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cell weight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Levulinic Acid on th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by Ralstonia eutropha KHB-8862

  • Chung, Sun-Ho;Park, Gang-Guk;Kim, Hyung-Woo;Rhee, Young-Ha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79-82
    • /
    • 2001
  • The influence of levulinic acid (LA) on the production of copolyester consisting of 3-hydroxybutyrate (3HB) and 3-hydroxyvalerate (3HV) by Ralstonia eutropha was investigated. Addition of LA into the culture medium greatly increased the molar fraction of 3HV in the copolyester, indicating that LA can be utilized as a precursor of 3HV. In shake flask culture, the 3HV content in the copolyester increased from 7 to 75 mol% by adding 0.5 to 4.0 g/L LA to the medium containing fructose syrup as a main carbon source. A maximal copolyester concentration of 3.6 g/L (69% of dry cell weight) was achieved with a 3HV content of 40 mo1% in a jar fermentor culture containing 4.0 g/L of LA. When LA (total concentration, 4 g/L) was added repeatedly into a fermentor culture to maintain its concentration at a low level, the copolyester content and the 3HV yield from LA reached up to 85% of dry cell weight and 5.0 g/g,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en the same concentration of the LA was supplied al1 at onc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LA is more effective than propionate or valerate as a cosubstrate fur the production of copolyesters with varying molar fractions of 3HV by R. eutropha.

  • PDF

Increased Carotenoid Production in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G276 Using Plant Extracts

  • Kim, Soo-Ki;Lee, Jun-Hyeong;Lee, Chi-Ho;Yoon, Yoh-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28-132
    • /
    • 2007
  • The red yeast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previously named Phaffia rhodozyma) produces astaxanthin pigment among many carotenoids. The mutant X. dendrorhous G276 was isolated by chemical mutagenesis. The mutant produced about 2.0 mg of carotenoid per g of yeast cell dry weight and 8.0 mg/L of carotenoid after 5 days batch culture with YM media; in comparison, the parent strain produced 0.66 mg/g of yeast cell dry weight and a carotenoid concentration of 4.5 mg/L. We characterized the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by the mutant strain and screened various edible plant extracts to enhance the carotenoid production. The addition of Perilla frutescens (final concentration, 5%) or Allium fistulosum extracts (final concentration, 1%) enhanced the pigment production to about 32 mg/L. In a batch fermentor, addition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 reduced the cultivation time by two days compared to control (no extract), which usually required five-day incubation to fully produce astaxanthin. The results suggest that plant extracts such as Perilla frutescens can effectively enhance astaxanthin production.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Red Yeast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Mutants

  • Kim, Jeong-Hwan;Kim, Chan-Wha;Chang, Hyo-Ih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570-575
    • /
    • 2004
  • Three different strains of carotenoid accumulating XantlwphyUomyces dendrorhous mutants, JH1, JH2, and JH3, were isolated by NT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utagenesis, which might potentially be useful for animal feed as well as for studies on the regulation and biosynthesis of astaxanthin. Mut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apability of growth and carotenoid production on the YM agar plate containing chemical inhibitor, $\beta$-ionone. Astaxanthin-overproducing mutant JH1 produced 4.032 mg astaxanthinlg dry cell weight, and this value was about 15-folds higher than that of wild-type. $\beta$-Carotene-overproducing mutant JH2 produced 0.273 mg $\beta$-carotene/g dry cell weight, and this was 4-folds increase from that of wild-type. In contrast, JH3 was a white-colored mutant that was unable to produce carotenoid pigment.

우리나라 토마토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억제활성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tive and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s of Domestic Tomatoes)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79-887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산 토마토의 총 폴리페놀 및 플리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Rafito, Momotaro 및 Medion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44±1.84, 11.14±1.95 및 12.26±1.82 mg/g(dry weight)이었으며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각각 3.62±0.57, 3.24±0.35 및 3.87±0.60 mg/g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세가지 품종 모두 뚜렷한 radical 소거활성을 보여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주와 암세포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가지 품종 모두 정상 간세포(Chang)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이 없었고 폐암 세포(A549)에는 생육억제 효과가 없었으나 자궁경부암세포(HeLa)와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의 생육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토마토의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의 유용성이 검증되었다.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분석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cancer Effect from Extract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 황은선;홍은영;김건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9-2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배추와 양배추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glucosinolates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MTT assay를 통한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배추와 양배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08.48 및 344.75 ${\mu}g$ GAE/g dry weight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33 및 5.95 ${\mu}g$ QE/g dry weight으로 나타났다. 배추 추출물에서는 progoitrin, glucoalyss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의 총 6개 glucosinolates를 확인하였다. 양배추 추출물에서는 glucoraphanin, sinigrin, glucobrassicin 및 4-methoxyglucobrassicin의 총 4개 glucosinolates를 확인하였다. 배추와 양배추 에탄올 추출물이 AGS 인체 위암세포주, HepG2 인체 간암세포주, LNCaP 인체 전립선암 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를 통해 알아보았다.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을 암세포에 처리하고 배양하는 시간이 24시간에서 48시간으로 길어질수록 암세포 성장 억제 효능도 증가하였다. 배추와 양배추의 추출과정 중에 생성된 glucosinolate 가수분해 산물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암세포 성장 억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들이 자주 섭취하고 있는 배추와 양배추에는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글루코시놀레이트뿐 아니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추출물들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Photosynthetic Activity, and Lipid and Hydrocarbon Production by Alginate-Immobilized Cells of Botryococcus in Relation to Growth Phase

  • Yashverry, Sing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687-691
    • /
    • 2003
  • Whole-cell immobilization of the hydrocarbon rich microalgae, Botryococcus braunii and B. protuberans, in alginate beads under air-lift batch culture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hlorophyll, carotenoid, dry weight, and 1ipid contents at stationary and resting growth phases, as compared to free cells. Photosynthetic activity in both the species, of Botryococcus was enhanced, relative to free cells, at any growth phase of cultures. Immobilization exerted a protective influence on ageing of the cultures as reflected by higher chlorophyll and dry weight contents. Entrapment also stabilized th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even at stationary and resting phases as compared to free cells in both the species.

좁은잎 엉겅퀴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PC12 세포 보호효과 (Cirsium japonicum Extracts Show Antioxidant Activity and PC12 Cell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 장미란;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2-177
    • /
    • 2016
  • HPLC/MS를 이용하여 국내 자생 엉겅퀴(Cirsium japonicum)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제주지역 엉겅퀴가 가장 많은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chlorogenic acid가 73.15 mg/g dry weight, linarin이 76.67 mg/g dry weight 그리고 pectolinarin이 12.98 mg/g dry weight으로 확인되었다. 엉겅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평가한 결과 DPPH, ABTS 및 FRAP assay에서 엉겅퀴의 강력한 산화방지 활성이 나타났다. 엉겅퀴 추출물이 DPPH 및 ABTS 라디칼의 50%를 저해하는 농도는 각각 $567{\mu}g/mL$$130{\mu}g/mL$으로 나타났다. DPPH, ABTS, FRAP법을 통한 총산화방지능은 각각 11.32, 100.15, $12.76{\mu}g/mL$ trolox equivalents 나타났다. 과산화수소로 산화적 손상을 유도한 PC12 세포에 대하여 MTT와 LDH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생존률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활성이 나타났으며, 마찬가지로 활성산소종 생성률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산소종 생성이 감소되어 세포 보호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엉겅퀴의 우수한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엉겅퀴는 안전한 식품 재료로서 꾸준히 섭취하였을 때 천연 산화방지제로 작용하여 신경퇴행을 예방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헌팅턴병 등의 질병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Kenaf 이용에 관한 연구(제1보) -국내에서 재배한 kenaf의 생장 및 해부학적 특성- (Utilization of Kenaf Cultivated in Korea(I) - Growth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Cultivated in Korea -)

  • 이명구;윤승락
    • 펄프종이기술
    • /
    • 제35권4호
    • /
    • pp.68-74
    • /
    • 2003
  • Kenaf(Hibiscus cannabinus L.) cultivar, Tainung 2, had been grown for 152 days at the experimental farm of Jinju National University, Gajoa-dong, Jinju-si, Kyongnam, Korea. The planting, growth rate, fertiliz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ultiv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enaf, and the product usage were investigated. The narrowest diameter at kenaf bottom was 10 mm, the widest 42 mm and the average about 28 mm, and the shortest height 150 cm, the tallest 480 cm and the average about 350 cm. The weight of a core fraction was 68.1% and a bast fraction 31.9%. The weight ratio of core material to bast fiber was 2.31. The weight ratio of dry stem was 73.5% and that of leaves 26.5%. The weight of dry plant produced in 1 $m^2$ was 1,467 g, and about 1,052 g of stem could be used for the commercial purpose,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growth rate of the diameter at plant bottom and the height. Bast fiber, phloem ray and cortex parenchyma cell were observed in bast, and vessel, wood fiber and ray in core.

카드뮴의 내성균분리 및 균체내 축적 (Isolation of Cadmium-tolerant Bacteria and Accumulation of Cadmium into the Bacterial Cell)

  • 김영배;이수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1-115
    • /
    • 1976
  • 자연계에서 카드뮴 내성균을 142주 분리하여 그 중 1,500 ppm의 카드뮴 함유배지에서 가장 잘 증식하는 1주를 선발하여 Enterobater cloacae로 동정하였다. 본균은 배지중 카드뮴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0.5ppm의 카드뮴 함유 배지에서 최고 59%의 카드뮴을 균체내에 축적하였다. 카드뮴의 축적량은 균체의 건물양에 비례하여 균체 건물 1g당 7.8 mg이었으며 균체내 축적된 카드뮴은 60-70%가 세포벽획분에 존재하였다.

  • PDF

Scutellaria baicalensis G. 식물 세포의 구조적 성장 모델 (A Structured Growth Model of Scutellaria baicalensis G. Plant Cell)

  • 최정우;조진만;이정건;이원홍;김익환;박영훈
    • KSBB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51-258
    • /
    • 1998
  • Scutellaria baicalensis. G. 식물 세포의 현탁 배양에서 세포의 성장과 flavonoid glycosides 생산에 관한 구조적 성장 모텔 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식은 현탁 배양의 형광을 측정함으 써 결정될 수 있는 세포 생존도와 세포 활동도 등플 세포의 생리학적 변수로서 고려하였다. 제안된 모델식에서는 세포의 상태에 따라 세포블 크게 생존 세포와 비생존 세포로 나누고 생존 세포를 분화 가능한 생존 세포와 비분화 생존 세포로 나누어 각 각의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 중 생존 세포 중량은 광섬유 형광 센서로 측정한 상대 형광 세가로부터 결정될 수 있었다. Flavonoid 배당체의 생산 속도는 분화 가능한 생존 세포와 바 분화 생존 세포에 의해 지배되며, 배양액의 삼투압에 의한 서l포 팽창과 세포내 생성불절의 방출은 비생존 세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종속변수는 가칠농도(포도당), 세포 중량(건조 세포중량과 생체중량), 대사산물농도(flavone glycosides), 활동도와 생존도플 포함한다 Scutellaria baicalensis. G. 식물 세포 의 푹라스크 배양으로부터 모델과 실험결과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제시된 모델은 세포의 성장, flavone glycosides 및 중간매개체 합성을 예측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