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balance

검색결과 1,030건 처리시간 0.037초

체력진단 평가를 통한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의 운동능력 비교연구 (Comparison of Motor Fitness of Cerebral Palsy Chidren with normal throug Phyisical Fitness Diagnosis Evaluation)

  • 이강준;박래준;김종열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1호
    • /
    • pp.101-112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normal children in the exercise and cardio vascular ability after this study as the fundamental data fer mating program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The test of this study is about twenty girls, the control group of the normal children(n=10) and the experiment group of cerebral palsy children(n=10). They were studied in four aspects which were the anthropometry, the medical check in the rest, the physical fitness or exercise roads test and the change of the target heart rate during exercise.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 of the physical type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standing height and the body weight but their'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p<0.05). The control group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body fat. 2.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cal check in the rest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vital capacity and flood expiratoryvolume one second.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the blood pressure of systolic and Diastolic.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1). The control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heart pulse rate.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05). 3. The characteristic of basic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 The experiment group is the lowest dynamic muscular endurance, balance, agility and endurance which need to move the body with weight. The control group is much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Back strength). There's no difference between them(p<0.05).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stress last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endurance, the maximum of oxygen intake, endurance level and the out take of calory.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1). 5.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ge of the target heart rate during exercise : The control group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exchange of target heart rate, There's no difference them.

  • PDF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aeaek Pond at Changdeok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6-63
    • /
    • 2012
  • 본 연구는 궁원의 복원 및 창덕궁 태액지의 원형경관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로 창덕궁 주합루 일대에서 시대상이 투영되어 형성된 독특한 경관과 한국 전통수경관의 특수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덕궁 태액지는 인조 연간에 용지(龍池)라는 명칭으로 축조되었으며, 숙종 이후 태액지로 개칭되어 불려졌다. 태액지에는 신선도를 의미하는 섬과 청서정, 택수재, 부용정의 수경을 감상하기 위한 정자가 조영되었으며, 방지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해 사방에는 건물군락이 비대칭적 균형구조로 배치되었다. 이 일대의 배치에는 정형적 축선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열고관 개유와, 정자, 다리, 섬, 어수문, 주합루가 남북 중축선상에 위치하고, 섬과 어수문은 동서축을 이루는 분기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액지 섬과 정자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섬과 정자를 조영하는 방식에서 일정한 규칙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태액지 일대의 이용분석에서는 조망에 의한 정적인 감상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정조 시대에는 직접 지당에서 다양한 뱃놀이와 낚시하는 동적인 유희활동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태액지의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이 당시 배를 타는 행위가 비중 있게 행하여지자 배의 운행을 위해 태액지와 섬을 잇는 다리가 철거되었고, 섬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태액지 일대에 표현된 상징체계는 어변성룡과 군신주합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공간구성요소로 택수재, 물고기 조각, 어수문, 주합루 등이 도출되었다.

한 발 지지 유무에 따른 상하지 협응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pper and Lower Limb Coordinated Exercise in One Leg Support or non Support on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국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81-288
    • /
    • 2013
  • 본 연구는 한 발 지지 유무에 따른 상하지 협응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 발을 지지하여 상하지 협응운동(주 3회, 4주간)을 적용한 군(n=7)과 한 발 지지없이 상하지 협응운동을 적용한 군(n=7)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보행능력검사는 10MWT, F8W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동적균형능력검사는 FS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규분포를 한 10MWT는 두 군의 측정시점에 따른 유의성 검정을 위해 이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를 하지 않은 F8WT, FSST는 두 군의 측정시점에 따른 유의성 검정을 위해 Friedman 검정을 하였고, 두 군간 비교를 위하여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측정에서 두군 모두 측정시점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상하지 협응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유용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대도시 복합유역의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기법 개발 (I)- 이론 및 모듈의 개발 - (A Development of Method for Surface and Subsurface Runoff Analysis in Urban Composite Watershed (I) - Theory and Development of Module -)

  • 곽창재;이재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호
    • /
    • pp.39-52
    • /
    • 2012
  •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은 지표 유출과 지표하 유출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표와 지표하 둘 중 한 가지 알고리즘으로 해석이 힘든 유역에 대해 지표와 지표하 사이의 동적인 관계를 상세하게 모의해야 하는 경우 상호작용에 관한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동적인 상호작용 시스템의 구동에서는 시 공간적인 매개변수가 중요하며, 적절한 모의를 위해시 공간적인 매개변수는 시스템 상에서 지표와 지표하 항에 대한 복합적인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표 및 지표하 유출의상호작용에 관한 알고리즘을 위해 2차원 확산파 방정식을 이용하여 지표 유출을 해석하고, Darcy의 법칙과 Dupuit-Forchheimer의 가정을 이용한 Boussinesq 방정식을 적용하여 포화상태의 지표하 유출의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커플링 방정식으로 공간에 대해서는 유한체적법을 사용하고, 시간에 대해서는 Crank-Nicols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지표와 지표하 흐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질량보존의 법칙에 기반하여 구성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지표 유출해석, 지표하 유출해석, 상호작용, 수치해석 부분의 4가지 주요 모듈을 만들었으며, 4가지 주요 모듈을 통합하여 복합유역의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 모듈을 개발하였다.

순환운동과 전통적 운동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ircuit Exercise and Conventional Exercise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 송우석;박민철;심제명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3-201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achieved to search the effect of the circuit exercise and conventional exercise on walking ability(walking speed, endurance, dynamic balance, speed, endurance and pedestrian crossing) in chronic stroke. Methods : Since is diagnosed by stroke, to 3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more than 1 year past the 15 circuit exercise group, the 15 conventional exercise group random the circuit exercise group applied circuit exercise 3th 8 weeks each week after neurological treatment because assigning and the conventional exercise group executed round trip walk exercise in parallel bar 3th 8 weeks each week after neurological treatment. The data of 25 patients who complete experimental course were statistically analysed.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were as following : 1)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perimental of 10 meter walk test, 6 minutes walk test and Timed "Up and Go" test in circuit exercise group (p<.001). 2)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perimental of 2, 4 and 6 lane road crossing mobility in Walking circuit exercise group(p<.01). 3)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fter experimental of 10 meter walk test, 6 minutes walk test and Timed "Up and Go" test change quantity between circuit exercise group and conventional exercise group(p<.05). 4) There wer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UG test and 2, 4 and 6 lane road (2 lane road; r=.463, p<.01., 4 lane road; r=515, p<.01., 6lane road; r=.710, p<.01), and there wer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10 meter walk test and 6 minutes walk test(r=.595, p<.01), TUG test(r=.662, p<.01) and 6 lane road(r=.527, p<.01). Conclusion : Even if improvement of walk function through training consists in room, transfer of actuality pedestrian crossing is no change outside the room. Because it is much variable of the weather, seasonal factor, temperature, pedestrian number, state of underneath etc. outside the room. Then, in room after direction promotion of walk function to be promotion of walk function in actuality life and need development of connectable training method consider.

기후 및 계절정보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장기간 태양광 발전량 예측 기법 (Deep Learning Based Prediction Method of Long-term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sing Meteorological and Seasonal Information)

  • 이동훈;김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6
    • /
    • 2019
  • 최근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과 전력수요의 증가로 인해 태양광발전량(PV) 예측의 중요성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은 합리적인 전력 가격결정과 시스템 안정성 및 전력 생산 균형과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력생산 계획을 합리적으로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사량, 운량, 온도 등과 같은 기후정보 및 계절 변화로 인한 태양광 발전량이 무작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정확한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은 도전적인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을 통해 기후 및 계절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장기간 태양광 발전량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시계열 방법 중 하나인 계절형 ARIMA 모델과 하나의 은닉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ANN 기반의 모델, 하나 이상의 은닉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DNN 기반의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다. 실데이터를 통한 실험 결과, 딥러닝 기반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기법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성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의 노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the Frailty of Rural Elderly Women Implemented at Primary Health Care Posts)

  • 김민경;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3호
    • /
    • pp.115-123
    • /
    • 2019
  • 이 연구는 J시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 노쇠정도 확인을 위한 건강상태(지각된 건강상태, 노쇠 점수, 상 하체 유연성, 최대악력, 동적평형검사 Timed Up and Go)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으로 대한노인병학회에서 개발한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해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노인들의 노쇠수준을 파악하고, 농촌 여성노인들의 노쇠수준에 맞는 12주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건강증진프로그램(프로그램명: ${\bigcirc}{\bigcirc}$보건진료소와 주민이 함께 만드는 하하호호 백세건강마을 만들기)은 J시 보건진료소 특성화 사업의 한 부분으로 연구자인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농촌여성 노인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한 노쇠점수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8개 항목 중 주관적인 현재 건강상태와 우울한 감정의 개선이 노쇠점수가 향상에 특히 도움이 되었다. 건강상태 변화로 왼쪽 상체유연성은 실험군이 약 2배(+17cm), 오른쪽 상체유연성은 +11cm, 하체유연성은 실험군이 +6cm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근력평가로 최대악력은 실험군이 약+4kg 증가하였고, 동적 균형 검사(Timed Up and Go test)는 실험군이 3초 빨라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상 하체 유연성 및 근력, 민첩성 등 운동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취약지역 보건 진료소 관할 인구의 평균수명 연장과 고령화로 노쇠한 농촌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근력강화 및 유연성 운동과 인지개선 활동 등 다양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통한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경련성 감소를 위한 치료적 중재 연구 (Therapeutic Intervention to Reduce Spasticity)

  • 이중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27-436
    • /
    • 2019
  • 본 연구에는 편마비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환측 경직성 하지에 체외 충격파 치료를 적용하여 보행 중 무릎각도와 MAS, TUG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재활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후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2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조군(n=10)은 일반적인 물리치료인 고유 수용성 감각 신경근 촉진법을 받았으며, 실험군(n=10)은 고유 수용성 감각 신경근 촉진법(PNF) 치료 후 체외 충격파 치료(ESWT)를 손상측 하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행을 분석하기 위해 통합운동분석장치(4D-MT, Relive, Korea)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의 동적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Timed up and go test를 실시하였고 경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MA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무릎관절의 각도는 모든 그룹이 그룹 내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룹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에서 TUG는 모든 그룹이 그룹 내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룹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통합곤충영양학에 관한 최신 연구동향: 영양기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Recent Trends in Integrative Insect Nutrition: A Nutritional Geometry Perspective)

  • 이광범;장태환;노명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29-142
    • /
    • 2022
  • 영양은 모든 생명활동의 근본이며, 생물의 진화적 적응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곤충영양학은 곤충생리학의 전통적인 연구영역이며, 최근 산업곤충의 대량사육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곤충의 영양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기란 어려운데, 이는 영양의 다변량적 특성, 영양소 간의 교호작용 등으로 설명되는 영양적 복잡성에 기인한다. 영양기하학(Nutritional Geometry)은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분석모형으로서, 최근 곤충영양학이 급격하게 발전할 수 있는 이론적 및 실험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본 종설은 영양기하학의 기본개념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론이 어떻게 최근 곤충영양학의 급속한 학문적 진보를 가능케 하였는지, 그리고 영양이 어떻게 생리학, 생태학, 진화생물학을 통합하는 구심점이 될 수 있었는지를, 최신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본 종설은 향후 영양기하학을 적용함으로써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연구분야를 고찰할 것이다.

후천세계가 지향하는 인간상 탐구- 정역의 지인(至人)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Human in World of Post-Heaven: Focusing on perfect man of Right I Ching)

  • 박혜순
    • 대순사상논총
    • /
    • 제25_2집
    • /
    • pp.103-136
    • /
    • 2015
  • The theory of post-heaven provided Korea's many emerging national religions with spiritual ground. The I Ching originated in China emphasizes the principles of change or static aspects of world, while Right I Ching, which Il-Bu Kim suggested, underlines dynamic aspects of world. Il-Bu Kim is perceived to open a new stag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of I Ching in this regard. His most remarkable contribution is the view of Great Opening Era of Post-Heaven, according to which the clock of cosmos shows the era of great change from Pre-Heaven to Post-Heaven and in the world of Post-Heaven everything will take its proper place. As to human society, Il-Bu Kim foresaw the change from disharmony to harmony, imbalance to balance and era of xiaoren to that of junzi. The advent of such a new world, however, asks human's moral revolution as a prerequisite.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n thought, human is the center of the Samjae, Heaven-Earth-Human and the only being which could participate in the growth of Heaven and Earth. Without the change of human mind, however, human can neither participate in the growth of Heaven and Earth nor expect the right change of Heaven and Earth. Even though the world of n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smic harmony, as the Right I Ching predicts, the real change of Heaven and Earth can be achieved only with moral change of human. The human in the Right I Ching is a free man who sticks to nothing and communicates with cosmos with empty mind. This is the very image of perfect man(至人). The perfect man in the Right I Ching is the main agent of everything, that's to say, the main agent of the great opening to Post-Heaven Era. This is the reason why most leaders of Koran emerging religions concentrate on the change of human. In this regard, Jeung-San Kang encouraged people to become the perfect man through the purification of mind and body and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depending on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the Right I Ching. Cheok and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are what he suggested as a method of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Such a view is based on the thought that the accumulated sinful behaviors are obstacles to cosmic change and the time of mutual beneficience opens with the removal of the obstacles. If such religious practices are so effective, as Jeung-San Kang says, that future world could consist of perfect men who have achived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moral change, and change of consciousness, we could expect that the activities of xiaoren will be shrinked and junzi will be welcomed, as the Right I Ching predi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