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llar spo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잔디 동전마름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 미생물의 선발과 효력 검정 (Development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 for Biological Control of Dollar Spot of Turfgrass)

  • 신택수;정우철;도기석;심규열;이재호;최기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1-201
    • /
    • 2006
  • 퍼팅 그린의 한지형 잔디에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동전마름병은 Sclerotinia homeocarpa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법을 통하여 동전마름병을 방제하고자 전국의 골프장과 산, 밭 토양에서 길항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길항 미생물은 동전마름병의 병원균인 S. homeocarpa에 대한 항균활성 및 균사 생장 억제력, 배양성 등을 고려하여 선발하였고, 폿트와 퍼팅 그린의 예비 묘포지에서의 생물 검정 실험을 통하여 효력을 검정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은 Bacillus subtilis EW42-1과 Trichoderma harzianum GBF-0208이었고, 생물 검정 실험 결과 화학 농약 대조구인 터부코나졸 유제와 대비하여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다.

Creeping Bentgrass에서 미생물제에 의한 Pythium Blight, Brown Patch 및 Dollar Spot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Microbial Products on Pythium Blight, Brown Patch and Dollar Spot of Creeping Bentgrass)

  • 황연성;최준수;김영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37-244
    • /
    • 1996
  • 길항곰팡이 3종(Aspergillus sp. A101, Penicillium sp. B202, Trichoderma sp. C303), 길항세균 3종(Arthrobacter sp. AN303)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균주를 배양하여 creeping bentgrass 양묘장에 처리하여 Pythium blight, brown patch 및 dollar spot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길항미생물 6종의 배양액을 살균제와 병용하여 그린에 살포하여 이들 토양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양묘장에서는 미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Pythium blight 억제효과가 커 3회 이상 미생물제 처리시 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brown patch와 dollar spot은 미생물제에 의한 방제효과가 크지 않았으며, 살균제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미생물제와 살균(Pythium blight 방제용 살균제 제외)를 병용하여 처리한 그린에서는 살균제 단독처리와 비교할 때 brown patch는 유의적으로 억제되었고 Pythium blight와 dollar spot은 차이가 없었다.

  • PDF

크리핑 벤트그래스 그린에서 동전마름병 방제 (Fungicides for Dollar Spot Suppression on Creeping Bentgrass Greens)

  • 데릭셋트;이상국;랜디케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3-47
    • /
    • 2011
  • 크리핑 벤트그래스는 골프장의 그린과 페어웨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종중의 하나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는 곰팡이병류인 동전마름병에 가장 취약한 종이며 동전마름병은 잔디의 잎에서 그 병반이 나타나며 높은 습도와 낮의 온도 그리고 비교적 낮은 밤의 온도에서 발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곰팡이 병균류를 제어하기 위한 약제들에 관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혼합된 약제에 의해 관리된 잔디는 단일품에 의해 관리된 잔디에 비해 더 좋은 잔디의 질을 나타내지 못했다. 이 부분에 대한 정확한 원인이 규명이 되지 않았으며 비료프로그램과 환경에 의한 영향이 약제의 사용과 잔디의 질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잔디의 질병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골프코스 그린에서 발생하는 동전마름병의 방제 할 수 있는 약제프로그램과 잔디의 품질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9가지 약제조합이 이 연구에서 사용이 되었다. 동전마름병에 의한 피해와 잔디의 품질이 G-2/L-93 혼합된 크리핑벤트그래스 그런에서 측정이 되었다. Fore를 제외한 모든 조합이 동전마름병의 방제에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Fore의 경우 동전마름병의 피해가 30%까지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Fore의 낮은 잔디품질은 동전마름병의 방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잔디 동전마름병의 발생정도가 다른 골프장 그린 조건에서 살균제 혼용살포에 의한 상승적 방제 효과 (Synergistic Interaction of Fungicides in Mixtur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6-101
    • /
    • 2012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잔디병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 thiophanate-methyl, chlorothalonil, trifloxystrobin, boscalid를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propiconazole과 다른 4개의 약제를 각각 혼용하여 단용처리구 대비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평균 18.3, 66.7%의 발생을 보였다. 약제의 약효는 병 발생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살균제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방제 효과는 발병도가 높았을 때보다 낮았을 때 우수하였다. 처리된 살균제 중 boscalid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살균제 혼용처리구에서는 propiconazole + thiophanate-methyl 처리구를 제외하고 단독처리구 대비상승효과가 발견되었으나, 2개 포장 모두 혼용처리구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장에서 동전마름병 방제 시 병 발생 조건에 따라 방제전략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 골프장에서 Sclerotinia homoeocarpa에 의한 잔디동전마름병의 발생 (Occurrence Dollar Spot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in Turfgrass of Golf Course in Korea)

  • 심규열;민규영;신현동;이현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41-250
    • /
    • 2000
  • In 1997, a new disease on creeping bentgrass and Kentucky bluegrass occurred in the green and fairway of a few golf courses in Korea. The disease spread gradually throughout the country and became a threat to turfgrass management. Symptoms of the disease consisted of small, circular, and sunken patches sized 3~5cm in diameter. The disease named as a dollar spot following its characteristic symptoms of circular blight and bleach on the green. The disease peaked two times in a year from April to June and from late August to October and white cottony mycelia of the causal fungus developed on diseased turfs in the early morning when the conditions were favored. A causal fungus wa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infected tufgrass and seven isolates originated from seven golf courses located in six province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The fungus produced abundant white aerial mycelia on PDA and turned to dark gray or light brown as it aged. Width of the mycelium was ca. $5~8\mu\textrm{m}$. While sclerotia were not readily formed on the medium, scattered small and dark colored stromata were developed on the surface. The fungus grew well on PDA between 5 to $30^{\circ}C$ and maximally around $25^{\circ}C$. Based on investigated myc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causal agent of dollar spot was identified as Sclerotinia homoeocarpa. The fungus showed strong pathogenicity to several turfs as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s, and zoysiagrass.

  • PDF

Sclerotinia homoeocarpa에 의한 잔디동전마름병(Dollar spot)의 약제 저항성균 발생 및 방제 (Occurence of Chemical Resistance and Control of Dollar Spot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in Turfgrass of Golf Course)

  • 심규열;민규영;신현동;이현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1
  • Antifungal activity of 20 chemicals registered to turfgrass diseases was evaluated. Among the chemicals, iprodione, benomyl, iprodione+thiram, pencycuron+tebuconazole, hexaconazole, and iprodione+thiophanate-methyl exhibited high antifungal activity to the dollar spot fungus. All isolates were greatly inhibited by the chemicals at the concentration over 32ppm($\mu\textrm{g}$/ml). However, sensitivity of the isolates to chemicals was varied at the lower concentration as 8 and 16 ppm as follows. The isolate originated from Ora golf course was resistant to iprodione and iprodione+thiophanate methyl, Gonjiam isolate to iprodion, Youngpyung isolate to iprodione+thiram, and Dogo isolate to iprodione+thiram, pencycuron+tebuconazole, and tebuconazole. It was found from this study that the varied chemical resistance among the isolate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hemical in the golf course. Consequently, when a chemical was applied more often times than the others to the golf course, the fungal isolates originate from the field showed higher resistance to the former chemical. Effects of the chemicals on control of the dollar spot was evaluated in the field. All tested chemicals revealed over 70% disease control efficacy, however, mepronil+propiconazole was the best showing 83% control efficacy and followed by fenarimo, iprodione, terbuconazole, thiram, and thiophanate-methyl.

  • PDF

크리핑벤트그래스와 애뉴얼블루그래스 그린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살균제 효과 평가 (Evaluation of Fungicides for Dollar Spot Control on Creeping Bentgrass and Annual Bluegrass Putting Green)

  • 제임스 팝코;옥창호;정근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1-164
    • /
    • 2010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북미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잔디병이다. 동전마름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잦은 약제처리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전마름병에 대한 농약의 단용 혹은 다른 약제와의 혼용 처리를 통해 약제의 효과를 평가하고,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브라운 패치(brown patch)와 Pythium aphanidermatum에 의한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이차 방제효과(secondary effect)도 조사하였다. 평가기간동안 동전마름병은 유리한 기상조건으로 인하여 평가하기에 적당한 병 발생을 보였다. 처리한 살균제 중 Rhapsody 단용처리를 제외한 모든 살균제의 단용 혹은 혼용처리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유의성 있는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동일한 처리구에서 브라운 패치에 대한 병 방제효과도 인정되었다. 모든 살균제에서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통화선물의 가격예시 기능과 변동성 전이효과 (The Price Discovery ana Volatility Spillover of Won/Dollar Futures)

  • 김석진;도영호
    • 재무관리연구
    • /
    • 제23권1호
    • /
    • pp.49-67
    • /
    • 2006
  • 본 논문은 2005년 3월 2일부터 2005년 5월 30일까지 현물환율, 통화선물가격과 통화선물거래량의 일중자료 각각 4,473개를 사용하여 원/달러 통화선물의 가격예시 기능과 변동성 전이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단위근 검정에서 현물환율과 통화선물가격은 단위근이 있는 불안정한 시계열이었지만, 공적분 검정에서 두 시계열이 장기적 균형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현물환수익률, 통화선물수익률, 통화선물거래량은 안정적인 시계열이었다. 나아가, 현물환수익률과 통화선물수익률의 변동성에 비대칭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변량 GARCH 오차수정(BGARCH-EC) 모형의 평균방정식 분석결과, 통화선물수익률의 증가가 5분 후 현물환수익률을 증가시켰다. 이는 통화선물수익률이 현물환수익률을 선행한다는 것으로 가격예시 기능이 작동함을 의미한다. 또한 두 수익률이 이루는 장기적인 균형관계는 현물환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분산방정식의 분석결과, 통화선물수익률에 기인하는 단기적 충격이 현물환수익률의 조건부 분산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화선물수익률이 현물환수익률에 대해서 변동성 전이효과를 가짐을 뜻한다. 통화선물거래량 더미 변수가 두 수익률에 대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두 수익률의 조건부 분산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 PDF

이변량 GJR-GARCH모형을 이용한 국제통화선물시장과 통화현물시장간의 비대칭적 인과관계 및 시장효율성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Asymmetric Correlation and Market Efficiency Between International Currency Futures and Spot Markets with Bivariate GJR-GARCH Model)

  • 홍정효
    • 재무관리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0
    • /
    • 2010
  • 본 연구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호주달러, 원달러 및 브라질 레알화 통화선물시장과 현물시장 수익률사이의 선도-지연관계, 변동성의 비대칭적 인과관계 및 시장효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통화현 선물시장 수익률간의 선도 지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VAR(vector auto regressive)모형에 기초를 둔 Granger 인과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동성의 비대칭적인 정보전달메커니즘 분석은 시간변동MA(1)-GJR-GARCH(1, 1)-M모형을 도입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ranger 인과관계분석결과 각 통화선물 및 현물시장사이에는 피드백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통화선물시장의 현물시장에 대한 가격발견기능이 통화현물시장의 선물시장에 대한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A(1)-GJR-GARCH(1, 1)-M모형을 추정한 결과, 각국 통화 현 선물시장사이에는 피드백적인 조건부평균이전효과(conditional mean spillovers)가 강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선물시장의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동성의 비대칭적인 전이효과를 분석한 결과, 각국 모두 통화 선물시장에서 현물시장으로의 비대칭적인 변동성이전효과가 강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통화현물시장에서 선물시장으로는 호주달러현물시장을 제외하고 나머지 시장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적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국 통화선물시장과 현물시장사이의 대칭적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로부터 통화 선물시장이 현물시장에 대한 가격발견기능이 지배적이며 각 통화 현 선물시장은 정보에 비효율적인 시장임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는 주식시장을 연구한 Stoll and Whaley(1990), Abhyankar(1995), Brooks et al.(2001) 등의 연구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잔디에 발생한 달라스팟 병의 주요 원인균인 Sclerotinia homoeocarpa의 동정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clerotinia homoeocarpa Causing Dollar Spot Disease in Zoysiagrass)

  • 박대섭;김경덕;염주립;오병석;박병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94
    • /
    • 2005
  • 위에서 골프장의 안양 중지 이병 잎에서 분리한 병원균인 달라스팟 유사 병원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2000년도 국내에 처음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뚜렷하게 진전된 연구가 보고 되지 않아 향후 사전 예방과 발생시 방제 법을 강구하기 위함과 아울러 코스관리자의 면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하여 병원균 분리, 동정 및 특성을 한지형 잔디(Agyostis palustris Huds. cv Penncross)에서 발생하는 달라스팟 병원균과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1.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Sclerotinia homoeocarpa 에서 보이는 온도에 대한 민감도를 새로운 병원성 Scz1 균주에서도 볼 수있어 특정온도에서의 생장억제는 안양 중지 달라스팟 병의 발병하는 시기뿐만 아니라 병방제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병원균 균사 특성에서 전자현미경사진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웠으나, PDA배지상에서의 Scz1와 Scz2 색상은 동일한 반면 Scb1균사색상과는 차이가 남으로 향후 간단하게 균사색상으로 식별이 용이 할 것이다. 3. 실험실상에서 병원균의 약제 민감도 측정결과는 이프로디온과 프로피코나졸 약제가 우수하였다. 4. 병 접종 실험을 통하여 분리된Sczl 균주가 안양 중지에 대한 기주 특이성을 보임으로 조이시아 달라스팟의 주요 병원균으로 밝혀졌다. 5. Scz1의 병원성은 안양 중지에 대한 기주 특이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