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inance index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6초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Aquatic Insect in Paddy Soil

  • Eom, Ki-Cheol;Han, Min-Soo;Lee, Byung-Kook;Eom, Ho-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3-172
    • /
    • 2013
  • 곡간지 (안성, 함양)와 평야지 (보은, 김제) 및 도시지역(군산, 수원)의 논토양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2009~2011의 3년간 채집 분류 동정하여, 전체 18 집구에 대하여, 12종류의 지표에 근거한 종 다양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별 논토양에서 수집된 수서곤충의 개체 수는 곡간지 (35,932) > 평야지 (24,948) > 도시지역 (9,780) 순이었으며, 종수는 곡간지 (32) > 도시지역 (20) > 평야지 (18) 순이었다. 2. 조사대상지 18집구들에 대하여 2집구 간 153개 조합의 상호 유사도 (Similarity) matrix를 작성하였으며, 153개 조합전체의 유사도는 평균 0.542, 즉 전체 종의 약 54%는 최소 1개 이상의 다른 집구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 구명되었다. 3. 조사대상지 18집구 중에서 종 다양성이 다른 집구와 차이가 가장 큰 경우는 2009년 보은 평야지,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는 2010년 군산 도시지역 이었다. 4. 년차간 유사도 (0.659)가 지형간 유사도 (0.560)보다 높게 나타나, 어떤 종의 수서곤충이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공동 서식할 가능성 (공간적 유사도 : Spacial similarity)보다, 동일 지역에서 이듬해에 또다시 서식할 가능성 (시간적 유사도 : Periodical Similarity)이 더 높다고 구명되었다. 5.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에 대한 18개 집구 간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개체수 (N, 70.0%) > 균등도-E3 (54.9%) > 균등도-E1 (49.6%) > 풍부도-R2 (40.5%) > 종수 (S, 35.3%) > 풍부도-R1 (33.7%) > 균등도-E2 (28.4%) > 균등도-E5 (15.9%) > 다양도-V1 (11.1%) > 균등도-E4 (6.3%) > 다양도-V2 (5.1%) > 우점도-D1 (4.8%) 순이었다. 6. 조사대상 18집구별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 간 66개 조합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보여주는 correlation matrix를 작성하였고, 66개 조합 중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는 경우는 33개 조합의 경우이었다. 7.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10종류의 지수들 간 correlation matrix를 근거로 한 통계적 독립의 개념에 따라 지수간 관련성이 낮은 지수, 즉 풍부도지수 (R1, R2)는 R1, 다양도지수 (V1, V2)는 V1, 균등도지수 (E1, E2, E3, E4, E5)는 E2, 우점도지수는 D1이 수서곤충의 종 다양성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한 지표라고 판단되었다. 8. 수서곤충의 풍부도지수 (Richness index: R1)는 곡간지 논토양에서, 다양도지수 (Variety index: V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균등도지수 (Evenness index: E2)는 평야지 논토양에서 더 높았으며,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D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더 낮았다.

황해 중부에서 저층 트롤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Quantitative Fluctu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by Bottom Trawl in the Middle of Yellow Sea, Korea)

  • 주현;추보라;이성훈;유태식;한경호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5
    • /
    • 2020
  • Fish, caught by bottom trawling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east of Korea),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6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studied at four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46 species, 31 families, and 14 order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Engraulis japonicus, Larimichthys polyactis, Johnius grypotus, Liparis tanakae, and Larimicthys crocea. 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s, richness, diversity, and dominance to gain a measure of the biodiversity.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4 (50,053 individuals), while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1 (44,090 individuals).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at St. 2 (E = 0.65) and lowest at St. 3 (E = 0.62).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at St. 4 (H' = 2.31) and lowest at St. 3 (H' = 2.23).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at St. 3 (D = 54.9%) and lowest at St. 2 (D = 47.7%).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 신석민;최일기;서을원;이종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551-155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urban stream and nature stream in Daegu-si, Gyeongju-si, Gyeongsan-si, Andong-si, and Cheongsong-gun.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2 points in total six points for urban stream, six points for nature stream from Sept. 2011 to July 2012. In the urban stream were 33 species belonged to 24 families, 11 orders, 7 classes and 4 phyla while in the nature stream were 73 species belonged to 38 families, 12 orders, 5 classes and 4 phyla. In general,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species richness indices appeared low in urban stream but dominance indices was high.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Habitat Oriented Groups appeared comparatively simple in urban stream rather than nature stream.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mmunity stability, species included to area I and area III equally appeared in nature stream while species included to area I mostly appeared in urban stream.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number of species, the population number and biological indicators such as DI, H', RI, and ESB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vity with the diversity index and a very high correlativity with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index and the ESB. On the other hand, the population number and the dominance index did not reveal any correlativity. For indicator species, Hydroptila KUa, Physa acuta appeared in urban stream while Paraleptophlebia chocolata, Epeorus pellucidus appeared in nature stream.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및 풍부도에 관한 연구 -경북 상주시 갑장산-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beetles (Coleoptera) in Mt. Gabjangsan, Korea)

  • 박종균;연화순;담휴착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32-36
    • /
    • 2003
  • 상주시에서 위치한 갑장산(805.7 m)을 대상으로 고도 200m부터 800m까지 100m 간격으로 7개의 시험구를 설정하여 2001년 8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당밀을 이용한 pitfall trap를 설치하여 고도별, 계절별 다양도 및 우점도 지수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먼지벌레와, 딱정벌레과 그리고 송장벌레과에 속한 곤충들이 채집되었고, 전체 6,304개체 중 먼지 벌레과가 6,163개체로 98% 이상을 차지하였다. 고도 200m부터 700m까지 점차적으로 개체수의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800m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고도 700m에서 심슨의 우점도지수는 0.6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00m에서 0.47로 가장 낮게 나났다. 반면 심슨의 다양도 지수는 800m에서 0.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 우점도 및 다양도 지수는 0.54에서 0.55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과 별 다양도지수는 먼지벌레과에서 가장 높았다.

  • PDF

영남권 도시 간 화물 연계성과 다중심성 (Inter-city Flight Connectivity and Polycentricity in the Yeongnam Region)

  • 최병두;송민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61
    • /
    • 2015
  • 이 논문은 도시 연계성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한 후 다중심도시지역의 개념과 분석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영남권 도시들 간 화물통행량을 분석하여 도시 연계성과 다중심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영남권의 도시 네트워크는 흐름의 대칭성(즉 유입과 유출 통행량의 차이)에 있어 도시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지만, 엔트로피 지수로 보면 상대적으로 분산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지배력 지수로 보면, 영남권 도시네트워크는 수도권에 비해 훨씬 다중심적(즉 비계층적)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부산과 울산은 상대적으로 지배력 지수가 높고 이 도시들에 의존하는 연계도시들이 많은 반면, 대구는 지배력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고, 의존적 연계도시들의 수도 적게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제조업 부문별 화물 네트워크는 1위 도시인 부산을 중심으로 흐름이 집중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영남권 도시지역은 다중심도시지역의 특성을 상당히 보인다는 점에서, 다중심적 지역발전 정책이 권장될 수 있다.

  • PDF

山火後 道德山 소나무林의 初期植生回復과 種多樣性 (Early Begetational Recovery and Species Diversity of Pine Forest after Fire in Mt. Todok)

  • Cho, Young-Ho;Woen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15-23
    • /
    • 1991
  • The early vegetational recovery and species diversity were investigaed in burned pine forest of Mt. Todoksn from 1986 to 1990. The changes of vegetation in the burned site occurred Miscanthus→Miscanthus-Lespedeza→Lespedeza community. The biological spectra based on SD(%) and SP(%) of the burned site were similar to the unburned site with H---e type. The degree of succession(DS) was gradually increased with succession in burned site. The species diversity index(H') and evenness index(e) were declining successional trend, nut dominance index(C) inclining successional trend in the burned site. The domiance-diversity curves of the burned site showed gradual decrease in diversity and evenness, and then slopes of them were progressively steep in early successional stage.

  • PDF

울진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Quantitative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Coastal Waters of Uljin, Korea)

  • 한경호;김동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2-342
    • /
    • 2007
  • 이 연구는 경상북도 울진 연안 해역에서 2002년 1월, 4월, 7월 및 10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에 걸쳐 만조시에 채집된 부유성 난 자치어의 종조성, 양적변동을 연구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채집된 부유성 난은 총 7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멸치, 정어리, 까나리, 참가자미속 어류, 앨퉁이, 보리멸, 기타 난 등으로 분류되었고, 출현량을 보면, 멸치 난이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부유성 난의 38.3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도가 높았으며, 보리멸 난이 25.84%를 차지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18과 25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멸치가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의 90.46%를 차지하여 최우점종이었으며, 다음으로 조피볼락이 자치어의 2.04%를 차지하였다. 이들 2종이 차지한 비율은 92.49%이었으며, 나머지 23개 분류군은 7.51%를 차지하였다. 2002년 울진에서 계절별 종 다양도지수(H')는 0.0878~2.3855였고, 균등도지수는 0.0451~0.9300로 나타났다. 우점도의 경우는 0.3000~0.9914로 종 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와는 반대 경향을 보였다. 정점별로 분석한 종 다양도지수는 0.3035~0.7440으로 정점 2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고, 정점 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우점도의 경우는 0.8919~0.9669로 종 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와는 반대 경향을 보였다. 계절별 군집의 유사도는 여름과 가을에 상대거리 차(0.010)가 가장 적어 군집상이 매우 유사하였고, 정점별로는 정점 1과 정점 4에서 가장 적은 상대거리 차(0.014)를 보여 군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거제도의 담수어류상과 분포상의 특징 (Freshwater Fish Fauna and Distribution in Kojedo, Korea)

  • 손영목;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7
    • /
    • 1998
  • 거제도 지역의 하천을 대상으로 담수어류상과 분포상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 총 10과 24종 2,366개체가 채집되었으며, 담수어가 7과 17종, 주연성 어류가 3과 7종이었다. 우점종은 Zacco temmincki로서 428개체(상대풍부도 : 18.1%)가 채집되었으며 아우점종은 Rhinogobius brunneus로 388개체(16.4%)였다. 그 밖의 우세 종으로는 lksookimia longicorpus(290개체, 12.3%), Oryzias latipes( 178개체, 7.5%), Chaenogobius urotaenia(177개체, 7.5%), Carassius auratus(163개체, 6.9%) 등이었으며, 희소종은 Coreoleuciscus splendidus, Silurus microdorsalis, Coreoperca kawamebari 등이었다. 한국 고유종은 C. splendidus, I. longicorpus, S. microdor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ssp.1, Odontobutis platycephala 등 6종으로 전체 어종수의 25.0%를 차지하였다. 군집구조 분석 결과 종다양도는 연초천이 가장 높은 2.21이었으며, 우점도는 외포천과 아주천이 1.00으로 높게 나타났고, 균등도는 외포천이 0.87로 가장 높았다. Aa형의 하천이 대부분인 관계로 상, 중, 하류의 구분없이 중 상류성 어종이 우세하였으며, 서식 어종수는 하천의 유로가 길고 유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거제도의 북동부에는 L. mediadiposalis, 서남부에는 L. mediadiposalis ssp.1이 서식하는 분리 분포상을 나타내었으며 이와같은 Liobagrus 속 어류의 분포양상의 중요성을 고지리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PDF

동해 중부연안 벌레문치(Lycodes tanak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Korea)

  • 최영민;윤병선;김효선;박정호;박기영;이재봉;양재형;손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43-850
    • /
    • 2013
  • The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Eelpout were studied with 722 specimens collected from March 2011 to December 2012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The main prey of L. tanakae were fish, molluscs and arthropods. Nevertheless annelida, echinodermata and others were found in small amounts in the stomach contents. The L. tanakae stomach was empty of contents in 50.9% of specimens. While smaller size specimens of L. tanakae (less than 40 cm) fed mainly on euphausiids and amphipods, the larger specimens (more than 40 cm) fed on the fish Allolepis hollandi and Icelus cataphractus, and the molluscs Berryteuthis magister and Watasenia scintillans. The main prey items of L. tanakae varied seasonally. The fish Lycodes nakamurai was the dominat prey from November to January during its spawning season. Euphausiids and amphipods of the arthropods were the dominant prey from February to April. The molluscs Berryteuthis magister and Watasenia scintillans were the dominant prey from May to September. The diversity index (H') of diets showed variations by length class and month; the highest values were 2.61 in the length class of 51-55 cm, and the monthly highest were 2.68 in September with 23 species and 2.65 in November with 18 species. The highest dominance index (D') of diets was 0.57 in the length class of 31-35 cm, and the monthly highest was 0.71 in February. Cluster analysis divided prey groups into four groups by length class and three groups by monthly prey items. The gonad index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process of maturation while, contrary, stomach content index decreased during this period.

박실지와 정양지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Paksil and Jungyang Marshes)

  • 이경락;최재신;김한순
    • ALGAE
    • /
    • 제18권4호
    • /
    • pp.273-280
    • /
    • 2003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the Paksil and Jungyang marshes. Water and phytoplankton samples for analys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April 2002 to March 2003. A total of 421 taxa of phytoplankton belonging to eight classes identified. The number of taxa was highest in Bacillariophyceae, followed by Chlorophyceae, Euglenophyceae, Cyanophyceae, Chrysophyceae, Dinophyceae, Xanthophyceae and Cryptophyceae. The standing crops ranged from 1.25 ${\times}$ $10^6$ to 5.85 ${\times}$ $10^6$ cells ${\cdot}l^{-1}$ in Paksil marsh and 0.25 to 9.63 ${\times}$ $10^6$ cells ${\cdot}l^{-1}$ in Jungyang marsh. The highest algal density at Paksil marsh was recorded in October during the high development of Chlorococcales while the lowest value occured in July. In the Jungyang marsh, the maximum algal density was recorded in October when Cryptomonas sp. and Mallomonas sp. accounted for 64% to total cell numbers and the lowest cell density was observed in January due to the decrease of Chlorophyceae. The dominant species were represented by Euglena proxima, Trachelomonas oblonga, Trachelomonas volvocina of Euglenophyceae, Dictyosphaerium pulchellum, Monoraphidium griffithii, Oocystis parva of Chlorophyceae, Dinobryon sertularia, Kephyrion rubri-claustri of Chrysophyceae, Achnanthes minutissima of Bacillariophyceae and Cryptomonas sp. of Cryptophyceae in the Paksil and Jungyang marshes. Phytoplankton diversity(H’) and dominance index varied rather irregularly throughout the sampling period but the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highest diversity(H’Paksil = 3.68, H’Jungyang = 3.63) coincided with the lowest values of dominance(DPaksil = 0.05, DJungyang = 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