this paper, as input and output are unclear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crete modeling mathematically,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are applied for crawling robot in this paper. Especially, Q-Learning is the most effective learning technique in model free reinforcement learning.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implement a crawling robot that is operated by finding the most optimal crawling method through trial and error in a dynamic environment using a Q-learning algorithm. The goal is to perform reinforcement learning to find the optimal two motor angle for the best performance, and finally to maintain the most mature and stable motion about EV3 Crawling robot. In this paper, for the production of the crawling robot, it was produced using Lego Mindstorms with two motors, an ultrasonic sensor, a brick and switches, and EV3 Classroom SW are used for this implementation. By repeating 3 times learning, total 60 data are acquired, and two motor angles vs. crawling distance graph are plotted for the more understanding. Applying the Q-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it was confirmed that the crawling robot found the optimal motor angle and operated with trained learning, and learn to know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research.

공간탐색경로에 따른 3차원 시각구조 도출과 정량적 개방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duction of 3-Dimmensional Visual Structure and measurement of Quantitative Openness in Accordance with Spatial Probe Routes)

  • 김석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12-120
    • /
    • 2010
  • Human can recognize the environment by detecting spatial perception, and mos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depends on visual perception. In view that the acquisition of spatial inform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visual recognition, analysis of visual structure contained in the space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sector in study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pace. The history of studies on visual structure of space, however, wasn't too long, and furthermore most of the theories up to now focused on static and planar principles.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new theory by combining Isovist theory and VGA theory that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s the theory on visual perception-based spatial structure and supplementing them between each other to expand into 3-dimensional model. The suggested theory is a complex principle in dimensional and dynamic form in consideration of visual direction, which forms 3-dimentional virtual model that enables visualization of the property of spatial structure as the routine discriminating whether visual connection is made between viewing point and target point, and the target point is included in the visual field quadrangular pyramid or not. Such model was built up by an analysis application where four probe paths were applied to simulate the visual structure that occurs in virtual spac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quantification. In result, in spite of the path with equal space and equal lengt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quired quantity of spatial information could be found depending on the probe sequence.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probe direction may not affect the acquired quantity of information and visual property of the space.

전자 카탈로그를 위한 의미적 분류 모형 (A Semantic Classification Model for e-Catalogs)

  • 김동규;이상구;전종훈;최동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1호
    • /
    • pp.102-116
    • /
    • 2006
  • 전자 카탈로그는 시장 참여자들이 제공하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자 상거래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카탈로그의 관리는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복잡해지는데, 상품 분류는 이들의 핵심 요소이다. 분류 계층 구조는 지출 분석, 관세 규제의 실행, 상품의 식별 등을 위해 활용된다. 이와 같이 상품 분류 체계는 상품 데이타베이스의 설계에 토대가 되고, 상품 정보의 활용 및 관리의 거의 모든 면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 그러나, 데이타 모형, 연산, 의미론 등의 측면에서 상품 분류에 대한 형식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분류에 관한 논리적 모형의 부재는 분류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상품 데이타베이스에 대해서도 비일관성 및 비융통성 등 많은 문제를 야기시킨다. 상품 정보의 효율적이고 편리한 활용을 위해 각 사용자의 관점에 따른 다양한 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상품이 출현하고 기존 상품이 사라짐에 따라 분류체계도 이에 따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변경 및 진화해야 한다. 또한 이질적인 다른 분류체계와 매핑되거나 병합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정보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 요구사항에 대해, 분류체계는 제한된 시간 및 비용 내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동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UNSPSC 및 eClass와 같이 현재 널리 사용중인 분류체계는 이러한 동적인 특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상품 분류 체계의 의미를 이해하고, 기존의 분류 체계의 이면에 있는 의미를 포획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의미적 분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품 정의는 재료, 시간, 장소 등의 속성과 무결성 조건과 같은 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상품 데이타베이스의 동적 특성 및 이에 대한 기존코드 기반 분류 체계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제안된 의미적 분류 모형이 상품 데이타베이스의 동적 특성에 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 모형은 상품 클래스를 명시적이고 형식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상품 클래스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구성한다. 이 모형은 분류 체계의 매핑을 용이하게 하며, 선행 연구에 의해 제기된 요구 사항 및 문제를 해결한다고 믿는다.

Differences in Large-scale and Sliding-window-based Functional Networks of Reappraisal and Suppression

  • Jun, Suhnyoung;Lee, Seung-Koo;Han, Sanghoon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83-102
    • /
    • 2018
  • The process model of emotion regulation suggests that cognitive reappraisal and expressive suppression engage at different time points in the regulation process. Although multiple brain regions and networks have been identified for each strategy, no articles have explored changes in network characteristics or network connectivity over time.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the whole-brain network and six other resting-state networks, (b) their modularity and global efficiency, which is an index of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exchange across the network, (c) the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for 160 brain regions to identify the hub nodes with the most control over the entire network, and (d) the intra-network and inter-network functional connectivity (FC). Such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using a traditional large-scale FC analysis and a relatively recent sliding window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ght inferior orbitofrontal cortex was the hub region of the whole-brain network for both strategies. The present findings of temporally altering functional activity of the networks revealed that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activated at the early stage of reappraisal, followed by the task-positive networks (cingulo-opercular network and fronto-parietal network), emotion-processing networks (the cerebellar network and DMN), and sensorimotor network (SMN) that activated at the early stage of suppression, followed by the greater recruitment of task-positive networks and their functional connection with the emotional response-related networks (SMN and occipital network).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provides neuroimaging evidence supporting the process model of emotion regulation by revealing the temporally varying network efficiency and intra- and inter-network functional connections of reappraisal and suppression.

3차원 포아송방정식을 이용한 FinFET의 문턱전압특성분석 (Analysis of Threshold Voltage Characteristics for FinFET Using Three Dimension Poisson's Equation)

  • 정학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373-23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포아송방정식을 이용하여 FinFET의 문턱전압특성을 분석하였다. FinFET는 차세대 나노소자로서 단채널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이에 FinFET에서 단채널효과로서 잘 알려진 문턱 전압이하 스윙 및 문턱 전압 등을 3차원 포아송방정식의 분석학적 모델로 분석하고자 한다. 나노소자인 FinFET의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채널의 두께, 길이, 폭 등의 크기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분석학적 3차원 포아송방정식의 포텐셜모델 및 전송모델은 여러 논문에서 3차원 수치해석학적 값과 비교하여 그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이 모델을 이용하여 FinFET의 문턱전압특성 및 문턱전압이하 특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