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genetic history of the Mungok Formation near Machari area, Yongweol, Kangwondo, based on Textural, Isotopic, and Chemical Analyses

강원도 영월군 마차리 부근에 분포하는 오오도비스기 문곡층의 속성역사

  • Woo Kyung Sik (Department of Ge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ung Jin (Overseas Petroleum Development Association of Korea)
  • 우경식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 최승진 (해외석유개발협회)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e diagenetic history of the carbonate rocks of the Mungok Formation near Machari area, Kangwondo, was investigated based on textural, isotopic, and chemical data. Paragenetic relationship among diagenetic minerals, coupled with their distinct geochemical contents, shows that the Mungok Formation have undergone several stages of diagenetic events: 1) shallow marine, 2) meteoric, 3) shallow to intermediate burial, and 4) deep burial diagenesis. Shallow marine diagenesis includes fibrous calcite cementation, micritization, and framboidal pyritization, and meteoric diagenesis involved dissolution and recrystallization of unstable allochems (both aragonite and HMC), syntaxial overgrowth on echinoderm fragments, and equant calcite cementation. During shallow to intermediate burial, idiotopic dolomite and chert formed, and xenotopic dolomitization took place before stylolitization of the rocks. After the rocks were deeply buried, saddle dolomitization, second stage of silicification, and dedolomitization occurred.

강원도 영월 마차리 부근에 분포하는 문곡층의 속성역사에 대한 연구를 조직적, 동위원소적 및 미량원소적 결과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속성광물의 생성단계는 각각 그들의 지화학적 결과와 함께 문곡층이 여러 단계의 속성작용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그들은 1) 천해속성작용, 2) 민물속성작용, 3) 얕은매몰속성작용 및 4) 깊은매몰속성작용이다. 천해속성작용은 섬유상 방해석 교질작용과(framboidal) 황철석화작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민물속성작용 동안에는 불안정한 광물(아라고나이트와 고마그네슘 방해석)로 구성된 탄산염 입자들의 용해작용과 재 결정작용, 극피동물 위의 syntaxial overgrowth 작용 및 등립질 방해석의 교질작용이 일어났다. 얕은 매몰 속성환경에서는 쳐어트와 이디오토픽 돌로마이트가 생성되었고 제노토픽 돌로마이트화작용은 스타일로라이트화 작용 전에 일어났을 것이다. 깊은 매몰 속성환경 에서는 saddle 돌로마이트화작용, 2차 규화작용 및 탈돌로마이트화작용이 일어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