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ision of work region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 및 분포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the Intestines of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82-788
    • /
    • 2008
  • 경골어류 4종(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장을 네 부위로 나누워 아홉 종류의 biotinylated lectin들(DBA, SBA, PNA, BSL- I , RCA- I , sWGA, UEA- I 및 Con A)로 반응시켰다. 조피볼락을 제외하면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용치놀래기 장 상피는 모든 부위에서 D-glucose/mannose 잔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조피볼락,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 모든 부위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beta}$-N-acetyl-D-gal-actosamine가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조피볼락의 근위장, 중간장 및 원위장에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및 ${\alpha}$-D-galactose도 함유되어 있었으나 직장에는 이들 당 잔기들이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송곳니베도라치에는 ${\beta}$-N- acetyl-D-galactosamine 외에 ${\beta}$-N-acetyl-D-glucosamin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으며, 졸복에서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D-galactos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다.

Switchable Uncompensated Antiferromagnetic Spins: Their Role in Exchange Bias

  • Lee, Ki-Suk;Kim, Sang-Koog;Kortright J.B.;Kim, Kwang-Youn;Shin, Sung-Chul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0권1호
    • /
    • pp.36-39
    • /
    • 2005
  • We report element-resolved and interface-sensitive magnetization reversals investigated from an oppositely exchange-biased NiFe/FeMn/Co structure by employing soft x-ray resonant Kerr rotation measurements. We have found not only switchable uncompensated antiferromagnetic regions with its sizable thicknesses at both interfaces of the FeMn layer but also their strong coupling to the individual ferromagnetic layers. These experimental results provide a better insight into experimentally observed reductions in exchange-bias field on the basis of an interface-proximity model proposed in this work.

A trilinear stress-strain model for confined concrete

  • Ilki, Alper;Kumbasar, Nahit;Ozdemir, Pinar;Fukuta, Toshibum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8권5호
    • /
    • pp.541-563
    • /
    • 2004
  • For reaching large inelastic deformations without a substantial loss in strength, the potential plastic hinge regions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members should be confined by adequate transverse reinforcement. Therefore, simple and realistic representation of confined concrete behaviour is needed for inelastic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this study, a trilinear stress-strain model is proposed for the axial behaviour of confined concrete. The model is based on experimental work that was carried out on nearly full size specimens. During the interpretation of experimental data, the buckling and strain hardening of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are also taken into account. The proposed model is used for predicting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confined concrete specimens tested by other researchers. Although the proposed model is simpler than most of the available models, the comparisons between the predicted results and experimental data indicate that it can represent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confined concrete quite realistically.

Anodic Oxidation Behavior of AZ31 Magnesium Alloy in 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Various Na2CO3 Concentrations

  • Moon, Sungmo;Kim, Yeajin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1-338
    • /
    • 2016
  • In this work, anodic oxidation behavior of AZ31 Mg alloy was studied as a function of $Na_2CO_3$ concentration in electrolyte by voltage-time curves and observation of surface appearances and morphologies after the anodic treatments, using optical microscopy and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CSLM). The voltage-time curves of AZ31 Mg alloy surface and surface appearances after the anodic treatments showed three different regions with $Na_2CO_3$ concentration : region I, below 0.2 M $Na_2CO_3$ where shiny surface with a number of small size pits; region II, between 0.4 M and 0.6 M $Na_2CO_3$ where dark surface with relatively low number of large size burned or dark spots; region III, more than 0.8 M $Na_2CO_3$ where bright surface with or without large size dark spots were obtained. The anodically treated AZ31 Mg alloy surface became significantly brightened with increasing $Na_2CO_3$ concentration from 0.5 M to 0.8 M which was attribute to the formation of denser and smoother surface films. Pits and porous protruding reaction products were found at relatively large size and small size spots, respectively, on the AZ31 Mg alloy surface in low concentration of $Na_2CO_3$ less than 0.2 M. The formation of pits is attributed to the result of repetition of the formation and detachment of porous anodic reaction product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this work, it is concluded that more uniform, denser and smoother surface of AZ31 Mg alloy could be obtained at more than 0.8 M $Na_2CO_3$ concentration if there is no other oxide forming agent.

수치임상도 작업매뉴얼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uideline in Digital Forest Type Map)

  • 박정묵;도미령;심우담;이정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8-182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도 현행화 제작(DB구축 작업매뉴얼)" (이하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을 검토하고, 1:5k 수치임상도(이하 임상도)에 평가항목을 적용하여 제작과정과 방법에 대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임상도에 적용되는 평가항목은 구획과 속성에 관한 사항으로 구분하였으며, 행정구역별 임분구조 특성과 파편화 분석을 통하여 작업매뉴얼의 제작과정과 방법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작업매뉴얼의 구획에 관한 사항은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항목에서 제작과정이 제안되어있고 전국을 5분할하여 자연적변화지는 5년 주기로 인위적 변화지는 매년 갱신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간 구축된 임상도 DB의 일관성을 알아보고자 파편화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산림 패치수(Number of Patches)는 증가하고, 평균패치크기(Mean of Patch Size)가 감소하여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증가하였으며, 17개 광역시 도 중 4개의 지역은 파편화 정도와 형태의 복잡성이 감소하여 지역 간의 편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산림의 구분' 항목에서 최소구획면적은 0.1ha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임상도에서 구획된 객체(폴리곤 단위) 면적을 산출하여 최소구회면적 기준을 검토한 결과 전체 객체 중 최소구획면적 기준 미만이 되는 객체의 비율은 약 26%나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인위적변화지와 자연적변화지'의 갱신 주기와 정의 확립이 필요하며, 최소구획면적 기준에 대한 구획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작업매뉴얼의 속성에 관한 사항은 '수종변화' 항목에서 지형지물체계를 52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 입목지는 43종으로 분류하고 있어, 임상도에서 구축된 수종정보를 추출하여 분포비율을 검토하였다. 입목지 수종 중 분포비율이 0.1% 미만인 수종은 23종으로 약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3종은 소나무와 기타수종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무립목지의 관목덤불은 지형지물체계에서 분류하고 있지만, '산림의 구분' 항목에서는 정의 및 판독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종변화'의 지형지물체계의 재정립과 관목덤불에 대한 정의 정립이 필요하다.

방사선사의 근골격계 증상과 유해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in Radio-Technologists)

  • 이향섭;한만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39-247
    • /
    • 2008
  • 본 연구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신체 부위별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과 이런 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방사선사의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목적이 있고 조사대상으로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의 현 근무부서에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사 219명을 대상, 조사기간은 2007년 6월 13일부터 2007년 6월 27일까지였고, 설문지는 전체 방사선사 219명 중 180명에게 무작위로 배부하였으며, 그 중 14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자기기입식 설문서(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이용하였고 조사 내용은 근골격계 자각증상부위 및 증상 유해 요인에 대해 구성해 보았다. 자각증상에 대한 조사는 미국의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에서 정한 근골격계 증상 기준을 근거로 한국 산업안전공단(2003)에서 작성한 근골격계 부담 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KOSHA code H-30-2003)의 근골격계 질환 증상조사표를 이용하였고 증상 유해 요인은 노동부 고시 2003-24의 11가지 부담 작업 기준을 가지고 유해 요인 조사 항목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신체 부위별 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교차비를 계산하기 위하여 증상호소 유무를 종속 변수로 하고, 일반적 변수 및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상태에서 노동부 고시 작업 부담 11개 항목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11개 항목 중 신체 부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만 선택하여 Forward Wald 방법을 이용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위험 요인의 교차비를 계산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버젼 12.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 PDF

Reproducing Summarized Video Contents based on Camera Framing and Focus

  • Hyung Lee;E-Jung Cho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85-9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장편의 드라마나 영화에서 스토리 기반의 축약된 요약본을 자동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촬영 단계에서 황금분할을 고려한 공간감 있는 프레임 구성과 내용 전달 차원에서 시청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한 관심 대상에 대한 초점을 기본 전제로 했다. 이에 적정한 프레임들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고려하기 위해서 기존의 씬(scene) 및 숏(shot) 검출에 대한 연구, 초점과 관련된 블러 정도를 파악하는 연구들에서 활용되었던 요소 기술들을 활용했다. 유튜브에서 공유되는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변환한 후 프레임별로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영역으로 프레임 전체 영역과 3개의 부분 영역으로 구분했고, 해당 영역별로 각각 라플라시안 연산자와 FFT를 적용한 결과들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관성 있고 강건한 FFT를 선택했다. 프레임 전체에 대한 계산값과 3개 영역의 계산값들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선명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을 기반으로 대상 프레임을 선별했다. 이렇게 선별된 결과를 토대로 숏 내에서 프레임들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프라인 변화점 탐지기법을 적용한 결과와 접목시켜 최종 프레임들을 추출했고, 이를 기반으로 편집결정리스트를 구성하였으며, F1-스코어 75.9%를 갖는 62.77%로 축약된 요약본을 제작했다.

Characterization of dark core and blue patch in Mong Hsu ruby

  • Maneeratanasarn, P.;Wathanakul, P.;Kim, Y.C.;Choi, H.M.;Choi, B.G.;Shim, K.B.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5-59
    • /
    • 2011
  • Mong Hsu rubies from Myanmar include typically the dark core and blue patch but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merely focused on the dark core. This work is aimed to understanding clearly the characteristic of the dark core and blue patch of Mong Hsu rubies. It was found from the FTIR analysis that the dark core and blue patch region showed the absorption peaks of boehmite ($1986\;cm^{-1}$), diaspore ($2115\;cm^{-1}$) and water ($3400{\sim}3900\;cm^{-1}$) but the absorption peaks of O-H stretching ($3309\;cm^{-1}$ and $3078\;cm^{-1}$) were found only in blue patch region. The UV-VIS-NIR analysis of the dark core region revealed the stronger absorption of $Cr^{3+}$ at 405 and 554 nm compared to the blue patch region. In range of 600~800 nm, the UV absorption characteristic at 659, 675 and 693 nm assigned to $Cr^{3+}$ of core group samples is distinct from that of blue patch. The SEM-EDS examinations disclosed the existence of lots of micro-cracks and pores in the core regions compared to blue patch region.

신개발 심층시비장치를 이용한 심층시비가 벼와 콩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er Deep Placement on Rice and Soybean Yield Using Newly Developed Device for Deep Fertilization)

  • 홍성창;김민욱;김진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4-51
    • /
    • 2023
  • Nitrogen fertilizer is an essential macronutrient that requires repeated input for crop cultivation. Excessive use of nitrogen fertilizers can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by discharging NH3, NO, and N2O into the air and leaching into surrounding water systems through rainfall runof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reduce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used without compromising crop yields. Fertilizer deep placement could be a technology employ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nitrogen fertilizer use. In this study, a deep fertilization device that can be coupled to a tractor and used to inject fertilizer into the soil was developed. The deep fertilization device consisted of a tractor attachment part, fertilizer amount control and supply part, and an underground fertilizer input part. The fertilization depth was designed to be adjustable from the soil surface down to a depth of 40 cm in the soil. This device injected fertilizer at a speed of 2,000 m2/hr to a depth of 25 to 30 cm through an underground fertilizer injection pipe while being attached to and towed by a 62-horsepower agricultural tractor. Furthermore, it had no difficulty in employing various fertilizers currently utilized in agricultural fields, and it operated well. It could also perform fertilization and plowing work, thereby further simplifying agricultural labor. In this study, a newly developed devi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ep fertilizer placement (FDP) compared to those with urea surface broadcasting, in terms of rice and soybean grain yields. FDP increased the number of rice grains, resulting in an average improvement of 9% in rice yields across three regions. It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soybean pods, resulting in an average increase of 23% in soybean yields across the three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wly developed deep fertilization device can efficiently and rapidly inject fertilizer into the soil at depths of 25 to 30 cm. This fertilizer deep placement strategy will be an effective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 used to increase rice and soybean yields, in addition to reducing nitrogen fertilizer use, under conventional rice and soybean cultivation conditions.

Chlrorophyll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ata from Suspended and Sinking Particulate Matter in Prydz Bay, Antarctica

  • Noh, Il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3-334
    • /
    • 2011
  • Suspended and sinking particles were collected in austral summer during ODP Leg 119 to the Indian Ocean sector of the Antarctic Ocean. Field work was carried out at four sampling sites in Prydz Bay. Two of these sites were located in the Outer Bay, and two in the Inner Bay. At the four locations, a total of ten deployments of a sediment trap array were made.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both in suspended and sinking particulate matter in Prydz Bay were analyzed using HPLC. Chlorophylls a and c were the dominant algal pigments both in suspended and sinking particles. Because of the abundance of fecal pellets at Site 740, the mean fluxes at 200 m averaged 6 fold greater than that at 50 m. This implies that a dense swarm of zooplankters, presumably large copepods and/or salps, may "feed and excrete" mainly in between 100-200 m depths at this site, closest to land in Prydz Bay. Interestingly, The flux of phaeophorbide a was generally similar in magnitude to that of chlorophyll a throughout the study areas. This is an evidence that materials escaping from near-surface regions in austral summer derive mainly from the gazing of zooplankters. "New production" from sediment-trapped CHL pigment fluxes in Prydz Bay was estimated using f-ratio of 0.15, ranging from 520 to $1,605\;{\mu}gC\;m^{-2}\;da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