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ed learning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32초

높은 정확도를 위한 이미지 전처리와 앙상블 기법을 결합한 이미지 기반 악성코드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Based Malwar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ombines Image Preprocessing and Ensemble Techniques for High Accuracy)

  • 김해수;김미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7호
    • /
    • pp.225-232
    • /
    • 2022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많은 이에게 이점이 되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새로운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통해 악의적 공격 시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악의적 공격 중 악성코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며 매번 새로운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유포되고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견된 악성코드를 빠르게 분석하여 방어기법을 제공해야 한다. 새로운 악성코드를 기존 악성코드와 동일한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면 동작의 유사성을 가진 악성코드들의 분석된 특징을 이용해 새로운 악성코드의 방어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악성코드를 정확하고 빠르게 분류하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또한, 분석된 악성코드들의 패밀리 마다 데이터의 개수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전처리 기법과 앙상블 기법을 결합하여 개수가 균일하지 않은 데이터에서 정확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경량형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위한 라이다 거리 기반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의미론적 물체 인식 (Semantic Object Detection based on LiDAR Distance-based Clustering Techniques for Lightweight Embedded Processors)

  • 정동규;박대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1453-1461
    • /
    • 2022
  • 자율주행차량에서 LiDAR와 같은 3D 데이터 센서를 사용한 주변 물체인식 알고리즘의 정확도는 많은 연구를 통해 상승하고 있으나 그에 따라 높은 성능의 하드웨어와 복잡한 구조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물체인식 알고리즘은 주행 중 많은 프로세서를 수행하고 관리해야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메인 프로세서에 큰 부하로 작용한다. 이러한 부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3D 센서 데이터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3D 센서 데이터에서 물리적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한 ROI를 이용하여 2D 데이터 기반 인식을 제안한다. 기본 이미지에서 밝기 값을 50% 감소시킨 환경에서 기존 2D 기반 모델 대비 5.3% 높은 정확도와 28.57% 감소한 수행 시간을 보였다. 기본 이미지에서 3D 기반 모델 대비 2.46% 낮은 정확도를 가지는 대신 6.25% 감소한 수행 시간을 가진다.

언어적 특성과 서비스를 고려한 딥러닝 기반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 (Deep Learning-based Korean Dialect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Considering Linguistics Features and Service)

  • 임상범;박찬준;양영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29
    • /
    • 2022
  • 본 논문은 방언 연구, 보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소외될 수 있는 방언 사용자들을 위한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용한 방언 데이터는 최상위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배포된 AIHUB 방언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방언 데이터를 바탕으로 Transformer 기반의 copy mechanism을 적용하여 방언 기계번역기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모델링 연구와 모델 배포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Many-to-one 기반의 방언 기계 번역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은 one-to-one 모델과 many-to-one 모델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다양한 언어학적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BLEU점수를 기준으로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론을 적용한 one-to-one 기계번역기의 성능 향상과 many-to-one 기계번역기의 유의미한 성능을 도출하였다.

사물인터넷 기기 고장 진단을 위한 그래프 신경망 모델 기반 분류 방법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Graph Neural Network Model for Diagnosing IoT Device Fault)

  • 김진영;선준호;윤성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9-14
    • /
    • 2022
  • 각종 기기들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품의 고장은 경제적, 인명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고장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고장 검진 기술이 IoT에서 중요한 기술로써 여겨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신경망 기반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 내의 설비에서 취득된 진동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위해, CWRU(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취득된 고장 데이터 셋을 입력 데이터로 사용한다. 제안하는 모델의 분류 정확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제안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기반 분류 모델과 제안된 모델을 비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모델은 불균등하게 나누어진 데이터에서 기존 모델보다 분류 정확도를 약 5%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로, 제안하는 모델을 경량화해서 분류 속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AR 및 Hand Tracking을 활용한 반려견 훈련 모바일 앱 구현 (Implementation of a Mobile App for Companion Dog Training using AR and Hand Tracking)

  • 최철호;박성욱;정세훈;심춘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27-934
    • /
    • 2023
  • 최근 반려동물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 반려동물 관련 사회적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반려견 물림 사고, 유기견 문제, 안락사, 동물 학대 등이 있다. 대안으로 반려동물 관련 방송, 교육 앱 등 다양한 방식의 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지만, 무엇을 먼저 가르쳐야 할지 모르는 초보 보호자들에게는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다. 비교적 접근성이 용이한 훈련 앱이 다수 배포됐지만, 아직 사용자가 직접 훈련을 체험하며 익히는 방식의 앱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니티 엔진을 활용해 더욱 효율적인 AR 기반의 반려견 훈련 모바일 앱을 제안한다. 사용성 평가 결과, 기존에 부재했던 요소의 추가로 사용자들 흥미도는 증대했고, 훈련 몰입감까지 제고되어 학습 효과가 향상됐다. 향후 개발 및 양산 검증까지 거쳐 배포된다면 반려동물 입양 계획을 세운 초보 보호자나 기존 보호자들에게 효과적인 훈련 앱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xploring Social Media Technologies Awareness and Use among Postgraduate Stud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Nigeria: An Investigative Study

  • Stella Chinnaya Nduka;Sunday Olanrewaju Popool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59-76
    • /
    • 2024
  • The prominent role accorded to social media in the academic community for research, teaching and learning revolves around its significance among users. Social media offers a platform for individuals to engage with and share perceptions relating to different disciplines. This curr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wareness and frequency of social media technology use among postgraduate stud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Nigerian universities. The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919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postgraduate students in the universities. In all, 742 copies out of the 919 distributed were returned and found usable, thereby making the return rate to be 81%.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LIS postgraduate students frequently use social media such as Wikipedia (x=3.94>3.50), Instagram (x=3.86>3.50), Facebook (x=3.85>3.50), Zoom ($\overline{x}$=3.78>3.50), LinkedIn (x=3.69>3.50), YouTube ($\overline{x}$=3.54>3.50), Twitter (x=3.52>3.50). The study established that students use social media tools for their personal, professional and research activitie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and use of social media by the students was high. The study recommended that the use of social media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LIS curriculum including training sessions for the students on how to use the media effectively.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활용한 동물 감염병 확산 차단 (Animal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through Big Data and Deep Learning)

  • 김성현;최준기;김재석;장아름;이재호;차경진;이상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137-154
    • /
    • 2018
  •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 같은 동물감염병은 거의 매년 발생하며 국가에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일으키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그간 방역당국은 다양한 인적, 물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감염병은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다. 최근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감염병의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지만, 실제로 활용가능한 모델구축 연구와 사례보고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KT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4년부터 국가 R&D사업의 일환으로 축산관련 차량의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예측하는 빅데이터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동물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연구진은 최초에는 차량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회귀분석모델을 기반으로 한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이후에는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좀 더 정확한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다. 특히, 2017년 예측모델에서는 시설물에 대한 확산 위험도를 추가하였고 모델링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다양하게 고려하여 모델의 성능을 높였다. 정오분류표와 ROC 커브를 확인한 결과, 기계 학습 모델보다 2017년 구성된 모형이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2017에는 결과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여 방역당국의 의사결정을 돕고 이해관계자를 설득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동물감염병예방시스템을 구축한 사례연구로 모델주요변수값, 이에따른 실제예측성능결과, 그리고 상세하게 기술된 시스템구축 프로세스는 향후 감염병예방 영역의 지속적인 빅데이터활용 및 분석 모델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 보다 사전적이고 효과적인 방역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라남도 섬 지역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적합지 예측 (Predicting Suitable Restoration Areas for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he Islands of Jeollanamdo)

  • 성찬용;강현미;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58-568
    • /
    • 2021
  • 국내 섬 지역은 감독 부실과 관광 등으로 인해 산림 훼손이 심각한 상황이다. 한반도 서남해안 지역의 난온대 기후대원식생은 상록활엽수림이라서, 이곳을 원식생으로 복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남의 섬 지역 산지를 대상으로, 현존 상록활엽수림의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상록활엽수림 북원 적합지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Sentinel-2 위성영상에서 연구 대상지의 식생 유형을 6가지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식생유형의 위치 및 지형, 기후 속성을 측정하여 상록활엽수림의 내성 범위(tolerance range)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존 상록활엽수림은 인간의 간섭이 적은, 고도가 높고 경사가 급한 지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이와 같은 인위적인 간섭으로 현존 상록활엽수림은 타 식생 유형보다 오히려 연평균기온이 낮은 곳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여러 환경 요인 중 인간의 간섭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고, 상록활엽수림의 복원 적합지를 파악할 수 있는 환경 요인에는 위도와 최한월 평균기온(1월)이 있었다. 상록활엽수림 내성 범위 분석 결과, 위도 34.7° 이남, 최한월평균기온 1.7℃ 이상인 지역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조건에 맞는 지역을 상록활엽수림 복원 적합지로 예측하였다. 전남 섬 지역의 산지 중 상록활엽수림 복원 적합지 면적은 614.5km2로 전체 연구 대상지의 59.0%, 연구 대상지 중 농경지 등을 제외한 산림 식생 지역의 73.4%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구체적인 섬 지역 산림복원계획과 예산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부서간 의사결정 조정을 위한 분산 웹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A Distributed Web-DSS Approach for Coordinating Interdepartmental Decisions - Emphasis on Production and Marketing Decision)

  • 이건창;조형래;김진성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지능형 정보기술과 미래조직 Information Technology and Future Organization
    • /
    • pp.291-300
    • /
    • 1999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이라는 기업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기업은 점차 모든 경영시스템을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도록 변화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조직 또한 전세계를 기반으로한 글로벌 기업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경영환경의 변화로 인해서 기업 내에서는 종전과는 다른 형태의 부서간 상호의사결정조정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상호의사결정의 지원과정에 대해서는 기존에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글로벌기업과 같은 네트워크 형태의 새로운 형태의 기업에 있어서의 상호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대해서는 단순한 그룹의사결정지원시스템 또는 분산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같은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특히, 웹을 기반으로 한 기업의 글로벌경영 및 분산 경영에서 비롯되는 부서간 상호의사결정이라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업의 글로벌경영 및 분산 경영에서 비롯되는 부서간 상호의사결정이라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프로토타입 형태의 시스템을 구현하여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기업 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상호의사결정지원이 필요한 생산과 마케팅 부서를 대상으로 상호의사결정지원 메커니즘을 개발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글로벌 기업내의 생산과 마케팅 부서간 상호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지원 할 수 있는 상호조정 메카니즘인 개선된 PROMISE(PROduction and Marketing Interface Support Environment)를 기반으로 한 웹 분산의사결정지원시스템 (Web-DSS : Web-Decision Support Systems)을 제안하는 바이다.자대상 벤처기업의 선정을 위한 전문가시스템을 구축중이다.의 밀도를 비재무적 지표변수로 산정하여 로지스틱회귀 분석과 인공신경망 기법으로 검증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재무적 지표변수 모형의 전체적 예측적중률이 87.50%인 반면에 재무/비재무적 지표모형은 90.18%로서 비재무적 지표변수 사용에 대한 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표본기업들을 훈련과 시험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재무/비재무적 지표를 고려한 인공신경망기법의 예측적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로지스틱회귀 분석의 재무적 지표모형은 훈련, 시험용이 84.45%, 85.10%인 반면, 재무/비재무적 지표모형은 84.45%, 85.08%로서 거의 동일한 예측적중률을 가졌으나 인공신경망기법 분석에서는 재무적 지표모형이 92.23%, 85.10%인 반면, 재무/비재무적 지표모형에서는 91.12%, 88.06%로서 향상된 예측적중률을 나타내었다.ting LMS according to increasing the step-size parameter $\mu$ in the experimentally computed. learning curve. Also we find that convergence speed of proposed algorithm is increased by (B+1) time proportional to B which B is the number of recycled data buffer without complexity of computation. Adaptive transversal filter with proposed data recycling buffer

  • PDF

수학과 중등임용 이산수학 기출 문항 분석 (An Analysis on the Past Items of Discrete Mathematics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김창일;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72-48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7개년(2011~2017학년도)의 수학교과내용학 기출문항 가운데 이산수학 문항을 분석대상 문항으로 분류하고, 수학과 임용시험 문항 분석틀을 기반으로 분류된 문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이산수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고르게 출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지적 방법의 활용에 대한 전략적 지식인 메타인지적 지식(Metacognitive Knowledge)을 측정하는 문항도 출제되어야 한다. 셋째, 이산수학의 출제 비중은 문항 수로는 비율이 3.8%~6.8%이고, 배점에 따른 비율은 이 보다 낮은 2.2%~6.3% 사이로 출제되었다. 넷째, 모든 문항이 평가 목표에 적합하고 교육과정을 성실하게 이행한 예비 수학교사라면 해결 할 수 있도록 적정한 난도가 유지된 것으로 분석된다. 다섯째, 임용시험 문항과 각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개설된 이산수학 교육과정의 세는 방법, 점화관계와 생성함수, 그래프 등의 내용요소가 일치하고 있어 예비 교사의 학습 동기 부여에 기여하고 있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