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tooth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6초

아로마 함유 치약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about Effectiveness of Essential Oil-Containing Dental Paste in Controlling Oral Malodor)

  • 전이선;강수경;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141-148
    • /
    • 2005
  • 구강 및 전신 질환이 없는 40명의 치과대학생 자원자를 대상으로 이중맹검법을 시행하여 tea tree, lemon, peppermint essential oil이 함유되어 있는 치약을 사용하게 한 후, 전치 절단면으로부터 3 cm 후방역 구취를 Hal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로마가 첨가된 치약은 구강 내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구취감소효과를 보였다. 2. 아로마를 함유한 치약을 사용한 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치약 사용 후 2주와 3주에서 구취 증가자 수가 아로마를 함유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한 군에 비해 적었다. 3. 구취 증가자의 증가율 평균은 대조군보다 낮았다. 4. 아로마를 함유한 치약을 사용한 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치약 사용 후 2주와 3주에서 구취 감소율이 대조군에 비해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아로마가 함유된 치약은 구취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아로마를 사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한계 내에서 치약뿐 만 아니라 구강세척제 등의 구강용품을 개발하여 임상에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첨단 제조기술 기반으로 제작된 치과용 모형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ccuracy of dental model based on the state-of-the-art manufacturing technique)

  • 김재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93-70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인상채득방식으로 제작된 석고모형과 구강 디지털 인상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폴리우레탄 모형의 각 계측지점을 비교함으로써 첨단 제조기술로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유치악 아크릴릭 구강모형을 선정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의 석고모형과 최신경향의 방식으로 모형을 각 10개씩 제작하였다. 계측지점은 총 6곳을 지정한 후, 2인의 검사자가 2회로 나누어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작방법에 따른 모형의 각 계측치의 평균, 표준편차, 계측치 차이의 평균 등의 기술 통계량으로 제시하였고, 정확성 검정을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검사자 내, 검사자 간, 제작방법 간의 신뢰성 분석은 급내 상관계수 분석과 측정오차를 구하였다. 실험결과 신뢰성은 급내 상관계수의 범위는 0.76에서 0.99의 값이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모형 제작방법에 따른 정확성은 모든 계측지점 간의 거리를 비교하였을 때 폴리우레탄 모형이 작게 계측되었으며 0.09~0.20mm의 범위로 선행연구의 결과에 의해 임상적으로 오차범위를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디지털 인상법의 사용으로 제작된 모형은 임상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향후 보다 정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치과용 모형을 제작하기 위한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산어류 명태(Theragra chalcogramma)에 기생하는 조충류 조사 (A Study on the Cestodes in yheyagya chalcogramma)

  • 주종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85-95
    • /
    • 1984
  • 한국 시장에서 얻은 명태의 장내 기생 조충류 조사의 일환으로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명태의 장에서 얻은 각종 충체에 대하여 형태학적 계측과 박절표본을 작성한 소견을 가지고 Schmidt와 Yamaguti의 검색표에 의거하여 속과 종을 동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실험에서 국내에 미기록된 신종으로 Eucestoda 아강 Caryophyllidae목 Caryophyllaeidae과 Lytocesinae아과 Khawa속과 Eucestoda아강 Trypanorhyncha목 Acystidea아목 Paranybeliniidae과 Pseudonybelinia속과, Eucestoda아강 Trypanorhyncha목 Aeystidea아목 Tentaculariidae과 Nybelinia속과 Tentacularia속 그리고 Eucestoda아강 Trypanorhyncha목 Cystidae아목 Lacistorhynchidae과 Eulacistorhynchus속과 이들의 종을 확정하였다. 2. Khawia sinesis의 특징은 두절에 소포가 없으며 넓고 펑평하나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한 점과 목이 짧고 체부와 두부사이가 명화하지 않은 점이었다. 3. Eulncistorhynchus chiloscyllius의 특징은 두절이 꽤 긴 편이며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하지 않다. 구문낭도 길다. 수축근은 남의 기저부에 부착되어 있다. 흡구는 둘로 난형 혹은 원형이며 후단에, 절흔이 없다. 촉모는 길 갈고리들이 변형되어 있으며 이중의 chainette가 있다. 체절은 acraspedote하고 성숙체질은 체폭보다 길이가 더 길다. 4. Tentacularia coryphaenea의 특징은 두절이 들쑥 날쑥하지 않고 원주형이다. 흡구는 분리되었고 후단 유리 연에는 작은 가시가 있다. 두절에서 나온 4개의 수축성 촉모에는 갈고리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촉모를 둘러싼 초는 꼬여있지 않다. 근낭은 긴 타원형이다. 5. Pseudonybelinia odontacantha의 특징은 두절이 들쑥날쑥하지 않고 촉모는 계구의 전쳔부에 가까이 부착되어 있다. 갈고리는 좌측으로 부터 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근낭은 폭보다 길이가 3배정도 긴다. 6. Nykelinia lingu구곤의 특징은 두절이 짧고 들쑥 날쑥하지 않다 흡구는 4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기 자유판을 갖고 있다. 촉모는 원통상으로 단단한 갈고리로 무장되어 있다.

  • PDF

중증환자를 위한 진공 구강 세정기에 대한 유동해석 (Flow Analysis of Vacuum Oral Cleaner Developed for Serious Patient)

  • 신현석;김남웅;김국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21-126
    • /
    • 2018
  •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구강위생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중환자들은 기본적으로 면역이 저하된 환자들로 각종 병원성 세균들에 의한 감염의 기회가 높기 때문이다. 구강문제는 감염의 1차 방어선인 구강이 감염의 우선적인 부위로 작용될 뿐 아니라 전신감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환자의 구강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마우스 피스 형태의 새로운 진공 구강 세정기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중 구조 방식의 세정기와 표준 치아 모델로써 3D CAD 모델링 및 유동해석 모델을 수립하고 압력 및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세정기 내부의 압력은 거의 일정한 분포를 보였으나, 속력분포의 경우 치아 안쪽과 바깥쪽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치아 안쪽에서도 가운데 부분의 속도가 가장 높고 가운데에서 멀어질수록 속력이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세정기의 흡입관과 배출관을 바꾸어 해석한 결과 치아 바깥쪽 가운데 부분의 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정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흡입-배출을 교대로 바꾸는 교번식을 제안하고, 어금니 부위의 속력을 높이는 설계 보완이 요구된다.

구내고정원을 이용한 교정 치료중 miniscrew 탈락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SKELETAL ANCHORAGE SYSTEM USING MINISCREW)

  • 우순섭;정순태;허영성;황경균;유임학;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2호
    • /
    • pp.102-107
    • /
    • 2003
  • At orthodontic treatment, we have made every effort to get rigid anchorage which is not stirred when teeth move. As a result, the miniscrew that is rigid anchorage was invented recently, and now it is used widely. Concerning the advantage of miniscrew, it is reduced dependence of extraoral anchorage and it shortens treatment time for rapid tooth movement. In contrast, the defect of miniscrew is falling off it resulted from increasing of the mobility.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e of help to prognose clinical use of miniscrew, which is inserted for intraoral anchorage, by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he failure rate of miniscrew for loading time. This study researches the failure rate of miniscrew for teeth movement at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 failure rate of miniscrew in mid course, after inserting 147 miniscrews in 51 patients, is 13%(20/147).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compared man with woman, maxilla with mandible, double-head with uni-head miniscrew, and drilling and non-drilling before inserting the miniscrew. In comparison below twenties with over twenties and the times that we give load to miniscrew, it produced that the failure rate of miniscrew is 9.7% higher in the case of below the twenties than over the twenties. Also, the failure rate of loading immediately is 10.8% higher than loading after 7 days. According to using driver for the insertion of miniscrew, the failure rate of miniscrew is higher in the case of using machined driver than in the case of using hand driver when the level of significance is 95%. According to the research, we can suppose that the failure rate has no concern with using miniscrew on man or woman, maxilla or mandible, the shape of head, and drilling or non-drilling before insertion of miniscrew. Therefore, we can choose eclectic miniscrew as demands. In addition, we must notify the patient, below twenties, to be possibility of high failure rate. A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give load after $1{\sim}2$ weeks for healing of the insertion area.

민감성 치아에 대한 수산화인회석 함유 치약의 임상적 효과 (The clinical effects of a hydroxyapatite containing toothpaste for dentine hypersensitivity)

  • 김수환;박준범;이철우;구기태;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정종평;류인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87-94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hydroxyapatite containing toothpaste with positive control toothpastes in reducing dentine hypersensitivi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clinical trial was a double-blind, randomized, parallel group comparison of two, namely hydroxyapatite containing toothpaste and strontium chloride containing toothpaste. A total of 55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given randomly assigned one of the two toothpastes after received tooth brushing instruction at baseline. Some clinical indices(PI, GI, PD), verbal rating score(VRS) for sensitivity to stimulus, the effect in relieving sensitivity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for sensitivity at baseline, week 2, week 4 and week 8 were assessed. All data were evaluated by intention-to-treat analysis. Results: Overall, PI and GI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 baseline in all groups(p<0.05).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I at 4 weeks and in GI at 4, 8 weeks between groups. The proportions of subjects relieved sensitivity were 70.4% in experimental group and 57.1% in control group at 8 weeks respectively. The VRS for sensitivity to three kinds of stimuli and VAS for sensitivity decreased according to time, there was no overal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new hydroxyapatite containing toothpaste was similarly effective in reducing dentine hypersensitivity with pre-existing benchmark toothpaste.

다수의 치아 상실과 치아 마모로 인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reduced vertical dimension due to numerous tooth loss and excessie worn dentition: A case report)

  • 이은혁;임영준;권호범;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56-466
    • /
    • 2019
  • 최근 디지털 치의학 기술이 치과 치료에 다양하게 활용이 되고 있다. 본 증례는 다수의 치아 상실과 치아 마모로 수직고경이 감소한 환자의 치료에서 이러한 디지털 치의학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다루고 있다. 감소한 수직고경을 주의 깊게 평가하여 회복하였고, 최종 수복물을 고려하여 설계한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하였다. 디지털 악간관계 측정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전측방 운동을 측정하여 교합기에 반영하였고, Naturgemäße Aufwachs-Technik (N.A.T.), Natural functional reconstruction (N.F.R.)을 이용한 왁스업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스캔하여 CAD/CAM 기술로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상태까지 진료실에서 조정과정을 거친 뒤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기술을 활용하여 최종 수복물로 그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치의학 기술과 전통적인 방식의 장점을 활용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치의 레진침투법을 위한 레이저 형광법의 진단적 활용 (Diagnostic Utilization of Laser Fluorescence for Resin Infiltration in Primary Teeth)

  • 박소영;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65-273
    • /
    • 2019
  • 이 연구는 레진침투법(resin infiltration, RI)을 적용하기 적합한 초기 유아기 우식증 병소를 동정하는데 있어 레이저 형광법(laser fluorescence, LF)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접면 우식을 가진 20개의 자연 탈락 유구치를 이용, 중심와를 지나도록 협설로 절단하여 근원심 치면을 별개의 시편으로 간주하였다. ICDAS code 1과 2에 해당하는 시편 27개를 선별하였고 LF값을 측정하였다. 현미경 평가를 위해 RI 시행 시 이중 염색을 병행하였고, 절편을 제작하였다. 현미경 영상으로부터 병소깊이(최대 탈회깊이, $LD_{max}$), 최대 침투깊이($PD_{max}$), 평균 레진 침투율(Penetration rate, PR)을 측정하고,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LF값은 PR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LD_{max}$$PD_{max}$와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얕은 법랑질 우식군을 제외하고, 깊은 법랑질 우식군과 상아질 우식군에서는 LF값과 PR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활동성 우식은 RI를 적용할 경우 침투율이 높고, LF 값이 보다 높게 측정될 수 있다. 진행 정도가 유사한 우식병소의 활성도를 평가하고자 할 경우, 레이저 형광법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심한 치아 마모와 수복 공간 부족을 보이는 환자에서 CAD/CAM 기술을 활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보고 (Computer-aided design and manufacturing-based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excessive attrition and restricted vertical dimension: A case report)

  • 조준호;윤형인;여인성;한중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5-505
    • /
    • 2019
  • 본 증례는 다수의 치아 상실과 심한 치아 마모로 인해 교합 고경(occlusal vertical dimension)의 감소 및 수복 공간 부족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기술을 활용한 완전 구강 회복 치료이다. 진단 단계에서 교합 고경에 대한 여러 분석을 통해 교합 고경 증가를 통한 완전 구강 회복을 계획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교합 고경을 반영한 임시 수복물을 환자에게 적용하여 적응시키고, 이중 스캔 방법을 통해 임시 수복물의 정보를 최종 수복물에 옮긴 후, 3D 프린팅을 통해 금속 코핑을 제작하여 최종 고정성 금속 도재 수복물을 완성하였다. 이후 전자 서베잉과 3D 프린팅을 통해 가철성 국소의치 금속 구조물을 제작, 최종 가철성 국소의치로 환자치료를 완료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완전 구강 회복 치료로 환자는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고, 술자는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치료결과로 판단하였다.

Impact of lattice versus solid structure of 3D-printed multiroot dental implants using Ti-6Al-4V: a preclinical pilot study

  • Lee, Jungwon;Li, Ling;Song, Hyun-Young;Son, Min-Jung;Lee, Yong-Moo;Koo, Ki-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4호
    • /
    • pp.338-350
    • /
    • 2022
  • Purpose: Var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3-dimensional (3D)-printed implants using Ti6Al-4V powder; however, multi-root 3D-printed implant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ability of multirooted 3D-printed implants with lattice and solid structures. The secondary outcomes were comparisons between the 2 types of 3D-printed implants in micro-computed tomographic and histological analyses. Methods: Lattice- and solid-type 3D-printed implants for the left and right mandibular third premolars in beagle dogs were fabricated. Four implants in each group were placed immediately following tooth extraction. Implant stability measurement and periapical X-rays were performed every 2 weeks for 12 weeks. Peri-implant bone volume/tissue volume (BV/TV)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measured by micro-computed tomography. Bone-to-implant contact (BIC) and bone area fraction occupancy (BAFO) were measured in histomorphometric analyses. Results: All 4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survived. Three solid-type 3D-printed implants were removed before the planned sacrifice date due to implant mobility. A slight, gradual increase in implant stability values from implant surgery to 4 weeks after surgery was observed in the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The marginal bone change of the surviving solid-type 3D-printed implant was approximately 5 mm, whereas the value was approximately 2 mm in the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BV/TV and BMD in the lattice type 3D-printed implant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surviving solid-type implant. However, BIC and BAFO were lower in the surviving solid-type 3D-printed implant than in the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is preclinical study, 3D-printed implants of double-rooted teeth showed high primary stability. However, 3D-printed implants with interlocking structures such as lattices might provide high secondary stability and successful osseo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