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ed learning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7초

Exploration to Model CSCL Scripts based on the Mode of Group Interaction

  • SONG, Mi-Young;YOU, Yeong-Mah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9권2호
    • /
    • pp.79-95
    • /
    • 2008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modeling scripts based on the mode of group interaction in a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assumes that group interaction and its mode would have strong influence on the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furthermore lead learners to create and share significant knowledge within a group. This paper deals with two different modes of group interaction- distributed and shared interaction. Distributed interaction depends on the external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knowledge, while shared interaction is concerned with sharing knowledge in group ac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se group interactions, this paper emphasizes the utilization of appropriate CSCL scripts, and then propos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SCL scripts which integrate the existing scripts such as implicit, explicit, internal and external scripts. By means of the model regarding CSCL scripts based on the mode of group interaction,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the design of CSCL scripts are explored.

Q-learning과 Cascade SVM을 이용한 군집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 (Behavior Learning and Evolution of Swarm Robot System using Q-learning and Cascade SVM)

  • 서상욱;양현창;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9-284
    • /
    • 2009
  • 군집 로봇시스템에서 개개의 로봇은 스스로 주위의 환경과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로봇과 협조를 통하여 어떤 주어진 일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개의 로봇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학습과 진화능력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SVM을 여러 개 이용한 강화학습과 분산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자율이동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학습을 제안한다. 또한 개개의 로봇이 통신을 통하여 염색체를 교환하는 분산유전알고리즘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학습한 우수한 염색체로부터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진화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ascade SVM을 기반으로 한 강화학습의 특성을 이용한 선택 교배방법을 채택하였다.

SCORM기반 교수 학습 시스템 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Implementation for SCORM 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 박혜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99-50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SCORM기반의 새로운 교수 학습 시스템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교수 학습 시스템의 장점과 단점들을 살펴보고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에 대한 관련연구들을 통해 SCORM의 목적과 장단점등을 살펴본다. SCORM은 ADL(Advanced Distributed Learning)에서 교육용 콘텐츠의 재사용성을 높이기위해 제안한 모델이다. 또한 SCORM을 기반으로 구축된 시스템 사례들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해 SCORM을 기반으로 하면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 및 코스 설계가 가능하고 수준별 개별 학습이 가능한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새로운 시스템이 학습자의 학습 효과와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실험을 통해 보이고자 한다.

  • PDF

심층강화학습 기반 분산형 전력 시스템에서의 수요와 공급 예측을 통한 전력 거래시스템 (Power Trading System through the Prediction of Demand and Supply in Distributed Power System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이승우;선준호;김수현;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63-171
    • /
    • 2021
  • 본 논문은 분산형 전력 시스템에서 심층강화학습 기반의 전력 생산 환경 및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며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적용해 전력거래 시스템 연구의 최적화된 결과를 보여준다. 전력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전력 시스템에서 분산형 전력 시스템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전력거래에 있어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며 장기적인 거래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전력 거래시스템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심층강화학습의 현실적인 에너지 모델과 환경을 만들고 학습을 시키기 위해 날씨와 매달의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가우시안 잡음을 추가해 에너지 시장 모델을 구축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전력 거래시스템은 서로 협조적이며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며 장기적으로 이익을 증가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대용량 악성코드의 특징 추출 가속화를 위한 분산 처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Feature Extraction from Large-Scale Malicious Code)

  • 이현종;어성율;황두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8권2호
    • /
    • pp.35-40
    • /
    • 2019
  • 기존 악성코드 탐지는 다형성 또는 난독화 기법이 적용된 변종 악성코드 탐지에 취약하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악성코드에 내재된 패턴을 학습시켜 유사 행위 탐지가 가능해 기존 탐지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악성코드 패턴을 학습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그러나 대용량 악성코드 파일의 저장 및 처리 과정은 높은 공간과 시간 복잡도가 수반된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복잡도를 완화하고 처리 시간을 가속화하기 위해 HDFS 기반 분산 처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분산 처리 시스템을 이용해 2-gram 특징과 필터링 기준에 따른 API 특징 2개, APICFG 특징을 추출하고 앙상블 학습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비교했다. 실험 결과로 특징 추출의 시간 복잡도는 컴퓨터 한 대의 처리 시간과 비교했을 때 약 3.75배 속도가 개선되었으며, 공간 복잡도는 약 5배의 효율성을 보였다. 특징 별 분류 성능을 비교했을 때 2-gram 특징이 가장 우수했으나 훈련 데이터 차원이 높아 학습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다.

e-Learning을 위한 사례 마크업 언어 기반 에이전트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사례 기반 학습자 모델을 중심으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gent Systems based on Case Markup Language for e-Leaning)

  • 한선관;윤정섭;조근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3-80
    • /
    • 2001
  • The construction of the students knowledge in e-Learning systems, namely the student modeling, is a core component used to develop e-Learning systems. However, existing e-Learning systems have many problems to share the knowledge in a heterogeneous student model and a distributed knowledge base. Because the methods of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are different in each e-Learning systems, the accumulated knowledge cannot be used or shared without a great deal of difficulty. In order to share this knowledge, existing systems must reconstruct the knowledge bases. Consequently, we propose a new a Case Markup Language based on XML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distributed e-Learning systems fan have the advantage of easily sharing and managing the heterogeneous knowledge base proposed by CaseML. Moreover students can generate and share a case knowledge to use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agents.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developed a CaseML by using a knowledge markup language. Furthermore, in order to construct an intelligent e-Learning systems, we have done our research based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intelligent agent system by using CaseML.

  • PDF

분산 학습으로의 적용을 위한 극소 부호의 확장 기법 (Extension of Minimal Codes for Application to Distributed Learning)

  • Jo, Dongsik;Chung, Jin-Ho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479-482
    • /
    • 2022
  • Recently,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smart factory, finance, healthcare, and so on. When handling data requiring protection of privacy, distributed learning techniques are used. For distribution of information with privacy protection, encoding private information is required. Minimal codes has been used in such a secret-sharing scheme.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imal codes for application in distributed systems. We briefly deals with previously known construction methods, and presents extension methods for minimal codes. The new codes provide flexibility in distribution of private information. Furthermore, we discuss application scenarios for the extended codes.

QoS보장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분산 원격강의 컨텐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ed Remote Lecture Contents for QoS Guarantee Streaming Service)

  • 최용준;구자효;임인택;최병도;김종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4호
    • /
    • pp.603-614
    • /
    • 2002
  •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효율은 저작방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영상녹화장치를 사용하여 동영상으로 녹화된 강의는 미디어 서버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며, 원격강의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저작된 강의는 컨텐츠 파일을 학습자가 다운로드 하여 재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플래시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저작한 컨텐츠의 서비스 방식도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동기화 기법으로 저작된 원격강의 컨텐츠를 재생 시간별고 블록화 하여 인터넷의 여러 서버에 분산배치하고, 이를 학습자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형태로 수집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다운로드를 기반으로 한 스트리밍 시스템으로, 일반적인 동영상 스트리밍 방식과는 달리 컨텐츠 자체의 QoS를 보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자료를 최신의 것으로 보완하는데 필요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라 컨텐츠 블록별로 별도로 저작과 관리가 이루어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전자게시판과 같은 동적 웹페이지를 컨텐츠 내에 포함시키는 복합 컨텐츠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A Study of Collaborative and Distributed Multi-agent Path-planning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Kim, Min-S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9-17
    • /
    • 2021
  • 동적 시스템 환경에서 지능형 협업 자율 시스템을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 노드 기반 컴퓨팅 방식의 자율형 다중 에이전트 경로 탐색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지능형 학습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를 위해 강화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화학습 기반의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은 에이전트의 연속된 행동에 따른 누적 보상을 평가하고 이를 학습하여 정책을 개선하는 지능형 최적화 기계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강화학습 기반 다중 에이전트 최적화 경로 탐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학습 초기 경로 탐색 방법을 개선한 최적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분산된 다중 목표를 구성하여 에이전트간 정보 공유를 이용한 학습 최적화를 시도하였으며, 비동기식 에이전트 경로 탐색 기능을 추가하여 실제 분산 환경 시스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 및 한계점에 대한 솔루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산 시스템에서 동적 파일 이전과 수학적 모델 (Dynamic File Migration And Mathematical model in Distributed Computer Systems)

  • 문원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5-40
    • /
    • 2014
  •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achieve improvement in distributed system that connects multiple computer systems via communication lines. Among others, the load balancing and file migration ar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distributed system. The dynamic file migration algorithm common i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involved complex calculations of decision function necessary for file migration and required migration of control messages for the performance of decision function.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is decision function puts significant computational strain on computer. As one single network is shared by all computers, more computers connected to network means migration of more control messages from file migration, causing the network to trigger bottleneck i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Therefore, it has become imperative to carry out the research that aims to reduce the number of control messages that will be migrated. In this study, the learning automata was used for file migration which would requires only the file reference-related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file migration has been made or determine the time and site of file migration, depending on the file conditions, thus reflecting the status of current system well and eliminating the message transfer and additional calculation overhead for file migration. Moreover, mathematical model for file migration was described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from mathematical model and simulation model suggest that the proposed model is well-suited to the distributed system.