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lomite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1초

어상주광산(魚上川鑛山)의 망간광석(鑛石)에 대(對)한 광물학적(鑛物學的) 및 성인적연구(成因的硏究) (Mineralogy and Genesis of Manganese Ores from the Eosangcheon Mine, Korea)

  • 김수진;김성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15권4호
    • /
    • pp.205-219
    • /
    • 1982
  • 어성천 망간광상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흥월리 돌로마이트층과 삼태산 석회암층에 관입한 석영반암맥을 따라 산출되는 표성광상이다. 망간광석은 산화망간광물들과 이에 수반되는 맥석광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산화망간광물들 중 란시아이트와 토도로카이트는 다량으로 산출되며, 버어네사이트, 엔소타이트, 연망간석, 캘코파나이트는 소량으로 산출된다. 맥석광물로는 방해석, 석고, 침철석, 레피도크로사이트, 석영, 견운모등이 산출된다. 산화망간광물들과 맥석광물들의 연구에는 현미경 관찰, 화학분석, 엑스선회절분석, 적회선흡수분광분석, 시차열분석 방법등이 이용되었다. 버어네사이트와 란시아이트의 관계가 엑스선회절분석과 적외선흡수분광분석법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이 두 광물들은 구조적으로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서로 다른 광물종임이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연구에 의하여 확실시된다. 산화망간광물들은 표성환경하에서 교대작용, 용액으로부터의 침전, 재결정작용등에 의하여 생성되었다. 산화망간광물들의 생성순서는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여준다 : (능망간석)-(토도로카이트)-(버어네사이트, 란시아이트)-(엔소타이트, 연망간석, 캘코파나이트).

  • PDF

폐광산으로부터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 중화처리를 위한 반응조 실험 연구 (Studies for Neutralization Teratment of Acid Mine Drainage from Abandoned Mine)

  • 강한;박성민;장윤득;김정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1호
    • /
    • pp.33-45
    • /
    • 2008
  • 폐광산으로부터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 중화처리를 위해 2가지 방법으로 반응조를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화제로 사용한 물질은 방해석이 주 구성광물이여 소량의 돌로마이트를 포함한 석회암이다. 중화 효과는 중화제의 반응 위치와 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반응조 상부에서 산성광산배수와 중화제를 반응 시킬 때 반응 효과가 더 좋으며 중화제의 양이 많을수록 중화되는 속도가 빠르다. 상부에서 중화제와 반응시킬 경우 산성광산배수로부터 침전되는 침전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중화제가 전부 소모될 때까지 반응을 지속시킬 수 있다.

정선지역 철광산에 분포하는 암석의 역학적 특성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s Distributed at a Metal Mine in Jeongseon)

  • 김종우;박찬;김주환;허석;김동규;이동길;조영도;박삼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3호
    • /
    • pp.231-24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재개발되고 있는 정선지역의 철광산에서 현장 초기지압 시험과 수많은 암석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광산의 측압계수는 심도가 깊어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평균값은 1.10으로 나타났다. 본 광산에 주로 분포하는 네 가지 암종인 백운암, 규장암, 화강암, 철광석에 대한 실내시험을 통해 암석의 단위중량, 공극률, 흡수율, 탄성파속도, 일축압축강도, 영률, 포와송비, 인장강도, 쇼어경도, 내부마찰각, 점착력 등의 각종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내시험 결과의 통계분석을 통해 암종별 물성을 비교하였고 물성 상호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는데, 철광석보다는 규장암이나 화강암의 강도특성이 더 컸으며 암석 물성 간의 일반적인 상관관계와는 반대되는 현상도 발견되었다. 또한 Mohr-Coulomb 파괴조건과 Hoek-Brown 파괴조건을 적용하여 네 가지 암석의 파괴조건을 해석하였다.

강원도 영월군 마차리 부근에 분포하는 오오도비스기 문곡층의 속성역사 (Diagenetic history of the Mungok Formation near Machari area, Yongweol, Kangwondo, based on Textural, Isotopic, and Chemical Analyses)

  • 우경식;최승진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
    • /
    • 1993
  • 강원도 영월 마차리 부근에 분포하는 문곡층의 속성역사에 대한 연구를 조직적, 동위원소적 및 미량원소적 결과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속성광물의 생성단계는 각각 그들의 지화학적 결과와 함께 문곡층이 여러 단계의 속성작용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그들은 1) 천해속성작용, 2) 민물속성작용, 3) 얕은매몰속성작용 및 4) 깊은매몰속성작용이다. 천해속성작용은 섬유상 방해석 교질작용과(framboidal) 황철석화작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민물속성작용 동안에는 불안정한 광물(아라고나이트와 고마그네슘 방해석)로 구성된 탄산염 입자들의 용해작용과 재 결정작용, 극피동물 위의 syntaxial overgrowth 작용 및 등립질 방해석의 교질작용이 일어났다. 얕은 매몰 속성환경에서는 쳐어트와 이디오토픽 돌로마이트가 생성되었고 제노토픽 돌로마이트화작용은 스타일로라이트화 작용 전에 일어났을 것이다. 깊은 매몰 속성환경 에서는 saddle 돌로마이트화작용, 2차 규화작용 및 탈돌로마이트화작용이 일어났다.

  • PDF

Platinum Nano-Dispersion via In Situ Processing - Preparation and catalytic Property of Porous $CaZrO_3/MgO/Pt$ Nanocomposite

  • Yoshikazu;Hwang, Hae-Jin;Naoki Kondo;Tatsuki Ohji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63-167
    • /
    • 2001
  • A bulk porous $CaZrO_3/MgO$ composite with plantinum nano-dispersion was synthesized in air atmosphere through the combination of several in situ reactions, including the pyrolysis of $PtO_2$. A mixture of $CaMg(CO_3)_2$(dolomite), $ZrO_2$, $PtO_2$ and LiF (0.5 wt%, as an additive) was cold isostatically pressed at 200 MPa and sintered at $1100^{\circ}C$ for 2 h. The porous $CaZrO_3/MgO/Pt$ composite ($CaZrO_3/MgO$ : Pt=99 : 1 in volume) had a uniformly open-porous structure (porosity: 56%) with three-dimensional (3-D) network and a narrow pore-size distribution, similarly to the porous $CaZrO_3/MgO$ composites reported before. Catalytic Properties (viz., NO direct decomposition and NO reduction by $C_2H_4$) of the $CaZrO_3/MgO/Pt$ composite were investigated up to $900^{\circ}C$. In the absence of oxygen, the NO conversion rate reached ~52% for the direct decomposition and ~100% for the reduction by $C_2H_4$,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porous composite as a multifunctional filter, i.e., simultaneous hot gas-filtering and $de-NO_x$ in one component.

  • PDF

옥천대(沃川帶)의 지질(地質) 및 광물자원(鑛物資源)에 관(關)한 연구(硏究) -평창(平昌)~제천간(堤川間)에 분포(分布)하는 옥천대하부(沃川帶下部)와 기반(基盤)의 암상(岩相) 및 화성(火成) 관입체(貫入體)의 암질(岩質)에 대(對)한 연구(硏究)- (Petrologic Study on the Basement and the Lower Part of Ogcheon Zone and Igneous Intrusives in the Pyeongchang-Jecheon Area)

  • 이대성;나기창;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4호
    • /
    • pp.381-397
    • /
    • 1985
  • A petrological study has been done in the pyeongchang-Jaecheon area which is a northwestern part of the basement of Ogcheon zone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of the area to the Nogjeon-Yeongchun area which is the antipodal basement of the zone in the petrological and geotectonical view points. The major units of the area are Precambrian granitic gneissic complex, banded gneiss, linea ted leucocratic gneiss and pegmatitic leucogranitic gneiss in the west, elongated exposure of quartz schist (or partly quartzite) and phyllite, named as Jungdaegal-bong Group correlated to the lower sequence of Joseon Group, in the middle, and limestone and calcic dolomite, Iptanri Formation, correlated to the middle of Joseon Group in the east. Igneous plutons are distributed in the areas of gneissic complex and limestone formation as well as in the Eosangcheon and Daedaeri areas in the southeastern out of the area.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gneissic complex are the products of granitization to metamorphism of amphibolite facies in the order of above mentioned from the metasediments of schists and calcareous rocks. A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phyllite of Jungdaegal-bong Group is the presence of syntectonically segregated quartz rods in the forms of lens, swirl or boudinage in evenly distributed in the phyllitic to chloritic matrix. Igneous rocks range in composition from gabbro through diorite, granodiorite, to schistosed and porphyritic granites in stock and dike. The orogenic movement of the Ogcheon zone initiated in the middle Proterozoic time, pre-sedimentation of Ogcheon Group and superposed the granitization in Permian, Jurassic Daebo orogeny with granitic batholiths and stocks, and Cretaceous plutonic intrusion.

  • PDF

수산리(水山里)-황강리지역(黃江里地域)의 지질구조(地質構造)와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The Study of Structure and Petrology of The Area Between Susanri and Hwanggangri)

  • 김옥준;김규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7권3호
    • /
    • pp.101-122
    • /
    • 1974
  •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between Susanri and Hwanggangri where the formations of Okcheon group and Chosun group supposedly come in contact so that the area is structurally very import.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meta-volcanic rocks distribute from south to north along contact zone of Okcheon and Chosun groups in the center of the area. Meta-volcanic rocks seem to be originated from the andesite or andesitic basalt rocks which was known to be Surchangri formation consist of phyllite and black slate by previous workers. The meta-volcanic rocks intruded along the fault zone one existed between Okcheon and Chosun groups but obliterated at present by the intrusion of volcanic rocks. The fault seems to be overthrust, and one of the positive evidences of thrust fault is the Yamisan nappe structure in Yamisan near Susanri. This interpretation coincides with O.J. Kim's work which states that the Precambrian Okcheon group is largely overturned and thrusted over the Chosun group. The relation between the Surchangri and the Majeonri formation marks facies change. This fact together with northpluging anticlinal structure made it possible that both formation came into contact along direction without fault. Yongam formation is not overlain unconformably used to be believed by previous workers, but interbed in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Chosun goup. It is also clarified that the rock formerly designated as limesilicate rock was meta-liparite. The origin of amphibole pebbles in the Kunjasan formation is of primary and secondary ones; the secondary pebbles were formed by metamorphism of the fragments of limestone or dolomite.

  • PDF

소구경 시추공에서의 중성자검층 수치모델링 연구 (A study on slim-hole neutron logging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

  • 구본진;남명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5권4호
    • /
    • pp.219-226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가 미약했었던 중성자검층 수치모델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추공 환경에서의 검출기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성자검층 환경을 MCNP 알고리듬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MCNP 알고리듬은 방사선 수송 시뮬레이션이 및 3차원 기하구조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전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먼저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연구의 검출기반응 결과 그래프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중성자 검층 반응 분석이 가능한 중성자 검층기의 일반적인 특징에 기초하여 수학적으로 중성자검층기 모형을 구성하여 반응을 계산하였다. 먼저, 석회암, 사암, 돌로마이트 등과 같은 매질에서 공극률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며 수치 계산함으로써, 이 연구에서 고려하고 있는 중성자검층기의 교정곡선(calibration chart)을 도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실제 중성자검층 시 고려해야 할 공내수 유무에 의한 반응 변화, 염수가 중성자검층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함으로써 시추공 환경 변화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공극률을 해석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골재용 암석의 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과 콘크리트용으로서의 적합성 연구 (Minera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me Rocks as Aggregates and Their Suitabulity for Concrete)

  • 진호일;민경원;연규석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3-193
    • /
    • 1998
  • 이 연구는 몇 가지 종류의 골재용 암석들에 대한 광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이들과 물리적.역학적 특성간의 상호관계 및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 암석들의 광물학적.화학적 및 물리적.역학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BJ 채석장에서 채취한 화강암과 KB, HI, SK 채석장에 채취한 호상 편마암, 홍천강변에서 채취한 규암 등은 파동소광을 보이는 석영이 다량 함유되어 광물학적으로 알칼리-실리카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멘트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다른 용도의 골재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SY채석장에서 채취한 석회암의 경우에는 알칼리-탄산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백운석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골재로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KB채석장에서 채취한 안구상 편마암과 SA 채석장에서 채취한 섬록암은 흑운모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HI 채석장에서 채취한 안구상 편마암과 홍천강변에서 채취한 편마암 등은 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어떠한 용도의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양(襄陽) 철광상(鐵鑛床)의 철(鐵)을 부존(賦存)하는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의 성인(成因) (Origin of the Magnetite-Bearing Amphibolites from the Yangyang Iron Mine, Korea: New Geochemical Data and Interpretation)

  • 소칠섭;김상명;손대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8권4호
    • /
    • pp.175-182
    • /
    • 1975
  • 본 연구는 양양(襄陽) 철광산(鐵鑛山) 의 철(鐵)을 부존(賦存)하고 있는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의 성인(成因) 규명을 목적으로, 습식(濕式) 및 방출분광분석적(方出分光分析的) 방법을 통하여 얻은 18개의 주성분(主成分) 및 희유성분(稀有成分)의 data를 각종 Niggli 도표에 적용시키고 variaticn trend를 검토한 결과이다. 지금까지의 각 대륙(大陸)에 분포하는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의 화학적(化學的)인 연구결과로는 거의 모든 각섬석질암이 변성퇴적암류(變成堆積岩類)의 형태로 산출될지라도 화성기원(火成起源)으로 밝혀져 왔으나 양양(襄陽) 철광산(鐵鑛山)의 함철(含鐵) 각섬석질암(角閃石質岩)은 준일각섬석질암(準一角閃石質岩), 특히 pelite-carbonate mixture의 특성(特性)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즉 Niggli 값을 사용한 각 도면에서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시료들은 분산(分散)된 분포(分布) 및 퇴적(堆積)영역, 특히 pelite-carbonate mixture의 trend를 잘 따르고, Cr, Co 및 Ni의 함량이 매우 낮으며 Cr/mg, Co/mg 도포에서퇴적기원(堆積起源)의 특정인 negative trend를 뚜렷하게 나타낸다. 한편 높은 oxidation ratio의 값(>30)은 상기(上記) 결과를 더욱 뒷바침해준다. 이러한 모든 현상은 경기변성대(京畿變成帶)에서 퇴적기원(堆積起源)으로 판명된 준일각섬석질암(準一角閃石質岩)(소칠섭(蘇七燮), 1974) 이 갖는 특성과 유사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