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erticulum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19초

An incidental case of human Heterophyes nocens infection diagnosed by sectional morphology in a biopsy specimen of the small intestine

  • Ryang, Yong-Suk;Lee, Chi-Young;Lee, Kyu-Jae;Lee, Soon-Hyung;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3호
    • /
    • pp.189-194
    • /
    • 1999
  • A case of human infection with Heterophyes nocens (Heterophyidae) was incidentally found in a biopsy specimen of the Meckel's diverticulum at the upper part of the small intestine. The patient was a 58-year-old man living in a rural area of Talsong-gun, Kyongsangbuk-do.He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epigastric pain, indigestion, and abdominal discomfort for 3 months, and severe diarrhea, abdominal pain, and vomiting for about 1 month before hospitalization. Endoscopy of the upper part of the small intestine revealed a Meckel's diverticulum, and it was excised and histo-pathologically examined. Three adult flukes were incidentally found sectioned in the mucosa, and they were identified as H.nocens.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eating raw mullets at a fish market in Pusan 6 months ago, and the mullets were presumed to be the source of infection. This case brings a considerable interest in that specific diagnosis of heterophyid infections could be done by sectional morphology of the worms.

  • PDF

Immunohistochemistr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the Meckel′s Diverticulum of the Bean Goose, Anser fabalis Latham

  • Ku, Sae-Kwang;Lee, Hyeung-Sik;Park, Ki-Dae;Lee, Jae-Hy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75-379
    • /
    • 2000
  • The appearance of some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the Meckel's diverticulum (MD) of the bean goose, Anser fabalis Latham was observed using specific antisera against serotonin, gastrin, cholecystokinin (CCK)-8, glucagon, secretin, somatostatin and human pancreatic polypeptide (HPP) with the peroxidase antiperoxidase (PAP) method. Among these specific antisera, serotonin-, gastrin-, CCK-8-, somatostatin- and HPP-immunoreactive cells were demonstrated in this study. Serotonin-, gastrin- and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at moderate frequency and CCK-8- and HPP-immunoreactive cells was rare and low frequencies, respectively. These immunoreactive cells were located in the superficial epithelium, intestinal crvpt and intestinal glands with spherical or spindle shaped cells having long cytoplasmic processes (open typed-cell). Mucosal layer of MD was composed of simple columnar epithelium and numerous intestinal glands. In addition, numerous lymphatic tissues were also demonstrated. In conclusion, histological profiles of MD were similar to any parts of the large intestine, especially the cecum, but the appearance,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were similar to those of upper parts of the small intestine. Although the exact digestive functions were unknown, the finding that the appearance,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MD is similar to small intestine may be considered as distinct evidence that this organ may have some digestive functions.

  • PDF

고양이에서 방광요막관 게실의 외과적 치료 증례 (Surgical Correction of a Vesicourachal Diverticulum in a Cat)

  • 윤헌영;노미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09-512
    • /
    • 2012
  • 암컷, 4년령, 6.5 kg의 단모종 고양이가 배뇨실금 및 배뇨곤란 증상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방광 팽창을 동반한 배뇨곤란 증상을 확인 하였고,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서 2개의 작은 방광 결석과 방광내 슬러지를 각각 확인 하였다. 소변 검사에서 혈뇨와 세균뇨를 확인 하였다. 식염수를 이용한 방광 세척과 항생제 치료를 4주간 실시 하였으나 치료 효과가 미미하였다. 선천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배설성 요로조영술을 실시하였고, 작은 게실이 방광 앞쪽 끝에서 관찰 되었다. 방광요막관 게실이 의심 되어 탐색적 개복술을 실시 하였고 삼각형 모양의 게실이 방광 앞쪽 끝에서 확인 되었다. 방광 결석 제거를 위해 방광 절개술이 실시 되었고 게실 절제를 위해 방광 부분 절제술이 실시 되었다. 방광 앞쪽 끝 부분을 지름 약 2 cm 정도 절제 하였다. 수술 후 5일 째 정상 배뇨가 가능하였다. 수술 후 정기 검진은 신체 검사를 통해 2년 동안 실시 되었으며 배뇨 곤란과 배뇨 실금 증상이 관찰 되지 않았다.

기관지비대증을 동반한 폐암 - 1례 보고 - (A Case Report of Lung Cancer with Tracheobronchomegaly -A Case Report of Mounier-Kuhn syndrome-)

  • 김주현;김태헌;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847-850
    • /
    • 1999
  • 기관기관지비대증 또는 무니어-쿤 증후군은 기관과 양쪽 주기관지의 미만성 비대를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매우 드믄 질환이다. 선천성으로 생각 되나 확실하지 않다. 만성 호흡기계 감염, 기관지 확장증등을 일으키는가 하면 평생 무증상으로 지내는 사람도 있는등 임상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저자들은 최근에 기관 게실이 있는 무니어-쿤 증후군 환자에서 폐암이 동반된 증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한다.

  • PDF

우측 대동맥궁을 가진 환자에서 이상 기시된 좌쇄골하 동맥 폐색의 수술적 치료 - 1예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Occluded Aberrant Left Subclavian Artery with Right-sided Aortic Arch -A case report-)

  • 조양현;류세민;김현구;조종호;손영상;최영호;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41-244
    • /
    • 2005
  • 57세 남자가 3년 전부터 발생한 좌측 팔의 통증과 감각이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경미한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것 이외에 다른 증상은 얼었다. 좌측 팔의 동맥압은 촉지되지 않았으며, 흉부방사선 사진상 우측 대동맥궁이 의심되었다. 대동맥 조영술 상에서 우측 대동맥궁과 Kommerell 게실이 관찰되었고 좌쇄골하 동맥은 기시부의 완전 폐색을 보였으며 혈류는 척추 혈관을 통해 우회하여 쇄골하동맥에 공급되고 있었다. 전신마취 하에 우측 쇄골하 동맥으로부터 8 m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좌쇄골하 동맥에 연결하였다. Kommerell 게실은 크기가 작아 추적 관찰하기로 하였다.

소아 상행 대장 게실염 천공 1예 (A Case of Ascending Colon Diverticulitis with Perforation in a Child)

  • 백준우;신재영;이지현;정소영;정아영;김정원;이건희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193-198
    • /
    • 2010
  • 우측 대장 게실은 주로 선천적으로 대장 바깥쪽으로 돌출된 소낭으로 지속적인 변비 등으로 인한 장내 압력에 의해 소낭이 돌출되는 퇴행성 변화에 의한 좌측 대장 게실과 구별된다. 따라서 좌측 대장 게실에 비하여 발견되는 연령이 10~20세 정도 낮은 편이지만, 20세 미만소아 발생률은 적고, 특히 어린 소아에서의 발생보고는 매우 드물다. 또한 우측 대장 게실염의 경우 우하복부 동통을 일으키는 많은 질환과 감별이 어렵고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아서 실제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생각하고 수술을 하였는데 수술해 보니 대장 게실염인 경우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심한 우하복부 통증으로 인해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오인되었던 6세 여아에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우측 대장에 분변 매복이 동반한 급성 게실염을 진단하고 게실 천공의 합병증으로 인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십이지장 궤양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Duodenal Ulcer)

  • 임남성;문수형;이재황;김강석
    • 보험의학회지
    • /
    • 제9권
    • /
    • pp.130-137
    • /
    • 1990
  • We'd performed the upper gastrointestinal study for a total of 10,047 insureds-male 5,919 female 4,128 persons-who were examined at medical department of Dae Han Kyoyuk Insurance Co., from August, 1986 to December, 1989. The results on duodenal ulcer were as follows; 1) Duodenal ulcer was found in 138 cases(1.37%) among the 10,047 insureds. 2) In all 138 cases who have duodenal ulcer, duodenal ulcer was found in 112 cases(1.89%) among the 5,919 insureds of male and in 26 cases(0.63%) among the 4,128 insureds of female. The incidence of duodenal ulcer in male was higher than in female. 3) The possessing rate of duodenal ulcer is 1.28% in 20 yrs, 1.24% in 30 yrs, 1.72% in 40 yrs, 1.21% in 50 yrs, 0.48% in 60 yrs. 4) The possessing rate of duodenal ulcer in male is 2.24% in 20 yrs, 1.78% in 30 yrs, 1.99% in 40 yrs, 2.05% in 50 yrs, 0.91% in 60 yrs and in female, 0.52% in 20 yrs, 0.48% in 30 yrs, 1.20% in 40 yrs, 0.2% in 50 yrs. 5) Coexistent lesion with duodenal ulcer were found in 19 cases; one case of esophageal diverticulum, one case of gastric diverticulum, one case of duodenal diverticulum, tow cases of gastric ulcer, six cases of gastritis, five cases of duodenitis, two cases of gastroduodenitis, one case of pseudodiverticulum.

  • PDF

성인 십이지장-십이지장 장중첩증 및 재발성 췌장염과 관련된 관강내 십이지장 게실의 영상 소견: 증례 보고 (Imaging Findings of an Intraluminal Duodenal Diverticulum Associated with Adult Duodeno-Duodenal Intussusception and Recurrent Pancreatitis: A Case Report)

  • 이가영;이정경;이희성;이선영;박상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680-686
    • /
    • 2022
  • 관강내 십이지장 게실은 드문 선천성 이상으로, 십이지장 점막으로 구성된 낭성 병변이며, 위장 출혈, 십이지장 폐색 또는 췌장염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25세 성인 여성에서 십이지장-십이지장 장중첩증과 재발성 췌장염의 합병증을 일으킨 드문 관강내 십이지장 게실의 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CT, MRI, 상부위장관조영술등의 영상 검사에서 십이지장의 중복낭을 의심하였으나, 수술로 절제된 조직에서 병리학적으로 고유근육층이 없는 관강내 십이지장 게실로 확진되었다.

경동맥 색전술을 이용한 십이지장 3부 게실 출혈의 성공적인 지혈: 증례 보고 (Successful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llowing Diverticular Bleeding in the Third Portion of the Duodenum: A Case Report)

  • 홍석진;이상민;최호철;원정호;나재범;김지은;최혜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37-243
    • /
    • 2021
  • 본 증례는 73세 남자 환자가 십이지장 3부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로 인해 경동맥 색전술로 치료한 드문 증례이다. 환자는 혈변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초기 상부 및 하부 위장관 내시경과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출혈 부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입원 3일째에 혈색소 수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테크네슘-적혈구 스캔을 시행하였고 십이지장 3부의 게실 내에 출혈이 의심되어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상장간동맥 혈관조영술에서 십이지장 게실에 혈류를 공급하는 하췌십이지장동맥의 활동성 출혈이 관찰되어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7일 동안 재출혈이나 합병증이 없어 퇴원하였다. 이에 발생빈도가 매우 낮고 초기 진단이 어려웠던 십이지장 게실 출혈의 보고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