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matter accumulation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6초

옥수수 개체군의 일차생산성과 물질경제. 3. 건물생산과 인경제 (Primary Productivity and Matter Economy of a Maize Plant Population. III. Phosphorus Economy in Relation to Dry Matter Production)

  • Huque, M. Anwarul;Seung-Dal S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1호
    • /
    • pp.1-12
    • /
    • 1981
  • 옥수수개체군의 생장기간중 생산구조의 발달과 건물생산과정에 따른 인의 동태, 즉 토양으로부터 흡수준, 동화율, 회전율, 수요공급의 수지 및 이용효율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의 흡수율(최대 2.4mgPg$^{-1}$day$^{-1}$) 및 흡수효율(0.03)은 개체군의 상대생장률과 밀접한 상관을 보였고, 생육기간중 총 동화율은 3.41gPm$^{-2}$ 로서 월 최대 동화율은 2.99mgPg$^{-2}$ month$^{-1}$ (7월)였다. 한편 개체군의 인현존량의 변화는 최대치 1.4mgPg$^{-2}$ 였고, 최대 회전율은 178%를 나타내었다. 생육기간중 개체군의 각 기관별 인의 수요량은 엽 24.4%, 경 22.5%, 근 3.5% 및 종실 49.6% 였으며, 총 인요구량의 81.8%는 토양으로부터 흡수되였고 나머지 18.2%는 개체군내의 전류에 의해 공급되였다. 옥수수개체군의 인이용지수는 최대치가 6월에 1,091이며 평균지수는 655였다.

  • PDF

수종 공장 폐수에 대한 작물의 피해 반응 (Growth Responses of Crops to Wastes Derived from Some Factories)

  • 강병화;심상인;이상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1-165
    • /
    • 1997
  • 본(本) 실험(實驗)은 공장(工場) 폐수(廢水)가 작물(作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도(水稻) 묘(苗)의 초기(初期)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벼, 보리, 배추, 참외, 토마토를 파종(播種)한 폿트에 공장(工場) 폐수(廢水)의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작물(作物)의 출현율(出現率)과 건물중(乾物重)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폐수(廢水)의 종류는 피혁(皮革) 공장(工場), 페놀 수지 공장(工場), 염료(染料) 공장(工場)의 폐수(廢水)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도(水稻) 묘(苗)는 각 공장(工場)의 폐수(廢水)에 의하여 억제가 되었으나 피혁(皮革) 공장(工場)의 경우는 1/16이하로 희석(稀釋)된 저농도(低濃度)에 의해서는 촉진(促進)되는 결과를 보였다. 2. 피혁(皮革) 공장(工場)의 경우 각 작물(作物)이 반응은 보리가 가장 피해가 적었고 토마토의 경우 피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페놀 수지 폐수(廢水)는 배추와 참외가 크게 나타났고, 보리는 피해가 적었다. 4. 염료(染料) 공장(工場)의 폐수(廢水)는 토마토와 참외가 가장 많이 억제되었고, 보리의 경우 피해의 정도가 낮았다. 5. 각 (各) 작물종(作物種)들의 폐수(廢水)에 대한 반응은 채소인 토마토와 참외의 피해가 컸고, 화곡류인 보리와 벼가 작았다.

  • PDF

옥수수 및 Sorghum에 있어서 탄수화물과 NEL 축적에 관한 연구 II. Cell-Wall Constituents 합성 및 축적형태 (Studies on Reserved Carbohydrates and Net energy Lactation ( NEL ) in Corn and Sorghum II. Synthesis and accumulation pattern of cell-wall constituents)

  • 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7-135
    • /
    • 1985
  • 옥수수 및 sorghum 식물(植物)에 있어서 생육시기(生育時期)와 환경온도(環境溫度)가 cell-wall constituents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옥수수의 Blizzard와 sorghum의 Sioux 및 Pioneer 931 품종(品種)을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포장(圃場) 및 Phytotron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Phytotron의 주(晝)/야간(夜間) 실내온도(室內溫度)는 30/25, 25/20, 28/18 및 $18/8^{\circ}C$로 하였으며 일조(日照)는 30,000-35,000Lux로 13시간(時間) 조사(照謝)하였다. 1979-81년간(年間)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및 sorghum의 cell wall constituents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서 지엽(止葉)이 출현(出現)되는 시기(時期)에 최대(最大)의 합성능력(合成能力)을 갖는다. Neutral Detergence Fiber 및 Acid Detergence Fiber 농도(濃度)는 동화엽면적(同化葉面積)이 최대(最大)인 출수기전후(出穗期前后)에 각각(各各) NDF 52-55% (옥수수) 및 64-68%(Sorghum)와 ADF 30%(옥수수) 및 45% (Sorghum)로 가장 높은 수준(水準)을 나타낸다. 2 Cellulose 및 Hemicellulose는 세포구조막(細胞救造膜)을 형성(形成)하고 있는 structural carbohydrates로 Cellulose가 주(主)로 경조직(莖組織)의 cell wall을 구성(構成)하고 있는데 비해 Hemicellulose는 엽(葉)과 곡실부위(穀實部位)의 세포막구성물질(細胞膜構成物質)로서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한다. 3. Cell wall constituents의 합성(合成)은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한다. 그러나 fructosan, mono- 및 disaccharose 등 non-structural carbohydrates축적(蓄積)은 $30/25^{\circ}C$이상(以上)의 고온(高溫)에서 감소(減少)된다. 고온(高溫)에서의 세포구조막물질(細胞構造膜物質) 증가(增加)는 cell wall을 구성(構成)하고 있는 물질중(物質中) 特(特)히 Cellulose가 급증(急增)된데 기인(其因)된 것으로 온도상승(溫度上昇)에 따른 Cellulose의 합성능력(合成能力)은 Hemicellulose 및 Lignin에 비해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보인다. 4 세포구조막물질(細胞構造膜物質)의 증가(增加)는 소화율(消化率) 및 net energy 축적(蓄積)을 크게 저해(沮害)한다. cell wall constituents 중(中) phenol 성분(成分)의 Lignin과 in vitro 소화율간(消化率間)에는 높은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q}0.1%$). Cellulose 및 Hemicellulose는 sorghum식물(植物)의 경우 소화율(消化率)과 NEL 축적(蓄積)을 크게 악화(惡化)시키나($P{\leqq}0.1%$) 옥수수에 있어서는 이같은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sorghum에서와 같이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 PDF

가축분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 및 양분 흡수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s Uptake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Grown with Different Rates of Livestock Manure Compost)

  • 임상선;이상모;이승헌;최우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8-465
    • /
    • 2010
  • 가축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수수${\times}$수단그라스 ($S{\times}S$ hybrid)의 수량 및 양분 (N, P)흡수 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부속 농장 초지에서 3반복 난괴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6개 처리 (무비구, 화학비료관행구, 퇴비 1, 2, 4, 6 수준)를 두었는데, 화학비료관행구의 비료 처리량은 질소 20 g N $m^{-2}$과 인산 20 g $P_2O_5\;m^{-2}$이고, 가축분 퇴비는 6 수준을 기준시비량 (20.2 g N $m^{-2}$과 21.6 g $P_2O_5\;m^{-2}$)으로 두고 퇴비 1, 2, 4 수준은 그 비율대로 감비하였다. 처리 90일 후 최종 지상부 건물중과 양분 (N, P)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화학비료 처리구의 건물중 (2.4 kg $m^{-2}$)과 질소 (38.3 g N $m^{-2}$) 및 인산 (15.3 g $P_2O^5\;m^{-2}$) 흡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퇴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중과 양분 흡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1). 하지만, 퇴비 4와 6 수준의 건물중은 각각 1.9 kg $m^{-2}$과 1.8 kg $m^{-2}$으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축분 퇴비 단독 시비로는 화학비료와 대등한 건물 생산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분흡수효율 분석 결과에 의하면 퇴비의 인산흡수 효율이 화학비료보다 높았기 때문에, 퇴비를 인산 급원으로 시용하고 부족한 질소는 농가의 비료자원 수급 가능성과 목표 수량을 고려하여 액비, 화학비료, 녹비 등으로 공급하는 것이 적절한 시비 전략으로 판단된다.

질소 추비량이 유색 보리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Levels on Productivity, Feed Value, and Anthocyanin Content of Colored Barley)

  • 송태화;한옥규;박태일;김양길;김기종;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9-156
    • /
    • 2012
  • 이 연구는 기능성 사료용 보리의 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체 전체에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겉보리인 '보안찰보리' 품종을 이용하여 전년에 구명된 안토시아닌의 축적을 높이기 위한 최적 추비 및 수확시기를 구명한데 (Song et al., 2011) 이어 최적 시비량과 생산성, 사료가치 및 부위별 축적정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질소 추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출수기가 지연되었고, 초장은 80% 증비구에서 가장 컸으며, 건물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생초수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부위별로 이삭 > 총체 > 잎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모든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NDF와 ADF는 부위별로 잎 줄기 > 총체 > 이삭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 줄기에서는 감소하였고, 총체와 이삭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TDN 함량은 이삭 > 총체 > 잎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 줄기는 증가하였고 (p<0.05), 총체와 이삭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부위별로 잎 줄기 > 총체 > 이삭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 줄기와 총체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특히 cyanidin-3-glucoside (C3G), delphinidin (Del), malvidin-3-glucoside (M3G), malvidin (Mal)의 감소가 가장 현저하였다 (p<0.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연구에 이용된 '보안찰보리'는 잎 줄기에 안토시아닌 축적이 가장 많고, 조사료 수량을 고려하면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조사료용 유색보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월동 후 생육재생기에 표준 추비량을 주는 것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혼파초지에 대한 톱밥발효돈분의 시용효과 (Fertilizing Effects of Swine Compost Fermented with Sawdust on Mixed Pastures)

  • 신재순;조영무;이혁호;윤세형;박근제;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5-252
    • /
    • 2004
  • 톱밥발효돈분의 시용이 혼파초지의 식생구성비율, 건물수량, 양분생산성 및 토양의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톱밥발효돈분 처리구, 톱밥발효돈분+화학비료 혼용 시용구 및 화학비료표준 시용구 등 8 처리로 하여 4년간 수행된 결과, 평균 건물수량은 대조구 및 퇴비 $50\%$ 시용구를 제외하고는 처리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식생구성은 전처리 공히 시험년차가 경과될수록 두과와 잡초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4년차의 두과비율은 대체적으로 발효돈분 시용구($39{\sim}43\%$)>겸용 시용구($30{\sim}41\%$)>화학비료 시용구($32\%$) 순으로 높았다. 잡초의 식생변화는 발효돈분 처리구에서 보다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잡초의 비율은 높았다. 혼파목초의 TDN과 NEL 등 양분생산량은 화학비료 표준시용 대신 질소기준으로 톱밥발효돈분 전량시용이나 또는 톱밥발효돈분($75\%$)+화학비료시용($25\%$) 혼용시용 만으로도 대등한 수량을 얻었다. 혼파 목초 중 인산, 가리 및 마그네슘 함량은 화학비료 표준처리구에 비해서 톱밥발효돈분 시용구에 높았으며 시용량이 많은 처리구일수록 더 높았다. 이에 비해서 칼슘 함량은 일관성이 없었다. 혼파목초의 K/(Ca+Mg) 당량비는 톱밥발효돈분 시용량이 많은 처리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화학비료를 대치할 톱밥발효돈분 시용량의 비율을 $75\%$ 이상으로 할 경우, 3년이상 연용은 과도한 인산의 축적이 우려된다. 톱밥발효돈분 시용에 따른 토양의 pH, 유기물 함량, $Ca^{++},\;Mg^{++},\;K^+$ 치환성 이온 그리고 양이온치환 용량은 시험전보다 시험 후 높아졌으며, 특히 톱밥발효돈분 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았다.\%$로, 조회분 함량은 $8.4\%$에서 $6.8\%$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도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는 후반기에 심한 수량감소를 나타냈다. Fe/Mn/Cu/Zn 비율시험에서 white clover는 Cu와 Zn 처리에서 다소 양호한 수량을 보였고 이는 아마도 균형된 Fe/Mn 비율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였다.라인목록에서는 알고 있는 자료일 때에는 서명이, 주제탐색일 경우에는 주제 명을 접근 점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서의 주제검색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이용자 중심적인 온라인목록에 되기 위해서는 현행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되는데 이용자들의 주제검색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주제 명 접근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하겠다.tology & venereal diseases(3.02)와 Engineering, biomedical(3.75)도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학술지에 논문 발표실적이 뛰어난 의학분야이다.체수의 $27.6\%$를 차지하고 있으며, 3시간 간출 시간에서는 27.8개체로서 $15.4\%$, 그리고 6시간 간출 시간에서는 15.2개체로서 $29.9\%$를 차지하여 기타 조개류의 채집량은 1시간, 3시간, 6시간 간출 장소의 순으로서 간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 비율은 6시간, 1시간, 3시간의 순으로 높았다.TEX>$10.5\%o\~31.5\%o$ 범위가 최적한 조건인 듯 하다.대한 새로운 지식과 함께 이용자들의 인식을 연구할 수 있는, 철학적이고 방법론적인 연구를 계속하나가면서, 이용자들의 행동패턴을 어떻게 시스템

캐나다의 동계한냉지역에 있어서 초지개발과 조사료 공급의 활성화에 필요한 요인 (Factors Required to Sustain Pastoral Farming Systems and Forage Supply In Winter-Cold Zones in Canada)

  • Kunelius, H.T.;Fraser, Joanna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2
    • /
    • 1992
  • 캐나다에서 화본과와 두과목초 및 사료작물은 가축사양에 있어서 주된 에너지 공급원이다 캐나다에 는 약 1,100만 ha의 개량초지와 조사료 생산은 가능하지만 환경조건이 다소 불량한 방대한 면적의 아직 개발되지 않은 3,000만 ha가 넘는 일반초지가 있다. 캐나다는 약 1,240만우의 육우와 약 150만두 의 젖소를 가지고 있다.캐나다 남부지역에서는 짧은 생육기간이 초지농업을 제한한다. 겨울은 길며, 대부분 지역은 저온, 결벙, 해벙 및 질병 등으로 사초의 월동은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따라서 적응력 높은 품종의 개발은 양호한 초생유지를 위해 펼수적이며, 특히 생육기간이 짧은 불량 환경지대에서 그러하다. 건물생산은 초여름의 높은 생육에 비해 늦여름과 가을의 낮은 건물축적 양상으로 계절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불균형적 생산형태를 극복하고 방목기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관리 기술과 재생력이 우수한 품종개발이 필요하다. 초지의 생산성증대는 가축사육에 있어서 생산비를 절감 시키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중요한 부문을 차지한다. 유용한 기술의 적용은 초지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고 사내에서의 저장사료 사양의존도를 낮추며 소규모 농가들을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해준다. 수확과 저장 및 사양과정에서 영양분 손실의 방지는 생산효율을 높이는데 펼수적이다. 사일리지 조제시에 도 생산비 절감과 생력관리기숭 개발은 조사료 위주 낙농엽의 생산효율을 높이고 순수익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축산업은 저지방이나 저콜레스테롤 식풍 같은 소비자의 가호성을 충족시키는 데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연구와 교육 및 농민지도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은 있으나 협력과 공동연구를 확대시켜 조사료 위주의 축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 PDF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생육 및 조사료 수량 변화 (Changes of Growth and Forage Yield at Different Cutting Dates among Five Winter Cereals for Whole Crop Silage in Middle Region)

  • 주정일;최현구;강영식;이정준;박기훈;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1-120
    • /
    • 2009
  • 조사료 생산에 유망한 동계작물중 보리, 밀,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라이밀) 등 5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월동 후 예취시기에 따른 생육 및 조사료 생산성에 관한 생장곡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충남 예산군 소재의 충남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2006${\sim}$2007년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상부 건물중에서 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월동 후 점차 증가하다가 어느 정점부터는 감소하는 2차원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줄기의 구성비율이 최고가 되는 시기는 각각 영양 보리 5월 1일, 금강 밀 5월 5일, 곡우 호밀 5월 10일, 신영 트리티케일 5월 11일, 삼한 귀리 5월 13일경이었다. 잎은 월동 후 성숙이 진행될수록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영양 보리가 출수 후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밀, 트리티케일, 귀리에 비하여 높았고, 호밀이 가장 낮았다. 영양 보리가 출수기 이후에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줄기의 구성비율이 낮고 이삭과 잎의 구성비율이 높은 전형적인 총체맥류에 속하였고, 다음은 밀과 귀리이었으며, 호밀은 알곡 비율이 적은 조사료 작물에 해당하였다. 사일리지 제조에 알맞은 수분 함량(60${\sim}$ 70%에 도달하는 시기는 영양 보리 5월 25일, 금강 밀 5월 25일${\sim}$6월 5일, 삼한 귀리 6월 5일이었고, 이 때 생체수량은 곡우호밀>삼한 귀리>신영 트리티케일>영양 보리>금강 밀 순으로 높았다. 생체수량은 월동 후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시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중부지역에서 생체수량이 최대로 되는 시기는 영양 보리 5월 7일경, 금강 밀 5월 14경, 곡우 호밀 5월 9일, 신영 트리티케일 5월 17일경, 삼한 귀리 5월 말이었다. 건물수량은 4종의 총체맥류 모두 월동 후 성숙기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사일리지 제조에 알맞은 수분 함량에 도달하는 시기에 조사한 건물수량은 귀리 > 보리 > 밀 > 트리티케일 > 호밀 순으로 높았다. 상대 생장률은 월동 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정점 이후로 감소하는 2차원적인 생장을 보였는데, 월동 후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곡우 호밀이 높은 상대생장률을 보였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삼한 귀리가 높았으며, 금강 밀, 영양 보리, 신영 트리티케일은 비슷한 상대생장률을 보였다.

주요북방형 목초의 건물수량 , 화학성분 및 Net Energy 축적에 관한 연구 III. 예취관리에 화학성분의 계절적 변화 (Studies on Dry Matter Yield s, Chmical Composition And Net Energy Accumlation in Three Leading Temperate Grass Species III. Seasonal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under dfferent cutting managements)

  • 김정갑;양종성;한흥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7-163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주요북방형(主要北方形) 목초(牧草)에 있어서 기상환경(氣象環境) 및 예취관리(刈取管理)가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975{\sim}'79$년간(年間) 한국(韓國)과 서독(西獨)에서 실시(實施)되었다. 공시재료(供試材料)는 orchardgrass(cv. Potomac, Baraula), perennial ryegrass (cv. Reveille, Semperweide) 및 meadow fescue (Cosmos 11, N.F.G.)등 3초종(草種) 6품종(品種)종을, 예취방법(刈取方法)은 방목기(放牧期)(년(年)6-7회(回)), silage기(期)(4-5회(回)) 및 건초기(乾草期)(3회(回))로 구분(區分) 분할구(分割區) 배치법(配置法) 4반복(反復)으로 실시(實施)하였는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목초(牧草)의 Weender 각(各) 성분함량(成分含量)은 기상요인(氣象要因) 중(中) 특(特)히 온도(溫度),강수량(降水量) 및 일조(日照)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았다. 이상(以上)과 같은 원인(原因)으로 공시목초(供試牧草)의 조섬유(粗纖維) 및 세포막구성물질(細胞膜構成物質)(NDF) 함량(含量)은 봄철의 27.2% 및 42.9%에서 고온건조(高溫乾燥)한 여름철에는 각각(各各) 30.1%(조섬유(粗纖維)) 및 48.7%(NDF)로 증가(增加)된 반면(反面) TNC함량(含量)은 4.01%(봄)에서 1.52%(여름)으로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서독지방(西獨地方)의 경우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계절간(季節間)에 큰 차익(差異)가 없었다. 2. Orchardgrass 는 perennial ryegrass 및 meadow fescue에 비해 조섬유(粗纖維) 및 NDF 함량(含量)이 높은 반면(反面)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TNC 축적(蓄積)이 낮아 energy 가치(價値)가 감소(減少)되었다. 지역별(地域別) orchardgrass의 net energy함량(含量)은 Suweon 524 StE, Cheju 431 StE 및 Freising 575 StE로 perennial ryegrass 의 624 (Suweon), 491(Cheju) 및 657(StE(Freising)보다 현저(顯著)히 낮았다. 3.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목초(牧草)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공시초총(供試草種)의 평균(平均) 조섬유(粗纖維) 및 NDF함량(含量)은 방목기(放牧期)의 23.9% 및 37.8%에서 건초기(乾草期)에는 각각(各各) 30.3% 및 49.1%로 증가(增加)된데 반(反)해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TNC함량(含量)은 식물생육(植物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결과(結果)였다.

  • PDF

Effect of Additives on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Residual Mono- and Disaccharides Compositions of Forage Oats (Avena sativa L.) and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Silages

  • Shao, Tao;Shimojo, M.;Wang, T.;Masu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582-1588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lage additives on the fermentation qualities and residual mono- and disaccharides composition of silages. Forage Oats (Avena sativa L.) and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were ensiled with glucose, sorbic acid and pre-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treatments for 30 days. In both species grass silages, although the respective controls had higher contents of butyric acid (20.86, 33.45g $kg^{-1}$ DM) and ammonia-N/total nitrogen (100.07, 114.91 g $kg^{-1}$) as compared with other treated silages in forage oats and Italian ryegrass, the fermentation was clearly 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This was well indicated by the low pH value (4.27, 4.38), and high lactic acid/acetic acid (6.53, 5.58) and lactic acid content (61.67, 46.85 g $kg^{-1}$ DM). Glucose addition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lactic acid/acetic acid, and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values of pH and ammonia-N/total nitrogen, and the contents of butyric acid and volatile fatty acids as compared with control, however, there was a slightly but significantly (p<0.05) higher butyric acid and lower residual mono- and di-saccharides as compared with sorbic acid and FJLB additions. Sorbic acid addition showed the lowest ethanol, acetic acid and ammonia-N/total nitrogen, and highest contents of residual fructose, total mono- and di-saccharides and dry matter as well as high lactic acid/acetic acid and lactic acid content. FJLB addition had the lowest pH value and the highest lactic acid content, the most intensive lactic acid fermentation occurring in FJLB treated silages. This resulted in the faster accumulation of lactic acid and faster pH reduction. Sorbic acid and FJLB additions depressed clostridia or other undesirable bacterial fermentation, thus this decreased the water-soluble carbohydrates loss and saved the fermentable substrate for lactic acid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