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squid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2초

전자선 조사가 건조 오징어의 미생물학적 안정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Microbial Safety and Qualities of Sliced Dried Squid)

  • 고종관;마유현;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3-437
    • /
    • 2005
  • 전자선 조사가 건조된 오징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자선은 2-16 kGy의 선량으로 각각 조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전자선에 의해 건조된 오징어에 존재하는 미생물 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조된 오징어에 존재하는 총 호기성 세균, 곰팡이와 효모, 대장균 군의 D/sub 10/ value는 각각 8.57, 4.60, 8.10 kGy로 나타났다. 전자선 조사된 시료 및 대조구에 대한 Hunter 색차계의 L, a, b 값을 측정 한 결과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능검사의 경우도 조사된 시료와 대조구와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로 인해 건조된 오징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 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원적외선과 열풍 건조조건에 따른 오징어의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Squids According to Far Infrared and Heated Air Drying Conditions)

  • 강태환;홍현기;전홍영;한충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2호
    • /
    • pp.109-115
    • /
    • 2011
  • Drying characteristics of squids under two dry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far infrared and heated air. Dry temperatures of 40, 50 and $60^{\circ}C$ with air speed of 0.6, 0.8 and 1.2 m/s were used for evaluating far infrared squid drying. Heated air squid drying at 40 and $50^{\circ}C$ with air speed of 0.8 m/s was used as a control treatment. The two drying were evaluated in terms of drying rate, color, TBA value, aerobic bacteria, cutting shear, penetration strength, and energy consumption. The drying rate of far infrared drying was relatively faster than that of heated air drying. The drying time of far infrared drying was reduced as the dry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color difference of far infrared dried squids was from 18.81 to 22.85, and heated air dried squid had the color different from 23.94 to 24.09. Far infrared dried squid had relatively smaller TBA values that indicate a level of rancidity. The aerobic bacteria of heated air dried squid increased from $970{\times}10^3$ to $40,000{\times}10^3$ CFU/g before and after drying, respectively. Far infrared dried squid had relatively smaller increase (from $970{\times}10^3$ to $40,000{\times}10^3$ CFU/g). The cutting shear and penetration strength for far infrared dried squids was relatively lower. In addition, far infrared squid drying consumed relatively less energy compared to heated air drying.

Propolis 의 처리가 마른 오징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lis Treatment on the Quality of Dried Squid)

  • 양승용;이남혁;홍상필;방현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56-360
    • /
    • 1999
  • 프로폴리스 처리가 마른 오징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분함량 29% 내외의 마른 오징어를 조제하고 0.25% 및 0.5% propolis를 처리하여 저장 중 총균수, TBA가 및 갈변도를 측정하였다. Propolis 처리 오징어는 총균수에서 저장 30일경 $72{\sim}80$마리/g로 대조구 보다 30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TBA가의 경우 propolis 처리 오징어는 시판 오징어 보다 $0.1{\sim}0.2$ 정도 적은 값으로 약 $15{\sim}25%$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한편 propolis 처리 오징어와 시판 오징어의 갈색도는 저장 기간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propolis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L값이 높고 a값 및 ${\delta}E$값이 낮게 나타나 propolis 처리구의 갈색도가 시판 오징어에 비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프로포리스는 수분함량을 높혀 조직감을 개선한 오징어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응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반건조 오징어의 저장성 연장을 위한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 (Application of Gamma Irradiation for Prolonging Shelf-Life of Semi-Dried Squid (Todarodes pacificus))

  • 변명우;이주운;조철훈;육홍선;차보숙;김명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69-474
    • /
    • 2002
  • 본 연구는 반건조 오징어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해 감마선 조사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반건조 오징어를 함기 및 진공포장하여 0, 3, 5, 7 kGy로 조사한 후에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미생물학적 측면에서 비조사구는 저장기간 동안 급속하게 부패가 진행되었으며, 선택배지를 사용한 검사에서 곰팡이와 효모가 저장 중 반건조 오징어의 주요 오염미생물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로 미생물수가 감소하였으며, 반건조 오징어의 보존을 위해서는 7 kGy 이상의 선량이 요구되었다. VBN 함량은 저장 중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함량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직후 TBA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관능적인 차이는 관찰되지않았다.

오징어를 이용한 조미 건조포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and Dried Squid Slice)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116-120
    • /
    • 2007
  • 주요 수산가공자원의 하나인 오징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오징어포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오징어의 효율적 이용 측면에서 조미 오징어포의 제조는 오징어를 70%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오징어와 수리미를 70:30의 비율을 사용하여 제조한 조미 오징어포는 조미 수리미포에 비하여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및 threonine 등이었다. 또한, 조미 오징어포의 칼슘 및 인 함량은 조미 수리미포에 비해 높았으며, 조미 오징어포의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 및 taset value는 각각 3,199.1 mg/100g 및 402.00이었고 맛에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이었다.

오징어의 건조방법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ing Method on N-Nitrosamine Formation in Squid during Its Drying)

  • 성낙주;이수정;신정혜;김정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4-619
    • /
    • 1997
  • 건조 오징어 중 N-nitrosamine(NA)의 생성 경로를 밝히고져 오징어의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NA의 주요 전구물질인 질산염과 아질산염, DMA, TMA, TMAO 및 betaine질소 등을 정량하였고, Thermal Energy Analyzer(TEA)를 Gas Chromatography(GC)와 결합시켜 NA를 분석하였다. 오징어 건조 중 질산염 질소는 생시료에서 불검출~0.3mg/kg였으나 천일건제품에서는 최고 1.9mg/kg, 열풍건제품은 2.3mg/kg, 재래식으로 건조한 시료에서는 5.2mg/kg 검출되었다. 그리고 아질산염 질소 역시 질산염 질소와 비슷한 증가 양상을 보여 생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재래식 건제품에서는 최고 2.7mg/kg으로 정량되었다. 오징어 건조 중 TMAO 및 betaine질소는 감소하였으나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건제품에서 각각 27.8~29.2mg%, 10.4~12.3mg/kg였다. 건조 오징어 중 휘발성 NA는N-nitrosodimethylamine(NDMA)만이 검출되었고, NDPA를 이용하여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는 81.0~100.0%였다. 생시료 중에는 NDMA가 불검출 내지 흔적 량에 불과하였으나 건조시료에서는 2.7~42.7$\mu\textrm{g}$/kg였다. 건조방법에 따라 NDMA의 함량에 대차를 보여 재래식 방법으로 건조할 경우 천일건조에 비해 11~16배, 열풍건조에 비해 3~4배나 높게 정량 되었다. 이처럼 재래식 방법으로 건조한 시료에서 NDMA가 높게 검출된 것은 건조시 사용한 연탄불로부터 생성된 산화질소 유도체가 오징어육에 존재하는 아민류와의 상호반응으로 인한 것이 주된 인자로 추정된다.

  • PDF

오징어(Todarodes paxificus) 식해의 제조시 발효 온도 및 염도의 최적화 공정 개발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ea Salt Concentration for Preparing Squid Todarodes paxificus Sikhae)

  • 한대원;김소라;임미진;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27-634
    • /
    • 2012
  • Squid Sikhae is traditional salt-fermented food in Korea. We evaluated the standardization of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for desirable quality-controlled squid Sikhae using analyse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microbiological species, and organoleptic tests. Among several squid Sikhae preparation processes, the optimal fermentation temperature sun-dried sea salt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period for squid Sikhae of acceptable quality were $10^{\circ}C$, 4%, and 6 days, respectively. Amino-N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s of the acceptable quality squid Sikhae were 162.51 mg/100 g and 15.25 mg/100 g, respectively.

마른 오징어 저장중의 수분활성과 갈변반응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DRIED SQUID STORED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 최호연;김무남;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97-100
    • /
    • 1973
  • In the previous work(Kim et al, 1973), the quality of sun-drie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h-ogramma, was discussed in the aspect of non-enzymatic discoloration as a function of relative humidity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20^{\circ}C$). In this paper, sun-dried squid, Ommastrephes steam pacificus was investigated at the same aspect mentioned above. Fresh squid from the whole sale market was dressed, filleted, dried for 48 hours in the open air and finally stored in the humidistat chamber. Lipid oxidation ana development of non-enzymatic browning were tested by the same methods described in the previous paper. The TBA value showed a maximum peak on 30 day storage, hereafter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The rate of browning, however, in water soluble fraction as well as in chloroform-methanol fraction was lower at 0.34 to 0.45 water activity than at any other case, and propagation of lipid oxidation was also diminished at the above level of water activity. From the results, it is recognized that storage at Aw=0.34 to 0.45 provides higher quality stability for sun-dried squid.

  • PDF

대왕오징어의 가공방법에 따른 맛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Taste Components of Giant Squid Architenthis dux via Processing Methods)

  • 박희연;장주리;남기호;이두석;윤호동;장미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8-5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왕오징어를 가공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조 및 자숙공정을 이용하여 쓴맛 및 신맛을 내는 염화암모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자 하였으며, 무처리 한 대왕오징어(RGS, Raw giant squid)와 건조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DGS, Dried giant squid) 및 자숙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BGS, Boiled giant squid)의 이화학적 성분 비교를 통한 맛성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각 공정별 오징어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RGS, DGS 및 BGS의 수분함량은 각각 75.65, 39.75 및 41.12%로 건조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 비해 자숙공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의 수분함량이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RGS, DGS 및 BGS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20.10, 56.25 및 49.58%로 자숙공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 비해 건조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RGS, DGS 및 BGS의 조지방 함량은 각각 0.15, 0.57 및 1.35%로 자숙공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조회분 함량 역시 공정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어 RGS, DGS, BGS가 각각 1.68, 4.50 6.77%로 자숙처리한 대왕오징어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핵산관련물질의 총 함량은 RGS, DGS, BGS에서 각각 17.62, 45.31, 17.50 mg/100 g로 건조처리한 대왕오징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Hypoxanthine (Hx)함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관능평가 결과에서 DGS와 BGS는 RGS보다 쓴맛, 신맛 및 짠맛의 강도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얻는 것으로 볼 때, 건조 및 자숙공정 처리에 의해 쓴맛 및 신맛이 효율적으로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대왕오징어 시료에서 총 17개의 구성아미노산이 분석되었고, 주요 구성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및 arginine 등이 확인되었고,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 등의 함량은 낮았다. 또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alanine, arginine 등으로 확인되었으며, taurine의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수입육류 및 어류의 방사선조사 여부 판별을 위한 Marker로 검출되는 Hydrocarbons의 활용 (Application of Hydrocarbons as Mar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Imported Meats and Fish)

  • 황금택;박준영;김충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09-1115
    • /
    • 1997
  • Hydrocarbons were analyzed in irradiated beef, pork, dried and seasoned beef, dried anchovy, dried squid, dried shrimp, and fish paste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ocarbons can be used as mar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the imported meat and fish products. The samples were irradiated at 0.5, 1, 3, and 6 kGy. Fat was extracted with hexane, and hydrocarbons were separated from the fat through Florisil column. The hydrocarbons were analyzed with GC. Hydrocarbons 15:0, 16:1, 17:1, 16:2, 17:2, and 16:3 in beef and pork, 17:1, 16:2, and 17:2 in dried and seasoned beef, 16:2 in dried anchovy, 16:1 and 17:1 in dried squid, 16:1, 17:1, and 16:2 in dried shrimp, and 16:1, 16:2, and 16:3 in fish paste were detected in the irradiated samples, but not in the unirradiated, so that the hydrocarbons may be used as ma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each i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