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ional patter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대관령 가축시험장 지양에 있어서의 몇 개의 방목지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 박봉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3호
    • /
    • pp.1-4
    • /
    • 1962
  • A district (Sae-Bong) and 13 district (Sae-Jang Dong) grassland could be divided into four type of Community: Miscanthus-Community, Glyceria-Community, Festuca-Community, and Plantago-Community. Chose 17 or 20 stands from each district A and B and calculated F.I. with the Curtis method, finally vegetational continuum could be recognized while discontinuous boundary line of species distribution could not be recognized. As a rule the distributional curve of species was binominal or bell shaped. It had a distribution pattern peculiar to itself. As to the relationship of cattles' density and vegetation. I found that the tendency of F.I. moving from small to large paralleled that of disturbance-pressure from weak to strong. Found that the more the steepness of environmental factors be controlled by a rule " from large to small", the more F.I. might be controlled by a rule "from small to large" and that pH, soil-moisture-content, loss on ignition was in relation with the steepness. with the steepness.

  • PDF

한국산 점줄종개(Cobitis lutheri) 와 줄종개(C.striata)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rudy of the Combitid Fish, Cobitis Iutheri Rendahl and C. striata Ikeda (Cobitidae) from Korea)

  • 김익수;이금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2호
    • /
    • pp.91-102
    • /
    • 1988
  • Both Cobitis lutheri Rendahl and C.striata Ikeda previously regarded as the subspecies of C.taenia are revised here and raised to the species rank based on the distinct color pattern on their body sides in relation to the shpae of lamina circularis and suborbital spine, and distinct distributional patter. C. lutheri was similar to C. striata in chromosome number and karyotype, but chromosomal polymorphism as Robert sonian event was confirmed only in the population of C.lutheri studies. Both, C. kutheri and C..striata have disjunct ranges : the former in western Korea and east-northern China Mainland, the latter in the Smjin River of korea and west-southern Japan. hybridization between C. lutheri and C. striata by secondary contact appeared in the limited zone of the Dongjin River, Chllabuk-do province, korea, but the evidence for habitat segregation between them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natural hybridization occurs between the two species and introgression results. We consider that the two species were produced as ecological equivalent species in the different branch stream of the Paleo-Hwangho River , The time of recession of sea level during the gracial period.

  • PDF

Regeneration Process of the Korean Beech(Fagus multinervis Nakai) Forest

  • Kim, Seong-Deo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67-273
    • /
    • 2002
  • Regeneration process of the Korean beech (Fagus multinervis Nakai) forest was studied in relation to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age structure. In this study, it was clarified that the Korean beech forest is regenerated in both way: seedlings(sexual reproduction) and sprouts(vegetative reproduction) formations. In the large gaps, seedling may be established, resulting in clusters of even-aged individuals. But in the small-sized gaps, there may filled by the extention of surrounding trees and/or by the young trunks, which have sprouted from the base of stumps. As most gaps in the F. multinervis forest were derived from falling of a single stem, regeneration by sprouts seems to be more common than that by the seedlings.

Possibility for Heliotropism from Inclined Columns of Stromatolites, Socheong Island, Korea

  • Kong, Dal-Yong;Lee, Seong-J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81-392
    • /
    • 2013
  • Socheong island is a unique island containing Precambrian stromatolites in South Korea. Most of Socheong stromatolites are domes and columns, occurring as 10 cm to 1 m thick stromatolite beds. Lower parts of the stromatolite beds are predominantly composed of domes, but columns increase toward the upper level of stromatolite beds. In many of the stromatolite beds, inclined columns are easily identifiable,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result of heliotropism. From general lithology, sedimentary structures, inclined angles and distributional pattern, and structural deformation of sedimentary rocks of Socheong island, the inclination of Socheong stromatolites could be better interpreted as a secondary structural deformation probably after formation of stromatolite columns, rather than as a result of heliotropism. However, at this moment, we do not clearly reject heliotropism interpretation for inclined columns of Socheong stromatolites. This is because the original position of stromatolite columns could have been lost if structural deformation had affected the whole sedimentary rocks of Socheong island.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Distributional Patterns and the Evaluation of Hydrophytic Plant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Gyunggi-do Province, Korea)

  • 전승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7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연구의 적지로 판단되는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습지 현황, 습지 유형, 습지식물의 특성, 그리고 훼손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성남시의 도시습지는 1차 조사결과 모두 16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입지적 특성에 따라 산간습지 55개소, 하천변 습지 4개소, 묵논 및 묵밭 62개소, 웅덩이 37개소, 저수지 4개소 등으로 분류되었다. 1차 조사결과, 습지로서의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된 107개소에 대해 2차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약 39%에 달하는 42개소가 규모가 작고 육지화되어 습지의 가치가 매우 낮으며 매립 및 배수화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었다. 학술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중요 습지 27개소를 대상으로 수문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남시 도시습지는 아직도 양호한 수환경 조건과 다양한습지식물의 분포와 정착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된 184종류의 식물종 가운데 습지의존적인 식물은 75종류인 약 40.7%의 비율에 불과하며, 따라서 대부분의 습지가 육상역 식물종의 침입과 같은 인위적인 교란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습지식물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습지의 보전상태를 평가한 결과에서도 성남시 전체의 경우 지수 값이 약 3.7로 나타나 습지평가유보 단계를 벗어난 양호한 육상생태계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남시가 중부내륙의 산악도시임을 감안할 때 전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산간습지와 묵논 및 묵밭의 발달은 비록 규모는 작으나 육상과 수계 생태계사이의 생태적 추이대로 생태적 거점역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Cause-specific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of Forest Fire in Korea)

  • 곽한빈;이우균;이시영;원명수;구교상;이병두;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59-266
    • /
    • 2010
  • 우리나라에서 산불 발생 공간분포는 인간 활동과 큰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지역별 군집형태의 강한 공간의존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존성의 개념에 입각하여 점자료 분석법을 통한 산불발생의 공간분포패턴을 분석하였다. Ripley의 K 함수를 이용하여 산불 발생 원인별 공간분포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Kernel 함수를 통해 산불발생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도는 상이하지만 모든 원인의 산불이 임의(random) 분포가 아닌 군집화(clustered)되어 발생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 발생의 군집성을 원인별로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전국적 발생 패턴을 가지는 원인으로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과 같은 활동과 관련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국지적 군집성을 가지는 원인으로 담뱃불이나 어린이 불장난, 방화이다. 그 군집성의 범위는 30 km내외로 나타났으며, 그 범위 밖에서는 임의 분포하고 있었다. Kernel 함수에 의한 원인별 집중도 분석에서는 강한 군집도를 나타냈던 3가지 원인(담뱃불, 어린이 불장난, 방화)의 경우 대부분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상의 색상 분포 정합을 이용한 얼굴 검출 알고리즘 (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Color Distribution Matching)

  • 권성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927-933
    • /
    • 2013
  • OpenCV (Open Computer Vision)에서 제공하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서는 Haar 특징(Haar feature)들과 대상 영상의 정합 과정인 Haar 매칭 (Haar Matching)을 통하여 얼굴을 검출하는데, 이때 Haar 특징들은 정면 얼굴로 구성된 훈련 영상을 통해 학습된다. 따라서 OpenCV의 얼굴 검출 방법은 정면 얼굴에 대해서는 높은 얼굴 검출율을 보이지만, 정면을 응시하지 않거나 얼굴의 형태가 변형된 경우에는 얼굴을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측면 얼굴 혹은 형태가 변형된 얼굴에서도 컬러 히스토그램의 분포 특성은 유사하다고 가정하고, 히스토그램 패턴 매칭(histogram pattern matching)을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Haar 매칭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에 대하여, 정확하게 검출된 이전 프레임의 얼굴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 패턴 매칭을 통하여 가장 유사한 히스토그램 분포를 갖는 영역을 얼굴로 인식한다. 제안한 방법의 얼굴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모의실험에서 제안한 얼굴 검출 방법이 OpenCV보다 얼굴 검출율이 8% 정도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북동 태평양 심해저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위도별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Meiobenthic Communities in the Deep-sen Floor of Northeastern Pacific Seafloor along a Latitudinal Transect)

  • 민원기;김동성;김웅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255-263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eiobenthos in the deep-sea bottom of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of the northeastern Pacific during July 2003. The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the multiple corer at 13 stations along the transects fiom $5^{\circ}N\;to\;17^{\circ}N$. The most abundant meiobenthos was nematodes and followed by sarcomastigophorans; these two taxa comprised more than 70% of the total abundance at all stations. For size distribution analyses showed that animals which fit into the sieve mesh size of 0.063mm were abundant. The maximum density of meiobenthos was $147inds./10cm^2$ at station located in $7^{\circ}N$, and the minimum density was $6 inds./10cm^2$ at station located in $14^{\circ}N$. More than 60% of meiobenthos were distributed at surface sediment layer within 1.0cm, and the peak abundance was found at $0{\sim}0.25cm$ layer. The latitudinal distribution pattern of meiobenthos in the study area seemed to be related with the primary productivity of the surface water that is also connected to the water circulation pattern of the Pacific Ocean near the Equator, diverging at latitude of $8^{\circ}N$ and conversing at $5^{\circ}N$.

한국 도시들의 공간집적 패턴에 대한 계량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patial Agglomeration Pattern among the Korean Cities)

  • 손정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6-7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도시들을 대상으로 산업의 공간분포특성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산업분류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5개 산업부문에 대하여 한국 내 82개 도시를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지리적 및 비지리적 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산업부문의 집중과 산업 간의 연계패턴을 파악하였다. 집중과 연계도의 측정을 위해 입지지니계수, 모란지수, 상관계수, 이변량모란지수를 이용하였으며 이들의 추정값에 기초하여 15개 산업부문을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 화학공업은 높은 수준의 지리적 및 비지리적 집중을 보인 반면 조립기계전자산업은 지리적 측면에서만 높은 수준의 집중도를 보였다. 인쇄출판업, 도매업, 사업서비스업은 비지리적 측면에서 다른 부문들과 높은 연계를 나타냈다. 한편, 그 밖에 10개 부문은 의미 있는 분포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업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산업클러스터 등 산업입지정책을 집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원격탐사와 공간통계 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및 패턴 분석 - 강원도 DMZ일원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Pattern Using Remote Sensing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 - Focusing on the DMZ Region in Gangwon-Do -)

  • 나현섭;박정묵;이정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0-118
    • /
    • 2015
  •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객체기반 토지피복 분류도를 구축하고 공간통계기법을 통하여 토지피복의 분류항목별 분포패턴을 파악하였다. 객체기반 분류는 분광정보, 질감정보, 분광정보와 질감정보의 조합에 의하여 각각의 토지피복 분류도를 구축하였으며, 정확도 평가를 통하여 최적의 토지피복 분류도를 선정하였다. 또한, 토지피복의 분류항목별 공간적 분포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핫스팟 분석을 실시하여 정량화하였다. 객체기반 분류를 위한 최적의 가중치는 Scale 52, Shape 0.4, Color 0.6, Compactness 0.5, Smoothness 0.5로 선정하였다. 토지피복 분류도는 분광정보와 질감정보의 조합을 사용하였을 때, 전체 분류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밭과 시설재배지, 나지의 경우 분광정보만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정확도가 약 12% 이상 증가하였다. DMZ일원의 분류항목별 면적비율은 산림 > 논 > 교통시설 > 초지 > 밭 > 나지 > 건물 > 수역 > 시설재배지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양구군의 밭과 교통시설은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 철원군의 밭, 인제군의 산림과 교통시설은 민간인통제선 이남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항목별 분포 패턴의 경우, 농업과 관련된 논, 밭, 시설재배지의 핫스팟(hot spot)은 철원군의 평야 지역과 양구군의 분지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다. 나지, 수역, 건물, 도로의 핫스팟 지역은 농업과 관련된 핫스팟 지역과 분포 패턴이 유사한 반면, 산림과 초지의 핫스팟 지역과는 분포 패턴이 상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