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income coupl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Couple and Elderly Single)

  • 여윤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12
    • /
    • 2003
  • Determinants of consumption patterns of elderly couple and elderly singl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1996 National Survey of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the elderly couple and single in terms of monthly expenditures and average budget shares of individual consumption items. Consumption functions of individual items were estimated using double-log function. Major determinants of consumption functions were income, overspending behavior, educational level of householder, and net worth for both groups, householder's job status and city residence mainly for elderly couple, and age of householder mainly for elderly single. In addition, income elasticity of elderly households was larger than net worth elasticity for all consumption items.

맞벌이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Double-income Couples)

  • 최정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47-58
    • /
    • 2006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double-income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1 double-income couples, in the Kyeongnam Area, Korea.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family stress of the husband and wife in double-income couples was 2.90 and 2.97, respectively, on a scale of 0-5.0.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economic level,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husband, and having a housework-helper,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wife. 2) The degree of family strengths of the husband and wife in double-income couples was 3.84 and 3.82, respectively, on a scale of 0-5.0.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husband, and the educational level, job type,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ouble-income couples' wife. 3) There was a close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lame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the husband and wife of double-income couples.

맞벌이 가족을 위한 코하우징 제안 -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와 모의실험을 기초로 - (A Proposal of Cohousing for Dual Income Families in Korea - on the Basis of Interview and Mimic Test -)

  • 한주희;최정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73-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duce the burden of household management and the difficulty of rearing children, which are two most important obstacles for a dual-income family. For this, we suggested a cohousing project, as an alternative concept to conventional housing, where people can soci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share mutual cooperation for a better quality of life. We surveyed the lifestyle of dual-income families in Korea, how they understood the cohousing project and their opinions on it.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the wives from dual income families who wer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including Seoul. We contacted 30 wives for the survey to determine the reality of the double income couple family and interviewed them to make a detailed plan for cohousing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needs. In the results, many women who responded to the interview agreed that cohousing was an ideal housing arrangement for the dual-income family. However, they were anxious that it would take too much time and effort to develop their own housing estate by themselves. Therefore, we looked for a way to save time, efforts and cost in developing a cohousing project and came up with the remodeling as a solution.

소형 임대주택 가구특성 및 실내공간 이용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Characteristic and the Inner Space Use of Small-Sized Rental Multi-family Housing)

  • 백혜선;임미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13
    • /
    • 2004
  • As the provision of National Rental Housing has led the consciousness on rental housing changed, it becomes mor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rental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ner space use of a unit and residents' consciousness on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residents in order to construct rental housing which provides comfort residental environment for the residen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459 residents) from 5 estates including 3 estates of National Rental Housing and 2 estates of Public Rental Housing, which is $36m^{2}\;and\;45m^{2}$ of net area of a unit, for the actual use conditions and their requirements on the inner space of a un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rental housing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needs from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2) The main demand household for rental housing is established to that of 4 families including a 40s year-old couple and that of 3 or 4 families including a 30s year-old couple, and a double income family. But the type of household becomes more diverse than before. 3) It is necessary to plan the living room for the Multi-functional inner space emphasizing commom space 4) The various and efficient storage space and system for the residents' demands.

유연근무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Focusing on Double-Income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 김규랑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4호
    • /
    • pp.1-14
    • /
    • 2021
  •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대표 정책 중 유연근무제가 실제 이용자인 맞벌이 부부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와 영향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유연근무제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쌍을 대상으로 총 6명의 맞벌이 부모의 유연근무제 경험에 대한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그들이 경험한 긍정적인 효과성과 제도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면담을 통해 도출된 자료 속에서 구조화된 틀을 기준으로 자료 전체를 검토하고 영역별 주제를 범주화하여 3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가정에서의 변화', '사회·문화적 시선', '정책 및 사회경제적 변화요구'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 실사용자들의 관점과 목소리를 연구에 직접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유연근무제 제도개선에 당위성과 설득력을 부여하고, 정책 방향 및 지원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다중역할 경험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ual-Earner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Experience on Marrital Satisfaction)

  • 손보영;김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26-333
    • /
    • 2020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부부 각각의 성역할 태도,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갈등과 향상의 경험이 자신과 배우자에게 미치는 상호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맞벌이 부부 95쌍, 총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 다중역할 경험 및 결혼만족도에 있어 부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 경험에 있어 부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이 아내보다 유의하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호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부 간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편의 경우 자신의 성역할태도, 자신의 다중역할 향상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아내의 경우는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에 있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아내 자신의 다중역할 갈등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에 있어 남편과 아내 각각의 영향과 상호간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conflict in dual earner coupl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 이인정;김미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127-150
    • /
    • 2014
  •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목되고 있는 것은 자녀 양육 문제이다. 이로 인해 맞벌이 부부는 심각한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는 다른 연령에 비해 매우 높아 이 시기 부부 관계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부부간의 갈등은 결혼 안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어린 자녀들의 문제행동을 야기하는 등 매우 심각한 부정적 영향들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및 서비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가 이들의 부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선행연구가 부부간의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역동적인 관계 양상을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포함하지 못해왔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상호의존적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629쌍의 커플 자료(dyadic data)를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로 분석하여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남편과 아내 각각의 부부갈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남편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내의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아내의 양육스트레스 또한 남편의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양육스트레스의 부부갈등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대한 문제 파악 및 개입 시 부부의 상호의존적인 영향 관계를 반드시 고려해야할 필요성과 그에 따라 부부를 한 단위(unit)로 접근해야 함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결과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