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ught risk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3초

기상학적 가뭄, 농업 가뭄 및 빅데이터 현장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In-situ Big Data Droughts)

  • 이지완;장선숙;안소라;박기욱;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4-79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SPI 기상학적 가뭄지수,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농업가뭄 빅데이터간의 관계를 평가함으로써 빅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2014년 1월부터 2015년 9월까지의 장기가뭄을 대상으로, SPI-12개월 가뭄지수, 평년대비 강수부족율, 농업용저수지 저수부족율, 인터넷포털 검색을 통한 농업가뭄 빅데이터를 월단위 도별로 수집 및 분석하였다. SPI-12의 최대 가뭄심도와 최대 저수 부족율이 나타난 시기를 비교한 결과, 전국적으로 2014년은 7월, 2015년은 8월과 9월에 시기를 같이 하면서 발현되었다. 한편, 빅데이터의 도별 최대 발현시기는 2014년 6월과 7월, 2015년은 3월, 6월~9월에 나타나, SPI-12와 저수 부족율의 최대심도보다 2014년은 1개월, 2015년은 여름에 2개월 이르게 나타났다. 이는 빅데이터가 3월부터의 봄가뭄, 6월의 늦장마, 7월의 마른장마에 이어 2015년은 9월까지의 강우량 부족에 따라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농업가뭄관련 빅데이터의 활용이 가뭄의 위험관리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일 저수지의 위험도 평가기준을 고려한 가뭄대비 Hedging Rule 개발 (Development of Hedging Rule for Drought Management Policy Reflecting Risk Performance Criteria of Single Reservoir System)

  • 박명기;김재한;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501-510
    • /
    • 2002
  • 가뭄상황 또는 가뭄이 임박한 상황에서의 저수지 운영은 수요관리개념(단계별 급수)에서의 운영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저수지 갈수대응 차원에서 수문상황에 따른 단계별 방류량 감소를 고려할 수 있는 heding 효과를 고려한 단일 저수지 운영률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hedging 효과를 고려한 최적운영률 결정에는 혼합정수계획기법이 적용되었으며, 정식화단계에는 Shih 등(1994)의 hedging효과를 고려한 운영률을 개선하여 정식화 요소에 Hashimoto 등(1982)의 위험도 평가기준을 포함시켰다. 또한 hedging항의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축차 선형계획기법을 도입ㆍ정식화에 적용하였다. 본 hedging운영률의 적용결과 대청다목적댐에 대하여 hedging 매개변수론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각 월별 갈수대응 제한공급 시점 저수량(trigger volume)을 산정할 수 있었다.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Water Supply System in Fukuoka, Jap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15-24
    • /
    • 2001
  • This study introduces an integrated decision support system (DSS) for the water supply system in Fukuoka City, Japan. The objective is to conceive a comprehensive tool that may aid decision-makers to derive the best water supply alternatives from a multi-reservoir system in order to minimize the long-term drought damages and threat of water shortage. The present DSS consists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 database manager, and mathematical models for runoff analysis, water demand forecasting, and reservoir operation. The methodology applied explicitly integrates the drought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concept of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as constraints to derive the management operation. The application of the DSS to the existing water supply system in Fukuoka City was found to be an efficient tool to facilitate the examination of a sequence of water supply scenarios toward an improved performance of the actual water supply system during periods of drought.

  • PDF

가뭄 취약성 및 위험도를 고려한 의령군 지역의 가뭄 지수 산정 (Estimation of Drought Index in Uiryeong-Gun with Drought Risk and Vulnerability)

  • 정영훈;곽제상;엄명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7-317
    • /
    • 2022
  • 가뭄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뭄의 진행 상황이나 심각한 상태를 정의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가뭄 지수(drought index)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제시하였고 국내외에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령군을 대상으로 가뭄지수를 산정하였고, 1973년부터 2017년까지의 강수자료 및 가뭄 관련 지역 특성을 통하여 가뭄 위험 지수(DRI)를 추정하였고, 또한 가뭄 취약성 지수(DVI)와 가뭄 위험요소 지수(DHI)를 통해 가뭄위험도를 1등급에서 4등급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본 가뭄지수는 강수특성 뿐만 아니라 의령군의 지역적 특성을 다양하게 고려하였다. 따라서, 의령군 상황에 맞게 소지역별로 가뭄의 취약성 및 위험요소를 동시에 추정하여 합리적인 가뭄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cute toxicity evaluation of drought-tolerant transgenic rice Agb0103 to Daphnia magna

  • Oh, Sung-Dug;Lee, Bum Kyu;Park, Soo-Yun;Yun, Doh-Won;Sohn, Soo-In;Chang, Ancheol;Suh, Sang Jae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205-214
    • /
    • 2016
  • A drought-tolerant transgenic rice (Agb0103) was developed using a pepper methionine sulfoxide reductase (CaMsrB2) under the control of rice Rab21 promoter with a selection marker, the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gene.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will require the evaluation of risks associated with the release of GM crops. With the potential problems associated to GM crops safety testing, the investigation of their effects on non-target organisms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risk researc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acute toxicity of a GM crop using the water flea (Daphnia magna) for non-target organism risk evaluation. The effect of acute toxicity on Daphnia magna of Agb0103 rice and a non-GM rice, Ilmibyeo,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 625, 1,250, 2,500, 5,000, and 10,000 mg/L). The Agb0103 rice used for the test was confirmed to express the CaMsrB2/PAT gene by the PCR and ELISA. Daphnia magna feeding tes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mulative immobility or abnormal response with either Agb0103 rice or non-GM rice. The 48hr-EC50 valu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gb0103 rice (2243 mg/L) and non-GM rice (2694 mg/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xicity to Daphnia magna between Agb0103 rice and its non-GM counterpart.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을 이용한 충남지역 2015년 가뭄 분석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Drought Using the Storage Data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Chungnam Province in 2015)

  • 김소래;장민원;김수진;배승종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2호
    • /
    • pp.29-36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rought by tracking the daily reservoir storage in Chungnam province. All daily records of the percent of reservoir storage from 2000 to 2015 were collected for 130 irrigation reservoirs from the RIMS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e temporal change of province-wide average reservoir storage and the statistics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and minimum percent of reservoir storage in 2015 were extremely low like as those in the historical drought years of 2001 and 2012. The minimum reservoir storage on record was a 41 % at the end of September and remained far less than its historical average even until the end of the year. Furthermore, the annual average reservoir storage (68.3 %) recorded the lowest on record since 2000. In addition, about half of 130 major irrigation reservoirs in Chungnam fell into the risk of water shortage below 30 % full, and, in terms of annual minimum reservoir storage, the 79 reservoirs yielded lower storage in 2015 comparing with the measured in another drought year, 2001. On the other hand, irrigation reservoirs of comparatively worse storage condition revealed to be mostly located on the inside, such as Cheongyang-gun and Hongsung-gun. Conclusively, the low reservoir storage, still far below average even on December 2015, induced a serious concern about that more extreme drought would happen in the next spring.

CGE 모형을 활용한 농업 가뭄의 직간접적 파급효과 계측 - 쌀 생산성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Economic Effects of Agricultural Drought Using CGE Model - Focus on Rice Productivity -)

  • 김현웅;성재훈
    • 농촌계획
    • /
    • 제28권4호
    • /
    • pp.93-104
    • /
    • 2022
  • Agriculture is one of the most vulnerable sector to droughts, and drought damage on the agriculture sector could have effects on other sector. Drough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extreme events, which means more sophisticated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roughts are required when measuring their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mage of droughts based on limited 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 model. To be specific, we constructed a CGE model focusing on the agriculture sector in Korea. Also, to limit changes in land use and labor, we limited them, and assume droughts only have effects on productivity of value-added. Lastly, we simulate drought effects on rice production in Korea based on several climate scenarios and GCM to identify the economic effects of droughts. The results show that 1) the cumulated damage of droughts during 2021~2040 is higher than other periods (2040~2061, 2081~2100),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mage of droughts and SSP scenarios is insignificant. This result implies the necessity of the effective drought risk management to prevent future droughts effects, irrespective of mitigation policies. 3) Due to increases in rice price, GDP of rice sector is increased. However, GDP of the other sector and consumer welfare are decreased. This result show that indirect effects of droughts would be more important when measuring drought effects on agriculture sector.

기후변화가 가뭄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Risk)

  • 김병식;권현한;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
    • /
    • 2011
  •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겨울에서 봄철로 이어지는 시기에 지역적으로 만성적인 가뭄이 계속되고 있고, 특히 2001년에는 기상관측이래 때 이른 무더위와 극심한 가뭄으로 전국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가뭄에 대한 경제적인 손실은 홍수에 비해서 2~3배정도 달하고 있으며 미국 해양기상청(NOAA)이 선정한 20세기 최대의 자연재해 중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4개의 가뭄이 상위 5위안에 랭크된 바 있고, 미국 국립가뭄경감센터(NDMC)에서 발표한 통계재해 유형별 연평균피해액 중 가뭄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에도 2001년 봄 가뭄 시 국내총생산 성장률 0.45% 소비자물가 0.31% 상승하는 등 가뭄에 의한 경제적인 손실과 영향력은 막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홍수 등에 대비해서는 수해방지종합대책 등 국가차원의 사전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는 반면, 가뭄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사전예방대책보다는 응급복구 위주로 되어 있고 가뭄상황을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표도 명확하지 않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CM 강수모의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강수지수(SPI)를 산정하여 가뭄의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산정 되어진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시공간적인 변동성 분석을 실시하여 2015년대, 2045년대 및 2075년대로 나누어 가뭄지수의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현재와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찰옥수수 한발 스트레스에 대한 살리실산과 앱시식산의 처리 효과 (Effect of Salicylic Acid and Abscisic Acid on Drought Stress of Waxy Corn)

  • 서영호;박기진;장은하;류시환;박종열;김경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54-58
    • /
    • 2014
  • 물 자원이 제한되거나 관수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곳에서 찰옥수수의 한발 피해를 줄이고자, 종실용 옥수수에 대한 수분 스트레스 경감 효과가 보고되어진 살리실산과 앱시식산의 처리 효과를 살펴보았다. 출웅기 9일 전부터 출웅 후 14일까지 관수를 중단하였으며, 생장조절제는 출웅기에 1회 처리하였다. 살리실산과 앱시식산의 처리 농도는 각각 0.5 mM과 0.1 mM이었다. 한발 처리에 의해 ASI가 3.0~3.3일 늘어났으며, 간장은 47~51 cm, 이삭장은 4.6~5.0 cm, 이삭경은 4.4~5.3 mm, 열수는 1.5~2.0개, 수량은 2.4~2.5 Mg/ha 줄었다. 살리실산과 앱시식산의 처리에 의한 한발 피해의 경감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찰옥수수에 대한 살리실산과 앱시식산의 한해 경감 효과를 위해서는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받기 이전에 처리하거나, 저농도로 몇차례에 나누어 처리하는 것이 필요한 지에 대한 추후 검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