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y-out

검색결과 2,698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飼育)에 관련(關聯)된 몇 가지 요인(要因)들에 관(關)한 조사(調査) (A Survey on Some Factors Related to the Rearing of the Korean Native Goat)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8-113
    • /
    • 1984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시(飼育時)에 고려(考慮)해야 될 몇 가지 요인(要因)에 관(關)한 내용(內容)을 일부 산양(山羊) 사육(飼育) 목장(牧場)을 대상(對象)으로 2개년(個年) 간(間)에 걸쳐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하고 그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l. 자(雌) 산양(山羊)의 이유(離乳) 후(後)에 1년간(年間)의 증체량(增體量)은 최고(最高) 55.19g, 최저(最低) 30.1g, 그리고 평균(平均) 4l.9g으로 나타났다. 2. 시중(市中) 구입(購入) 산양(山羊)의 육성시(育成時)에, 생존양(生存羊)의 구입시(購入時) 체량(體量)은 평균(平均) 8.07kg이였고 사망양(死亡羊)의 체량(體量)은 평균 5.89kg이였다. 3. 산양(山羊)의 분만월(分娩月)은 년중(年中) 비교적 일정(一定)하게 분포(分布) 되었고 산자수(産仔數)는 초산양(初産羊)에서 1.2두(頭), 2산양(産羊)에서는 2.0두(頭)로 나타났다. 4. 양질(良質)의 야건초(野乾草)를 주(主)로 섭취(攝取)한 초임양(初妊羊)의 평균(平均)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체량(體量)의 2.87%였고, 평균(平均)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62.91%로 나타났다. 5. 관목류(灌木類)를 주(主)로 섭취(攝取)한 육성중(育成中)인 자양(雌羊)의 평균(平均)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체중(體重)의 3.92%였고, 평균(平均)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47.07%로 나타났다. 6. 가을철에 제조(製造)한 관목류(灌木類) 및 야초(野草)의 기호성(嗜好性)은 칡이 총(總)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의 65.14%로 가장 높았고 억새는 거의 섭취(攝取)하지 않았다.

  • PDF

Mucor Rennet으로 제조(製造)한 Blue Cheese 숙성중(熟成中) 각종(各種)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 (Changes in the Level of Various Nitrogen Compounds During the Ripening of Blue Cheese Made with Mucor Rennet)

  • 김종우;이락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01-211
    • /
    • 1989
  • Mucor rennet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타진(打診)하기 위하여 Blue cheese를 제조(製造)하고 그 각종(各種)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Blue cheese의 수율(收率)은 calf rennet과 Mucor rennet간(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숙성과정중(熟成過程中) cheese의 고형분(固形分)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고 첨가비율(添加比率)에 따른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3. water soluble nitrogen은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숙성초일(熟成初日)부터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 편이 높았고 숙성(熟成) 40일(日)부터는 혼합(混合)rennet이 calf rennet보다 낮았다. 4. non protein nitrogen, peptone amino nitrogen, water soluble protein nitrogen, proteose nitrogen, peptone nitrogen 및 숙성율등(熟成率等)도 water soluble nitrogen과 동등(同等)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5. Mucor rennet으로 제조(製造)한 Blue cheese casein을 전기영동(電氣泳動)한 결과(結果) as-casein과 ${\beta}$-casein의 분해도(分解度)가 높았으나 calf rennet로 제조(製造)한 Blue cheese의 as-casein과 ${\beta}$-casein의 분해도(分解度)는 비교적 낮았고 숙성(熟成) 60일(日)에는 Mucor rennet 처리구(處理區)의 casein은 다소 잔존(殘存)함을 알 수 있었다. 6. Blue cheese를 60일간(日間) 숙성(熟成)시켰을때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은 Mucor rennet으로 제조(製造)한 cheese보다 전(全) 숙성기간(熟成期間)동안 많았다.

  • PDF

논 토양조건에 따른 찰옥수수 교잡종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Waxy Hybrid Corn on the paddy soil conditions)

  • 지희정;김충수;홍범용;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2호
    • /
    • pp.123-127
    • /
    • 2006
  • 토양 조건에 따른 찰옥수수를 재배시험 한 결과 배수가 불량한 논토양이나 밭토양 보다는 배수가 양호한 논토양이 옥수수의 생육도 다소 좋은 편이었으며 수량적인 측면에서 보면 배수가 양호한 논토양에 재배한 찰옥수수의 생체수량이 804kg/10a로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498kg/10a이나 밭토양에서 재배하였을 경우인 751kg/10a 보다 수량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고, 옥수수의 논 재배시 가장 많이 발생한 주요잡초의 초종은 여귀, 깨풀, 피 등이었고 특히 배수가 양호한 토양보다는 불량한 논토양에서 옥수수를 재배할 때 잡초의 발생이 많아 토양의 물리성이 잡초의 발생 및 옥수수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한 잡초의 형태적 특성별로 보면 논토양에서는 광엽 잡초, 화본과 잡초 순으로 나타났고 밭토양에서는 화본과 잡초가 주로 많이 발생하였다. 옥수수의 논 재배시 잇점으로는 잡초의 발생이 밭재배보다 작았고 논토양이 옥수수 재배에 알맞은 토양수분을 지니고 있어서 지속적으로 옥수수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지속적인 공급으로 수량이 높았고 논토양 중에서도 특히 배수가 잘되는 논토양이 밭토양에서 재배하는 것보다도 잡초방제 및 수량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타 품질적인 면에서 이들 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많은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리라 본다.

  • PDF

한국 서해 어청도 해조상 및 군집구조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Eocheongdo in 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식;양은아;남기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5-665
    • /
    • 2013
  • 한국 서해안 어청도에서 조간대와 조하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생물량과 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6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녹조류 12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6종이 출현하여 총 101종 채집되어 동정되었다. 이중 19종은 일 년 내내 출현하였다. 총 생물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점종은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톳(Sargassum fusiforme),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neri), 고사리모자반(Sargassum filicinum)이었다. 연간 평균 건중량은 $237.5gm^{-2}$이었으며, 최대값은 겨울에 $272.1gm^{-2}$, 최소값은 여름에 $204.5gm^{-2}$을 기록하였다. 조하대에서의 출현종과 생물량은 조간대에 비하여 많았다. 어청도에서 출현종수와 생물량은 투명도가 낮은 한국 서해 연안의 일반적 특성과 반대로 높은 투명도와 자연 암반의 발달로 인하여 한국 서해안의 다른 도서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보인다.

모단 재배시 비료 종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of Tree Peony Moutan cortex RADICIS)

  • 최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1-267
    • /
    • 1996
  • 모단(牡丹)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비료(肥料)를 선발(選拔)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고자 묘두(苗頭) $2{\sim}3$ 개묘(個苗)의 제천지방재래종(堤川地方在來種)을 공시(供試)하였으며, 10a당(當) 퇴비(堆肥) 2,000kg, 3요소비료(要素肥料)($N-P_2O_5-K_2O=10-10-10$), 계분비료(鷄糞肥料) 100kg,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200kg, 2종복합비료(重複合肥料) 100kg, 무비구등(無肥區等) 6처리(處理)를 난괴법(亂塊法) 3반복(反復)으로 하여 1990년(年) 11월(月) 12일(日)에 휴폭(畦幅) 200cm(4열(列)), 주간(株間) 40cm(1주(株) 1본(本))으로 정식(定植)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3월(月) 29일(日)로 처리간(處理間)에 차(差)없이 균일(均一)하였고, 입수율(立手率)은 85%이상(以上)으로 양호(良好)하였으며, 초장(草長)과 엽병장(葉柄長)은 무비구(無肥區) 58cm, 35cm보다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 길었고, 2년생(年生) 줄기의 길이는 13cm보다 2종복합비료(種複合肥料)에서 짧았으나 1년생(年生) 줄기 길이는 무비구(無肥區) 25cm보다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 모두 길었다. 2. 주근장(主根長)은 무비구(無肥區) 25.4cm에 비(比)하여 2종복합비료(種複合肥料) 시용(施用)에서 1.2cm가 짧았고, 그 외(外)의 비료시용(肥料施用)에서 $2.4{\sim}5.6cm$가 각각(各各) 길었으며, 근태(根太)는 무비구(無肥區) 1.3cm 보다 퇴비(堆肥)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 가늘었으나, 화학비료(化學肥料) 시용(施用)에서는 굵었다. 3. 모단(牡丹)의 주성분(主成分)인 paeonol 함량(含量)은 무비구(無肥區)에 비(比)하여 3요소(要素)와 2종복합비료(種複合肥料),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에 의하여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10a당 생근중(生根重)은 무비구(無肥區) 840kg에 비(比)하여 계분비료시용(鷄糞肥料施用)은 15%,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는 26%, 3요소 시용(施用)은 17%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특히 퇴비시용(堆肥施用)에서 31% 증수(增收)되었고, 근피중(根皮重)은 무비구(無肥區) 151kg에 비(比)하여 퇴비(堆肥), 계분(鷄糞) 비료(肥料) 시용(施用)은 $42{\sim}49%$ 증수(增收)되어 모단(牡丹) 재배시(栽培時) 화학비료(化學肥料) 시용(施用)보다는 퇴비(堆肥) 등(等)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이 효고적(效果的)이었다.

  • PDF

벼 1대잡종의 광합성 및 수량 관련 특성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otosynthesis and Grain Yield of $F_1$ Hybrid Rice)

  • 이덕배;권태오;이재길;박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0-427
    • /
    • 1995
  • 수도 웅성불임계통 HR7028A와 IR54756A에 임성 회복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용문벼를 이용한 1대 잡종과 그의 양친(유지계통, 회복계통) 및 비교품종(장성벼)를 공시하여 1대 잡종에 대한 생리적 특성과 수량에 대한 잡종강세현상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와 출수후 20일에 건물중, 엽면적, 두 시기간 건물증가양과 엽면적 감소양에서 HR-7028A/용문벼는 우수친과 비교품종에 대한 잡종강세를 IR54756A/용문벼는 비교품종에 대해서 잡종강세를 나타냈다. 2. 출수후 20일 엽위별 엽면적에 있어 1대 잡종벼는 상위엽보다 하위엽에서 heterobeltiosis현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엽위별 무기성분 함량에 있어 HR7028A/용문벼는 질소, 인산, 칼리함양에서, IR54756A/용문벼는 칼리에서만 heterobeltiosis를 나타내었고 무기성분 중에서는 칼리 > 질소 > 인산 순으로 잡종강세 현상이 컸다. 3. 출수기 및 출수후 20일 지엽중 엽록소 함량, 광합성 능력, RuDPCase활성과 줄기의 전당, 전분함량은 HR7028A/용문벼는 heterobeltiosis, IR54756A/용문벼는 heterosis현상이 있었으며 출수후 20일 사이 지엽중 엽록소 함량, 광합성 능력, RuDPCase활성은 1대 잡종벼가 양친보다 감소량이 적으나 줄기의 전당 및 전분함량은 양친보다 감소량이 더 많았다. 4. HR7028A/용문벼는 수수와 입수에서, IR54756A/용문벼는 수수에서 heterobeltiosis를 나타내어 수량에서 HR7028A/용문벼는 11%, IR54756A/용문벼는 4%의 heterobeltiosis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량과 출수기 및 출수후 20일 지엽중 엽록소함량, 광합성능력, RuDPCase활력과 줄기중 전당, 전분 함량과는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염생식물 나문재의 여러 가지 환경 조건 하에서의 종자 발아 및 초기생장특성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 권혁규;정재혁;이승재;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22-226
    • /
    • 2016
  • 본 연구는 토양 염농도의 변이가 큰 간척지에서 염생식물 나문재의 안정적인 재배와 생산을 위한 연구의 하나로, 나문재 종자의 발아특성과 초기생육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나문재 종자는 무배유 쌍자엽 구조를 가지며 별 모양의 황색 화피에 싸여 있다. 종자크기는 길이가 4.7 mm, 너비가 4.4 mm, 그리고 두께가 3.1 mm이며, 천립중은 1.58 g이다. 종자의 발아는 $5{\sim}40^{\circ}C$의 온도범위에서 8~65%의 변이를 보이며, $15^{\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염농도에 따른 발아율은 증류수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염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종자에서 화피를 제거했을 때의 발아율은 온도나 염농도에 관계 없이 모든 처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종자발아에서 광의 영향을 보면, 0~300 mM의 염농도 범위에서 광조건이 암조건보다 5~20% 정도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염농도 따른 나문재의 초기생장을 초장, 경수, 생체중, 건물중, 근장 등으로 조사한 결과, 모든 특성들이 50~100 mM의 염농도에서 양호하였고, 증류수나 높은 농도의 염수에서는 생장이 크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나문재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화피를 제거한 종자를 증류수에 침종하여 $15^{\circ}C$ 정도의 저온과 광 조건에서 발아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식물체의 생장은 50~100 mM의 염농도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Effect of sugar content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whole crop wheat silage

  • Song, Tae Hwa;Oh, Young Jin;Park, Jong Ho;Kang, Chon Sik;Cheong, Young Keun;Son, Jea Han;Park, Jong Chul;Kim, Yang Kil;Kim, Kyong Ho;Kim, Bo Kyeong;Park, Tae Il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82-282
    • /
    • 2017
  • The many factors such as sugar content, moisture, type of bacteria which predominate, buffering capacity, packing and sealing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silage fermentation quality. Among the sugar content are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effective silage ensiling relies on the fermentation of sugar content to lactic acid by lactic acid bacteria. Sugar content is also known to affect the protein utilization of rum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water soluble carbohydrate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whole crop wheat silage. This experiment was used standard cultivars (Cheongwoo, Hordeum balgare L) and solid breeding line of whole crop wheat. The materials harvested at the 30 after heading day and chopped for making silage, and using this silage carried out in vitro digestibility for 6, 12, 24 and 48 hours. For the feed value, crude protein, NDF, ADF contents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e before ensiling and TDN contents were slightly lower compared to the before ensiling, bu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sugar contents,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e after ensiling compared to the before ensiling, there were more reduced at the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wheat. The pH value was lower at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wheat. lact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wheat. Therefore, there was profitable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wheat silage at the higher the sugar content. In in vitro digestibility test, containing high sugar content HW34lin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digestibility at 6 and 12 hours of incubation and amount of NH3-N lower other line in all incubation time. Therefore, there was profitable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wheat silage at the higher the sugar content.

  • PDF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4. 경안천 하류의 영양염 및 입자태 유기물 거동과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Ecological Studies on Pal'tang River-Reservoir System in Korea. 4. Dynamics on Inorganic nutrients, POM and Phytoplankton Succession in the Lower Stream Kyungan)

  • 홍성수;어윤열;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5권1호통권97호
    • /
    • pp.1-9
    • /
    • 2002
  • 팔당호 지류인 경안천의 입자태 및 무기 영양염의 동태와 이들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천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3년 8월 18일부터 11월 13일까지 주 1회의 조사를 14주 동안에 걸쳐서 수행하였다. 질산성 질산염은 조사기간 중 항상 풍부하였고 인산염과 규산염은 갈수기에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hlorophyll a의 값은 1993년 8월 21일 $90.6\;{\mu}g/l$로 최대 값이 관찰되었으며 10월 중순 이후부터는 $15{\sim}16\;{\mu}g/l$을 유지하였다. 입자태 유기탄소와 입자태 유기질소는 매우 풍부한데 비해, 입자태 유기인의 농도는 최저$0.3\;{\mu}g\; atm/l$의 낮은 능도 분포를 보였으며, 입자태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의 변화양상은 chlorophyll a의 변차양상과 잘 일치하였으며, 이것은 입자태 유기탄소 및 질소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의한 내생적 공급에 의함을 의미한다. 이와는 반대로 경안천의 인의 공급은 외부로부터 공급되고 있으며, 항상 인산염이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인자로 작용하지만, 때때로 낮은 Si/P ratio을 나타내어 규산염의 고갈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때로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인산염 보다는 규산염이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인산염이 제한 인자로 작용하는 시기에는 규조류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규산염이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시기 (9월 $11{\sim}18$일, 10월 $2{\sim}16$일)에는 남조류와 녹조류가 우점 하였다. 특히, 남조류 중에서 Anabaena, Microcystis및 Oscillatori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무한사면 모델을 이용한 부산 황령산 산사태 재해 평가 가능성 검토 (Study on Landslide Hazard Possibility for Mt. Hwangryeo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the Infinite Slope Model)

  • 김재민;최정찬
    • 지질공학
    • /
    • 제26권3호
    • /
    • pp.413-422
    • /
    • 2016
  • 인구밀도와 기간산업 개발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도시지역에서 산사태로 인한 인명손실과 재산손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부산은 한국 내 대도시들 중에서 산지비율이 높기 때문에 과도하게 산지지역을 개발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한사면 모델을 이용하여 부산 황령산 산사태 재해 평가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모든 자료는 ArcGIS 10.0을 사용하여 추출한 주제도와 연관되어 있다. 그 결과 산사태 안전율은 예상대로 지하수위 변화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대부분의 연구지역이 건조 상태에서는 안정된 상태이고, 지하수위가 상승할 때 공극수압이 증가하여 불안정한 지역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분석결과 선구조밀도가 높은 기존 산사태 발생지역 중에서 여러 곳이 다른 지역보다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실제상황과 분석결과가 상이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가적인 분석이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불포화대 침투이론 개발이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의 분포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