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salt precipit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폐 영구자석 스크랩 황산침출용액으로부터 황산나트륨에 의한 희토류 원소 복염침전 거동 고찰 (Double Salt Precipitation Behavior of Rare Earth by Sodium Sulfate in Sulfuric Liquor of Waste Permanent Magnet Scrap)

  • 윤호성;김철주;정경우;김지혜;이은지;유승준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5호
    • /
    • pp.39-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희토류 황산수용액으로부터 희토류 원소를 철로부터 분리/회수하고자, 황산나트륨을 이용한 희토류 황산복염 침전반응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네오디뮴(Nd)은 황산나트륨과 결합하여 복염으로 침전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반면에 디스프로슘(Dy)은 황산복염으로 침전되기 위해서 과량의 황산나트륨이 필요하였다. 또한 황산수용액에서 네오디뮴의 존재는 디스프로슘 황산복염 침전을 촉진시켜서 디스프로슘 황산복염 침전률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네오디뮴 함량 23.39 mg/ml, 디스프로슘 함량 8.67 mg/ml인 황산수용액으로부터 반응온도 $60^{\circ}C$, 반응 3시간에서 황산나트륨을 7 당량 첨가하였을 때, 네오디뮴 복염 침전률은 99.7%, 디스프로슘 복염 침전률은 94.3%이었다. 또한 네오디뮴과 디스프로슘의 황산복염 침전특성을 이용한 두 원소의 분리 가능성을 고찰한 결과, 염화나트륨 첨가에 의한 염석효과가 디스프로슘 품위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본 연구조건에서 최대 98.7% 품위의 디스프로슘을 얻을 수 있었다.

NdFeB계 영구자석 스크랩으로부터 네오디뮴의 분리회수 (Separation of Neodymium from NdEeB Permanent Magnetic Scrap)

  • 윤호성;김철주;이진영;김성돈;김준수;이재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6호
    • /
    • pp.57-6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NdFeB 영구자석 스크랩으로부터 네오디뮴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네오디뮴과 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스크랩을 산화배소 한 후 황산침출을 수행하였으며, 황산침출 용액으로부터 황산나트륨을 사용한 복염침전법에 의하여 네오디뮴과 철을 분리하였다. 산화배소 시 온도는 소결자석 스크랩은 $500^{\circ}C$, 본드자석 스크랩은 $700^{\circ}C$가 적절하였으며, 황산침출 시 황산농도 2.0 M, 침출온도 및 시간 $50^{\circ}C$, 2시간 그리고 광액농도 15%에서 네오디뮴 99.4%, 철 95.7%를 회수할 수 있었다. 네오디뮴과 철의 최적분리조건은 황산나트륨 첨가량 2.0당량, 반응온도 $50^{\circ}C$이었으며, 이 때 네오디뮴의 회수율은 99.9% 이상이었다.

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로부터 희토류와 알루미늄의 분리 (Separation of Rare Earth and Aluminium from the Dried Powder of Waste Cerium Polishing Slurry)

  • 윤호성;김철주;김성돈;이진영;조성욱;김준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5호
    • /
    • pp.10-1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로부터 세륨을 포함한 희토류성분과 알루미늄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출발원료인 세륨연마재 폐슬러리 건조분말의 희토류 중에는 산화세륨이 전체 희토류 성분의 약 40% 정도 함유되어 있는데, 산화세륨은 희토류원소들 중에서 가장 안정된 형태로 이에 대한 분해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황산화반응을 이용하여 산화세륨을 분해하므로써 희토류의 분리ㆍ회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침출용액으로부터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하기 위하여, 희토류 원소들은 황산매질에서 황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황산나트륨희토류(ReㆍNa($SO_4$)$_2$)를 형성하면서 침전되는 특성을 이용하였으며 쉽게 희토류와 알루미늄을 분리할 수 있었다.

황산철(III)용액에서 란타넘(III)의 선택적 침전 분리 (Separation of Lanthanum(III) by Selective Precipitation from Sulfuric Acid Solution Containing Iron(III))

  • 송시정;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2호
    • /
    • pp.31-38
    • /
    • 2021
  • 철(III)과 란타넘(III)이 혼합된 황산용액에서 황산나트륨에 의한 란타넘 복염의 침전 및 분리를 조사했다. 복염 침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 중 황산나트륨 및 란타넘(III)의 농도, 반응온도 및 시간, 그리고 철(III) 농도에 대해 조사했다. 용액 중 Na+, SO42- 이온 및 란타넘(III) 농도가 높을수록 희토류 복염의 침전률이 증가했고, 반응온도가 100℃까지 증가함에 따라 란타넘 황산염 이온의 형성을 촉진해 희토류 복염의 침전률이 증가했다. 또한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철(III)의 침전률이 감소해 3시간 이후에는 거의 침전되지 않았고, 철(III) 농도는 복염 침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황산용액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하면 란타넘(III)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철(III)과 분리할 수 있다.

혈청단백질분획(血淸蛋白質分劃)에 대한 연구(硏究) (I, II) (Studies on Bovine Serum Protein Fractions (I, II))

  • 임봉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6
    • /
    • 1965
  • I. A Comparison of Sod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Zone(Paper, Agar) Electrophoresis; Many kinds of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fractionating serum proteins. In the present study, using bovine serum, the fractions obtained with sodium sulfate were compared with those determined by zone electrophoresis. 1. Fibrinogen was precipitated with 4 to 10 percent of sodium sulfate. 2. ${\gamma}$-globulin required 10 to 16 percent of the salt for precipitation. 3. ${\beta}$-globulin began to precipitate at 12 percent sodium sulfate, and completed precipitation at approximately 26 percent in paper electrophoresis, while at 22 percent in agar electrophoresis. 4. ${\alpha}$-globulin completed precipitation at 13 to 28 percent sodium sulfate in paper electrophoresis and at 22 percent in agar electrophoresis. 5. Albumin began to precipitate at 14 percent of the salt, and was free from the mixture of globulins approximately at 28 percent in paper electrophoresis, while at 22 percent in agar electrophoresis. The results of comparing fractions by the two methods were as follows: 1. Euglobulin (15%) was equal to the sum of the most ${\gamma}$-globulin and a small quantity of the ${\alpha}$-, and ${\beta}$-globulins. 2. Pseudoglobulin I (15-17.5%) corresponded to the most ${\alpha}$-, ${\beta}$-globulins and a small quantity of albumin. 3. Pseudoglobulin II(18-22%) was a mixture of the ${\alpha}$-, ${\beta}$-globulins and albumin fraction. 4. Albumin (above 22%) contained the most albumin fraction separated by zone electrophoresis and a small quantity of the ${\alpha}$-, and ${\beta}$-globulins. As mentioned above the fractions obtained with sodium sulfate were a mixture of the various proportion of the fractions determined by zone electrophoresis. The solubility of serum fractions to sodium sulfate coincided with the mobility of those by zone electrophoresis. (By percent of sodium sulfate we mean gram of sodium sulfate contained in $100m{\ell}$ of solution). II. Immunological Studies on Serum Protein Fractions with Sodium Sulfate; In the previous report the fractions of bovine serum protein with sodium sulfat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zone electrophoresis, and the findings were that the former contained various proportion components of the latter. In this study the author studied whether or not the fractions with sodium sulfate are simple component antigenically by immunoelectrophoresis and micro double diffusion test (Immuno-precipitation), using rabbit antiserum to bovine serum. In immunoelectrophoresis, normal bovine serum developed with rabbit antibovine serum showed about ten distinct precipitin arcs. The distribution of these arcs was as follows: 1 albumin, 2 ${\alpha}_1$-, 3 ${\alpha}_2$-, 2 ${\beta}_1$-, ${\beta}_2$-, and 1 ${\gamma}$-globulin (Fig. 7, 9). In micro double diffusion test, five to six precipitation bands could be seen between antigens and antibody, the order of the precipitation bands location is albumin, ${\alpha}$-, ${\beta}$-, and ${\gamma}$-globulin from the side of antiserum well (Fig.19). Frequently the ${\alpha}$-, and ${\beta}$-precipitation bands were separated into two or three precipitation bands, which indicated that these globuline are not a pure component antigenically as shown in immuno-electrophoresis. In both Immunological methods, the two ${\alpha}$-, ${\beta}$-precipitin arcs and bands appeared clear and strong, indicating that the two globulins reacted as strong antigens. The precipitate reaction of ${\gamma}$-globulin was shown at 12 to 16 percent sodium sulfate; ${\beta}$-globulin at 12 to 20 percent; ${\alpha}$-globulin at 12 to 22 percent (immuno-electrophoresis), at 12 to 26 percent (Diffusion); and albumin at above 22 percent. Antigenically euglobulin contained ${\gamma}$-, ${\beta}$-, and ${\alpha}$-globulins, Pseudoglobulin I and Pseudoglobulin II were composed of ${\alpha}$-, and ${\beta}$-globulins, and albumin was a mixture of ${\alpha}$-globulin and albumin determined by zone electrophore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ractions of serum protein obtained by either method were constituents of various proteins antigenically except ${\gamma}$-globulin and albumin by Zone electrophoresis.

  • PDF

염화네오디뮴 수용액으로부터 탄산네오디뮴 결정화 (Crystallization of Neodymium carbonate from Neodymium Chloride Solution)

  • 김철주;윤호성;김준수;이승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2호
    • /
    • pp.23-31
    • /
    • 2007
  • 본 연구는 염화네오디뮴 수용액으로부터 탄산수소암모늄의 첨가에 의한 탄산네오디뮴 합성 시, 반응에 따라 형성되는 탄산네오디뮴 결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정형의 탄산네오디뮴을 얻기 위해서는 염화네오디뮴 수용액에 투입되는 탄산수소암모늄 수용액의 농도와 반응온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정형의 탄산네오디뮴은 핵생성을 통한 일차입자들의 응집에 의하여 형성되며, 반응물의 농도 및 반응온도 등을 증가시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서 결정형의 탄산네오디뮴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반응조건에 따라 lanthanite[$Nd_2(CO_3)_3{\cdot}8H_2O$]와 tengerite[$Nd_2(CO_3)_3{\cdot}2.5H_2O$] 결정구조를 갖는 탄산네오디뮴을 합성할 수 없었으며, lanthanite 구조의 탄산네오디뮴은 온도에 민감하고 불규칙한 모양의 덩어리 형태를 가지며, 반면에 tengerite 구조의 탄산네오디뮴은 침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열분해 거동 고찰 결과 250까지 탄산네오디뮴의 결정수가 분해되고 $420^{\circ}C$부근에서 $CO_2$가 분해되어 $Nd_2O_2CO_3$가 형성되며, $620^{\circ}C$에서 산화네오디뮴 결정화가 시작하여 $700^{\circ}C$ 부근에서 최종적으로 산화네오디뮴의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성된 산화네오디뮴의 형상은 탄산네오디뮴의 형상에 의하여 영향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폐세륨연마재 건조분말로부터 공기산화 및 산도조절에 의한 수산화세륨의 분리회수 (Separation of Cerium Hydroxide from Wasted Cerium Polishing Powders by the Aeration and Acidity-Controlling Method)

  • 윤호성;김철주;엄형춘;김준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6호
    • /
    • pp.3-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CRT용 폐세륨연마재 건조분말로부터 수산화세륨을 선택적으로 분리회수 하고자 하였다. 폐세륨연마재에는 산화희토류가 약 $64.5\%$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산화세륨은 $36.5\%$로서 전체 희토류 중 $56.3\%$를 차지한다. 산화세륨은 희토류원소들 중에서 가장 안정된 형태로 이에 대한 분해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황산화반응을 이용하여 산화희토류 및 산화세륨을 분해하고 수침출을 통하여 희토류의 분리 $\cdot$회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침출용액의 희토류는 황산나트륨을 이용한 복염[$\Re{\cdot}Na(SO_{4})_{2}$] 형태로 회수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투입하여 수산화희토류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공기 접촉에 의하여 3가 수산화세륨을 4가 수산화세륨으로 산화시킨 후 산도조절에 의하여 기타 수산화희토류로부터 수산화세륨을 분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