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ing shrinkage crack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1초

단경간 슬래브 중앙 소형박스(개구부)주변의 건조수축 거동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Shrinkage around Small Box of Short Span Slab)

  • 김상연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323-328
    • /
    • 2016
  • 아파트의 슬래브에는 전기등박스 매입을 위한 소형 박스 개구부가 존재한다. 이 박스 개구부 주변에는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용접철망이나 플라스틱 링 등으로 보강한 상세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경제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으로 보강을 한 슬래브 전기박스 주변의 건조 수축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등박스 주변의 보강방법 대안은 기존에 여러 건설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접철망보강안과 플라스틱링 보강안 및 보강을 하지 않은 무보강안 3가지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서 대상으로 한 아파트는 전용면적 $59m^2$ 이하의 소형평형을 대상으로 하였고 거실 등의 슬래브 하부에 전등박스 주변에 신축량 측정용 팁을 부착하고 컨텍게이지로 신축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3가지 대안들에서 상호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전반적인 변형량은 $-264{\mu}{\varepsilon}{\sim}+216{\mu}{\varepsilon}$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한 변형량의 추이는 거푸집 탈형일 기준치에서 3~5주까지는 조금씩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여 수축(-)하는 경향을 띠고 있으며, 한두번의 측정을 제외하고는 변형률이 $+120{\mu}{\varepsilon}$ 이내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어, 콘크리트의 인장 균열 발생 가능성이 매우 거의 없었다.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기초 물성 (Fundamental Properties of Cement Composites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Powders)

  • 장봉석;권용길;최슬우;이광명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25-233
    • /
    • 2011
  • 콘크리트는 타설 직후부터 온도 및 수분의 변화로 인한 체적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초기 재령에서 발생하는 온도 수축과 건조 수축은 콘크리트에 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내구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에서는 저온에서 소성된 산화마그네슘(MgO) 분말을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한 콘크리트를 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수축에 대한 보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저온 소성한 MgO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다양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안정성 시험 결과 MgO 분말의 혼입에 따른 이상팽창이 유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MgO의 수화생성물 분석을 통해 MgO 분말이 장기 재령에서 수축을 보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적당한 MgO 분말의 혼입은 시멘트 복합체의 압축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MgO 분말의 혼입률이 높거나 양생 온도가 높을수록 MgO 분말의 팽창성에 따른 수축 보완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상태평가 결과 기반 고속도로 PSC Box 거더교 상부플랜지 열화·손상 실태 고찰 (A Review of the Deterioration and Damage of the Top Flange of the Highway PSC Box Girder Bridge based on the Condition Assessment Results)

  • 구영호;한상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23-32
    • /
    • 2022
  • PSCB 거더교는 고속도로에서 공용중인 교량의 4%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PSCB 거더교의 약 98%가 1·2종 교량이며 전체 교량 연장의 약 16%(192km)를 차지하는 만큼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한 교량 형식 중 하나이다. PSCB 거더교의 손상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고속도로 공용중 교량의 가설공법, 제설환경 노출등급 비율을 고려한 62개소(477경간) 정밀안전진단 보고서를 선정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함과 동시에 실제 열화·손상이 발생한 교량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의 열화·손상 원인은 교면포장으로 유입된 우수(염수)가 상부플랜지와 계면 사이에 체수되어 콘크리트가 열화되고, 이후 교면포장의 균열 및 파손, 철근의 부식·팽창으로 인한 콘크리트 박락 등으로 진전되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상부플랜지 하면에 발생한 교축방향 균열 원인은 수화열, 건조수축 등으로 인한 균열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PSCB 거더교의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시공초기 발생되는 상부플랜지 하면 교축방향 균열 제어를 위한 설계측면의 개선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공용중 발생되는 열화는 상부플랜지 열화 이전 교면포장의 유지관리를 통한 선제적 대응과 제설환경 노출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유지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지(韓紙) 엔드래핑처리 원판(圓板)의 감압건조응력(減壓乾燥應力) 분포모형(分布模型) 및 엔드래핑스의 건조결함(乾燥缺陷) 예방효과(豫防效果) (Model of Drying Stress Distribution in Disks End-wrapped in Korean Paper and Effects of End-wrappings on Prevention of Drying Defects for Vacuum Drying of Disks)

  • 이남호;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31-63
    • /
    • 1991
  • 원판의 관행 열기건조시 잔적위치에 따른 건조속도(乾燥速度)의 차이는 심하였고, 원판의 직경이 변이가 클수록 건조속도(乾燥速度)의 변화기복도 심하였으나, 강압건조(減壓乾操)의 경우 건조속도(乾操速度)는 잔적위치와 원판 직경의 변이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원판 내층(內層)의 접선방향 표면응력(表面應力)은 수종, 엔드래핑처리 및 직경생장부위(直徑生長部位)에 관계없이 미미한 압축응력(壓縮應力)을 나타냈고, 무처리 원판은 수(髓)로부터 6cm인 점을 임계점(臨界點)으로하여 수(髓) 부위쪽이 원주부(圓周部) 쪽보다 더 큰 압축응력(壓縮應力)을 나타내는 일계단상(一階段狀)의 분포모형을 보인 반면에, 한지 엔드래핑 원판은 균일한 분포모형을 나타냈는데, 이는 한지 엔드래핑의 경우 한지에 의한 표면수분 증발 억제효과로 심재와 변재부위간에 수분유동속도(水分流動速度)의 차이가 작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한지 엔드래핑은 내층(內層)의 압축응력(壓縮應力)을 억제하는 효과가 컸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축이방법(收縮異方性)에 기인한 접선방향 응력은 원주선상에서 최대인장응력(最大引張應力)을 나타냈고, 수(髓)를 향할수록 점점 감소하여 수(髓) 근처에서 압축응력(壓縮應力)으로 전환되는 분포모형을 보였다. 건조종료시 오리나무, 호도나무 및 은행나무의 한지 엔드래핑 원판의 접선방향 최대인장응력(最大引張應力)은 무처리 원판보다 작았고, 한지 엔드래핑 원판의 V형 크랙발생 임계함수율(臨界含水率)도 무처리 원판에 비하여 더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한지의 수분증발 억제효과에 따른 원판의 영구변형화(永久變形化)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감압건조(減壓乾操) 응력분포시험(應力分布試驗)에서 V형 크랙은 한지(韓紙)와 알루미늄호일 엔드래핑 원판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무처리 원판에서도 매우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심재할열(心材割裂)도 오리나무와 호도나무의 한지(韓紙) 엔드래핑 원판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기타의 원판에서도 그 발생 정도는 매우 경미하였다. 특히 한지는 물론 알루미늄호일 엔드래핑 원판의 감압건조(減壓乾燥)는 건조결함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었고, 더구나 은행나무는 110시간만에, 오리나무는272시간, 그리고 호두나무는 407시간만에 각각 이용함수율(利用含水率) 수준까지 건조가 가능하여, 건조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 PDF

강섬유 보강 데크플레이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장기 거동 (Long-term Behavior of Deck-plate Concrete Slab Reinforced with Steel Fiber)

  • 홍건호;황승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0-38
    • /
    • 2017
  • 최근 거푸집 작업과 철근 배근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의 단순화를 통한 공기단축 합성 슬래브 시스템의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활용하여 거푸집 및 인장철근의 배근을 대체하고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온도철근의 역할을 대체하는 단순슬래브 시스템의 장기거동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활용하는 기존 합성슬래브 공법은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제어를 위해 용접 철망을 배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균열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하중 조건으로 제작 된 연속 두 경간을 갖는 강섬유보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장기적인 균열 및 처짐 거동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체의 비 내력부에서는 장기균열의 개수 및 폭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균열 제어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처짐량도 강섬유보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부모멘트가 작용되는 슬래브 연속단부에서는 사용하중 단계에서 균열폭을 제어하고 하중 제거 시 처짐을 회복하기 위한 디테일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팽창재 및 플라이애쉬를 이용하는 수중불분리 모르터의 특성 (Properties of Undispersed Underwater Mortar Using the Expansive Additives and Fly Ash)

  • 한천구;이대주;이광설;한일영;권지훈;유홍종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23-231
    • /
    • 1998
  • 종래의 시멘트 모르터 그라우트 방식에 의한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은 시공후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 등에 의하여 말뚝의 내력이 저하하고, 지하수에 의하여 재료분리가 발생하며, 많은 단위시멘트량에 의한 비경제성 등이 문제시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팽창제 및 플라이애쉬 등 각종 혼화재료를 이용한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용 고성능 시멘트 모르터의 역학적 성질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팽창재 혼입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은 감소하고, 공기량은 증가하며, 응결시간은 지연되고 압축강도는 7일에서는 감소하나 28일 및 91일 재령인 경우는 팽창제혼입율 5%에서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이애쉬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은 양호해지고, 공기량은 증가하며, 응결시간은 지연되고 압축강도는 약간 감소하였다. 또한 길이변화특성은 팽창재혼입율이 증가할수록 크게 팽창하고, 플라이애쉬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수축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열화촉진실험 및 장기현장폭로실험에 의한 RC구조물 보수공법의 보수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pair Methods for RC structures by Accelerating Test in Combined Deterioration Chamber and Long-Term Field Exposure Test)

  • 권영진;김재환;한병찬;장승엽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49-356
    • /
    • 2006
  • At present, the selecting system and analytic estimation criterion on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deteriorated RC structures have not yet been set up in domestic. Under these circumstances, deterioration such as shrinkage crack, corrosion of rebar has been often occurred after repair, and this finally results in too frequent repairs.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repair method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by the accelerating test in a combined deterioration chamber and long-term field exposure test. Three types of repair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belong to a group of polymer cement mortar, which is commonly used in repair wor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urability of repair mortar layers and corrosion properties of recovered rebar could be investigated in short period by the accelerating test in a combined deterioration chamber, which can simulate the condition of repeated high-and-low temperature and repeated dry-and-wet environment, spraying chloride solution and emitting $CO_2$ gas. After 36 month long-term filed exposure test in the coastal area, harmful macro-cracks are observed in the polymer cement mortar layer of some repair methods. These crack are considered to result from drying shrinkage of polymer cement mortar. Also, after 36 month exposure, amount of corrosion area and weight loss of rebar a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repair methods.

목조건축문화재에 있어서 변위 및 손상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the Displacement and Damage of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 신병욱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5-32
    • /
    • 2019
  •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ypes of displacement and damage that occur in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assets. Although the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are being repaired through continuous maintenance, secondary problems frequently occur. This is because the root cause of the problem has yet to be solved. The types of displacement and damage that occur in the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asset a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the foundation section, the gagu section, and the roof section. In turn, the three main factors that lead to displacement and damages are the structures' load impact,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and the imbalance. Load impac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member is subjected to a load that causes deformation or cracks. Durability decline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reduces the performance of lumber as a result of check shake, termite damage, and decay. The imbalance is a condition in which the lumber is twisted and the force balance is lost, due to either drying shrinkage or displacement of the gagu section.

줄눈균열 유도장치를 사용한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거동 (Joint Behavior of Concrete Pavements Using Joint Crack Inducer)

  • 박문길;최기효;남영국;정진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D호
    • /
    • pp.57-65
    • /
    • 2008
  •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은 초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건조수축과 온도변화에 의한 무작위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어 도로포장의 공용성 향상에 기여한다. 하지만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 수행된 줄눈 절단 작업은 줄눈 주변의 콘크리트에는 미세균열 등의 손상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반복적인 교통 및 환경하중에 의한 줄눈부의 파손이 장기적으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위적인 줄눈 절단작업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줄눈부 파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100mm, 150mm, 220mm 높이의 줄눈균열 유도장치와 다양한 깊이를 갖는 균열유도 홈을 시험시공 구간에 설치하고 줄눈균열의 발생과 거동을 약 5개월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줄눈균열 유도장치의 높이가 높을수록 균열유도 효과가 높은 반면 줄눈균열의 거동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조사와 줄눈균열 유도장치의 개선을 통하여 균열유도 효율을 높이고 줄눈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압-진공 하이브리드 주입성형에 의한 알루미나의 균질 성형 (Homogeneous Shape Forming of Alumina by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 조경식;송인범;김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92-600
    • /
    • 2012
  • Conventional methods for preparing ceramic bodies, such as cold isostatic pressing, gypsum-mold slip casting, and filter pressing are not completely suitable for fabricating large and thick ceramic plates owing to disadvantages of these processes, such as the high cost of the equipment, the formation of density gradients, and differential shrinkage during drying. These problems can be avoided by employing a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approach that considers not only by the compression of the aqueous slip in the casting room (pressure slip casting) but also the vacuum sucking of the dispersion medium (water) around the mold (vacuum slip casting). We prepared the alumina formed bodies by means of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with stepwise pressure loading up to 0.5 MPa using a slip consisting of 40 vol% solid, 0.6 wt% APC, 1 wt% PEG, and 1 wt% PVA. After drying the green body at $30^{\circ}C$ and 80% RH, the green density of the alumina bodies was about 56% RD. The sintered density of an alumina plate created by means of sintering at $1650^{\circ}C$ for 4 h exceeded 99.8%.This method enabled us to fabricate a $110{\times}110{\times}20$ mm alumina plate without cracks and with a homogeneous density, thus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method to the fabrication of other ceramic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